국가유산청, 내동리 쌍무덤과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 묶어 등록...민선 8기 영암군 '마한의 심장' 정책 결실
전남 영암군은 국가유산청에서 고대 마한 유적인 영암군 내동리 쌍무덤<사진>과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을 '영암시종고분군'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지정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7일 밝혔다. 영암군 제공
【파이낸셜뉴스 영암=황태종 기자】전남 영암군은 국가유산청에서 고대 마한 유적인 영암군 내동리 쌍무덤과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을 '영암시종고분군'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지정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국가지정유산 사적 지정은 지난 1989년 '구림리 요지' 사적 지정 이후 영암지역에서 35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지역 사회는 고대 마한을 포함한 지역 문화유산 보존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암군에 따르면 '영암시종고분군'은 5세기 중·후반~6세기 초에 조성된 유적으로, 전통 옹관묘에서 대형 방형 분구 석곽묘·석실묘로 변화하는 마한의 매장문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고대의 토목 기술과 공동체 조직 등의 특성을 엿볼 수 있는 중요 고고학 자료다.
아울러 백제·가야·중국·왜 등의 외래문화를 수용한 마한 세력의 뚜렷한 정체성을 담고 있는 유적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영암시종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도 금동관 세움장식, 영산강 유역 토기 등 다양하다. 특히 청자잔, 동남아산 유리구슬, 원통형 토기, 동물형 토제품 등 외래에서 전래된 뒤 현지화한 유물은 당시의 문화교류사를 알려주는 귀한 자료다.
앞서 영암군은 지난 2009년 장동 방대형 고분 시굴 조사를 시작했으며, 2018년 내동리 쌍무덤 정밀조사를 포함한 15년의 학술조사를 더해 2022년 내동리 쌍무덤 사적 지정을 신청했다. 이어 2022년 국가유산위원회에서 내놓은 '2009년부터 조사된 장동 방대형 고분도 포함해야 한다'라는 의견을 받아들여 두 유적의 가치를 통합 정리해 사적 신청에 나섰다.
특히 민선 8기에 들어서면서 '마한의 심장, 영암'을 군정 주요 비전으로 삼아 '문화유산팀'을 신설하고 학술조사를 진행하는 등 마한 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활용 정책을 추진해 왔다.
'영암시종고분군' 사적 지정은 지난 2023년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 유치와 함께 영암군의 마한 역사 문화 정책에 탄력을 줄 전망이다.
영암군은 '영암시종고분군'의 체계적 보존·관리, 전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역사 문화 관광자원화를 추진하고, 중장기 과제로 전남도와 협력해 마한 유적의 세계유산 등재까지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영암시종고분군' 사적 지정은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 영암 유치와 함께 '마한의 심장, 영암'을 국가가 확인해 준 쾌거다"면서 "전남도 조례 제정-문화유산팀 신설-학술조사-사적 지정으로 이어지는 지역 사회의 전략적 노력이 맺은 빛나는 결실인 만큼 두 성과를 바탕으로 마한의 심장 영암을 알리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