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소득형 에너지 전환 및 지역 일자리 창출 기대
농업과 태양광 융합 성공 모델 구축
경북도는 지난 10일 동부청사에서 '초거대 영농형 태양광' 개발 사업 전략회의를 열고 농업과 재생에너지가 공존하는 '경북형 햇빛연금' 모델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도가 영농형 태양광 사업화로 '햇빛연금' 정책 본격 추진한다.
경북도는 지난 10일 동부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주민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 및 농업과 재생에너지가 공존하는 '경북형 햇빛연금'을 목표로 '초거대 영농형 태양광' 개발사업 추진 전략회의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영농형 태양광 사업추진에 관심이 있는 시군을 대상으로 설비용량 10㎿ 규모의 시범사업을 우선 시행한다.
장기적으로 단지별 100㎿ 대규모의 발전시설을 구축해 총 600㎿㎿ 규모 정도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홍석표 에너지산업국장은 "이번 초거대 영농형 태양광 사업은 단순한 에너지 전환 사업을 넘어 농업과 산업이 융합하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중요한 발걸음이다"면서 "앞으로도 영농형 태양광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지역 주민이 태양 빛을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햇빛 연금사업'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강조했다.
전략회의에는 21개 시·군 관계자가 참석해 사업추진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시·군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사업화 방안, 주민 소득 증대 및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로 이뤄졌다.
회의에서 도출된 시·군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한편 사업추진 동력 확보를 위해 '초거대 영농형 태양광 특구 조성'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신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또 영농형 태양광 특구 조성을 바탕으로 중앙부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련 법령 개정건의 등 초우량 농지 태양광 사업을 도입하는 등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도는 지난해 4월 영농형 태양광 도입 계획 발표를 통해 사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바 있고 영남대와 함께 영농형 태양광 표준모델 실증사업 공모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사업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 새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기조에 기반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추진 전략을 수립하고, 농업인들의 영농소득과 햇빛연금소득 지원이 농가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