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힘합쳐 목재교육종합센터, 목재문화관, 월악산 관광안내센터 건축 사업에 이용
경북 영양의 산불피해산지에 모아 둔 산불피해목.
[파이낸셜뉴스] 올 봄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경북지역의 산불 피해목이 목조건축물 자재로 활용된다.
산림청은 최근 경북도와 경기 광주시, 충북 충주·제천시, 경북 영양군, 목재문화진흥회, 국산목재협동조합 등이 참여한 민·관 합동 실무협의회를 열고 산불피해목을 공공부문 목조건축사업에 활용하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경북지역 산불피해목 활용은 피해목 가운데 건축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나무 등을 제재목으로 가공한 뒤 공공부문 목조건축물의 자재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산불피해목이 건축자재로 활용될 공공건축물은 △서울시의 국립목재문화체험장 △경기도 광주시의 목재교육종합센터 △충주시의 목재문화관 △제천시의 월악산 관광안내센터 등이다.
산림청은 산불피해목의 원활한 활용을 위해 우선 올해 제천시 국산목재협동조합에서 피해목을 가공하는데 이어 내년부터는 경북 포항시가 조성중인 경상권 목재자원화센터에서 가공할 계획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올해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을 다시 울창한 숲으로 복원하기 위해 위험목 제거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며 “민간기업 및 지방자치단체와 힘을 모아 산불피해목의 자원가치를 높이는데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