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경북 농업대전환, 혁신모델로 우뚝…농가당 4~10억 거뜬

주주형 공동영농에 이어 특화형 공동영농, 신 소득모델로 급부상
소득배가·청년 유입·지방소멸 해결 역할 톡톡

경북 농업대전환, 혁신모델로 우뚝…농가당 4~10억 거뜬
경북도가 역점 추진 중인 농업대전환이 소득배가·청년 유입·지방소멸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봉화 재산지구 참여 농가_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박현국 봉화군수(오른쪽 세번째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네번째), 박창욱 경북도의원(다섯번째). 경북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도가 역점 추진 중인 농업대전환이 소득배가·청년 유입·지방소멸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면서 혁신모델로 우뚝서고 있다.

봉화군 재산면에 난리 아닌 난리가 났다. 농가당 조수익 4억원은 기본이고, 도시에 있던 자녀들이 돌아오고 있다. 특히 그간 농촌에 뜸했던 아기 울음소리도 들리고 있다.

기술 혁신과 농업의 첨단화가 진행 중인 이곳은 농업 대전환의 새로운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소득 배가, 청년 유입, 지방소멸 해결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농가소득 두 배를 목표로 경북도가 지난 2023년도부터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경북형 공동영농'이 문경 영순지구의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에 이어 특화 품목을 중심으로 한 공동영농에서도 성공 사례가 나오기 시작했다.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이 고령·은퇴 농가가 땅을 내놓고, 법인은 규모화된 농지에서 대형 농기계로 이모작을 지어 참여 농가에 배당으로 소득을 돌려주는 것으로 농촌의 고령화 해결에 초점을 뒀다.

특화형 공동영농은 개별 영농을 하면서 선도 재배 기술 공유와 공동 방제·유통·판매 등의 협력으로 농촌 미래를 위한 투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봉화 재산지구(26농가, 21㏊)에서는 시설재배로 수박을 수확한 후 방울토마토를 재배하는 이모작을 추진하고 있다. 일반 노지에서 수박을 재배하면 ㏊당 9000만원 정도의 소득이 발생하고, 시설재배 시에는 1억5000만원의 소득을 올린다.

하지만 수박과 방울토마토를 이모작으로 재배하면 4억5000만원의 수입을 올려 3배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화형 공동영농의 가능성이 확인된 셈이다.

이철우 지사는 "농업대전환은 도내 전 시·군이 소외됨이 없이 다양한 방향으로 현장에서 시도되고 있다"면서 "규모화, 기계화, 첨단화를 통한 농업대전환으로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선봉에 선 도가 대한민국 농업의 대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강조했다.

봉화 재산지구 수박과 토마토 이모작 재배와 청송 주왕산지구 다축형 사과원 조성은 대표적인 특화 품목 중심의 공동영농 사례로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 농업인은 열심히 일하고 땅도 가지고 있는데 왜 도시 근로자보다 더 못 사나'라는 이 지사의 고민에서 시작된 농업대전환이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의 성공에 이어 특화형 공동영농이라는 또 하나의 소득 모델로 대한민국 농업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