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르포]"윤석열표 반노동 정책 즉각 개정하라" 민주노총, 이재명 정부 첫 대규모 총파업

△노조법 2·3조 개정 △윤석열 정권 반노동 정책 폐기 △노·정 교섭 요구
도로 점거, 교통 체증
오는 19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서 대행진 예정

[르포]"윤석열표 반노동 정책 즉각 개정하라" 민주노총, 이재명 정부 첫 대규모 총파업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1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인근에서 수도권 총파업 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서지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노란봉투법' 개정과 윤석열 정권의 반노동 정책 폐기 등을 요구하며 서울 도심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재명 정부 들어서 민주노총이 대규모 총파업을 벌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집회로 여의도 국회의사당역 일대 차로가 통제되면서 시민은 불편을 겪었다.

민주노총은 16일 오후 3시께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일대에서 '7·16 민주노총 총파업대회' 집회를 열었다. 경찰 비공식 추산 4500명, 주최 측 추산 1만명이 모였다. 서울 외에도 충북·전북 등 12곳에서 전국적으로 총파업대회가 열렸다.

비가 온 탓에 우산을 쓰고 우비를 입은 참가자들은 "윤석열표 반노동 정책 즉각 개정하라", "내란세력 청산하고 사회대개혁 실현하자"고 구호를 외쳤다. '온전한 노조법 2·3조 개정', '노동기본권 쟁취' 등의 팻말을 든 참가자들은 내리는 비를 맞으며 '임을 위한 행진곡'과 '파업가'를 불렀다.

연단에 오른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국회 문턱을 두 차례 넘긴 노조법 2·3조 개정을 앞둔 지금, 자본과 사용자들은 또다시 이 법을 가로막고 훼손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며 "반노동 정책을 끝장내고 노동자들의 권리가 보장받는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이 훼손한 3년을 빠르게 보존하고 만회하기 위해서 노조법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무대 위에 선 참가자들은 총파업을 선언하며 노조법 2·3조(노란봉투법)의 즉각 개정과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 정책 전면 폐기를 요구했다.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하고, 불평등·양극화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노동개혁을 실행할 것을 강조했다.

최대 약 900m에 달하는 인파에 일부 차로가 통제되며 정체가 빚어졌다.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5번출구~더샵아일랜드 편도 전 차로와 국회 앞 지하차도 여의교 방향 차로가 통제됐다. 국회의사당역 5번 출구 앞 버스정류장은 폐쇄됐다. 서울시 교통정보시스템(TOPIS·토피스)에 따르면 오후 3시께 국회 앞 지하차도 북단~국회의사당역 구간은 시속 14.0㎞/h로 정체됐다. 같은 시간 서울시 전체 속도는 시속 20.1㎞/h, 도심 전체 속도는 14.6㎞/h 수준이다.

대형 스피커가 설치돼 일부 시민은 소음으로 인한 불만을 토로했다. 국회의사당 일대는 노랫소리와 참가자들의 구호 소리로 메아리가 쳤다. 한 시민은 인상을 찌푸린 채 서둘러 걸어가기도 했다.

집회 참가자들과 경찰 사이에 물리적 충돌은 벌어지지 않았다.
형광색 조끼를 입은 대화 경찰들은 총파업대회가 시작되기 전부터 국회의사당역 5번 출구 앞에서 "여기로 가시면 된다", "안전을 위해 협조해달라"고 안내했다.

민주노총은 오는 19일 서울 중구 숭례문 앞 세종대로에서 '7·19 민주노총 총파업·총력투쟁 대행진'을 열 계획이다. 앞서 민주노총은 이번 총파업을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결단"이라며 "이재명 정부는 윤석열 정권이 남긴 반노동 유산을 청산하고, 노정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jyseo@fnnews.com 서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