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인천시, 내년 직매립 금지 시행 대비 다각적 대응체계 구축

공공소각시설 확충 및 생활폐기물 감량 등 선제적 대응

인천시, 내년 직매립 금지 시행 대비 다각적 대응체계 구축
정승환 인천시 환경국장이 17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내년부터 시행되는 수도권 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정책 시행에 따른 준비상황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갑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시는 내년부터 시행되는 수도권 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정책 시행에 대비 다각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했다고 17일 밝혔다.

인천시의 1일 평균 폐기물 발생량은 4170t(2023년 기준)으로 이 중 76%인 3154t은 분리수거해 재활용된다. 20%인 837t은 소각 처리돼 소각재 등으로 재활용되고 나머지 4%인 179t만 매립되고 있다.

시는 지난 2021년 법령 개정 이후 2026년 직매립 금지정책 시행을 대비해 공공소각시설 확충사업을 추진해왔다. 송도 자원순환센터 현대화 사업을 위한 사업비 분담 협약을 앞두고 있다. 2030년 준공이 목표다. 서구 자원순환센터 신설을 위해 이달부터 입지선정위원회를 재구성·운영한다.

시는 생활폐기물 감량뿐 아니라 자원순환가게, 자원관리사, 녹색나눔장터 운영, 폐비닐 분리배출 등 다양한 생활 속 재활용 정책을 꾸준히 시행해 오고 있다. 민간 소각업체와 협약을 체결해 유사시도 대비 중이다.

시는 직매립 금지 이후 매립량 제로화를 위해 생활폐기물 소각 뒤 발생하는 소각재를 100% 재활용하고 있다.

또 적극적인 폐기물 감량 정책을 시행해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감소시켜 매년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되는 생활폐기물을 감축(2020년 하루 324t→2024년 하루 179t)했다.

시는 올 하반기에 지역 내 민간 시설과 함께 생활폐기물의 감량화·재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협약을 체결하고 청년 서포터즈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소통창구를 마련할 계획이다.

정승환 시 환경국장은 “생활폐기물 감량·재활용 및 공공소각장 확충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왔다”라며 “앞으로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제도가 시행돼 자리잡을 수 있도록 환경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