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김정관 "농축산물 개방 얼마나 민감한지 인지… 관세협상에서 유념하겠다" [인사 청문회 '슈퍼위크']

조선협력을 협상 지렛대로 "동의"
재생에너지·원전·수소 등 조화돼야
해양플랜트 기능 해수부 이관 신중

김정관 "농축산물 개방 얼마나 민감한지 인지… 관세협상에서 유념하겠다" [인사 청문회 '슈퍼위크']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농축산물 시장 개방의 민감성을 잘 알고 있다며 관세 협상에서 유념하겠다는 뜻을 밝힌다. 또 조선 분야 협력을 관세 협상의 지렛대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에는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에너지 정책의 경우 재생에너지와 원전, 수소 등 모든 에너지의 믹스가 현실적으로 조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 기반인 농축산물 분야를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고 묻자, "농축산물 시장 개방이 얼마나 민감한 이슈인지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며 "협상팀도 이를 유념해 관계부처들과 충분히 의견을 나누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다만 농산물 같은 경우에도 제가 처음에 공무원 시작할 당시 우루과이라운드 할 때 농민뿐만 아니라 축산물에도 문제가 있었다"며 "농민들의 삶과 연관돼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정부 시절 확정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대해서는 변함없이 진행하겠다고 확인했다. 11차 전기본은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신규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출신인 김 후보자는 "업계에 있을 때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가 여야 합의를 통해 어렵게 합의해 (11차 전기본을) 만들어 준 것에 대해 매우 기쁜 마음이었다"며 "(국회가) 합의한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는 게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원전 인근 지역 주민들에 대한 지원 확대 필요성에 대한 질의에는 "공감하고,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각별히 살펴보도록 하겠다"라고 했다.


그는 정부 조직 개편 과정에서 산업부 일부 기능이 기후에너지부에 편입되는 것에 더해 산업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해양수산부로 이관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다는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굉장히 신중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후보자는 "조선산업은 단순히 물류·해운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기계산업,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디지털 등 다양한 산업이 얽혀 있는 복합산업"이라며 "이를 연계할 수 있는 부분은 결국 산업부에서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이 조선과 해운을 합쳐 국토부에서 맡게 했지만 결국 산업 간 연계성을 놓치면서 경쟁력을 잃게 됐다"며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고, 해수부와의 긴밀한 연계는 계속 살려 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