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정부 "경기 하방압력 여전…소비심리 개선 등은 긍정 신호"

낙관적 표현에도
소비심리 반등 수출 증가에도 생산 투자 부진
미국 관세 협상 변수로 통상 리스크 상존
추경, 민생소비쿠폰 등 정책 효과 기대

정부 "경기 하방압력 여전…소비심리 개선 등은 긍정 신호"

[파이낸셜뉴스]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정부는 일부 소비 지표 개선을 바탕으로 국내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기획재정부는 18일 발간한 ‘2025년 7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중심으로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우려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한 상황이나, 소비 심리 개선 등 일부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6월호에서 사용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표현에서 ‘증가’라는 단어를 뺀 데 이어, 이번에는 아예 ‘긍정적 신호’라는 표현을 추가하며 톤을 한층 완화한 것이다.

일부 소비심리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데다가 앞으로 지급될 전 국민 지원금의 내수 활성화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긍정 신호로 꼽은 지표는 소비자심리지수(CCSI)다. 6월 CCSI는 108.7로, 전월(101.8) 대비 6.9p 상승하며 넉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기준선(100)을 상회하며 소비 회복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다.

중국인 관광객 회복도 영향을 미쳤다. 6월 방한 중국인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8% 증가했고, 카드 국내 승인액은 1년 전보다 4.5% 늘었다. 다만 백화점(-1.1%)과 할인점(-1.6%) 카드 승인액은 오히려 감소했다.

6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하며 두 달 만에 반등했다. 이는 반도체 업황 개선과 함께, 8월 1일 종료 예정인 한미 상호관세 유예 조치 종료 전 선(先) 수요에 따른 일시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6월 일평균 수출액은 28억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8% 증가했다.

하지만 관세 협상 시한(8월 1일)이 임박함에 따라 통상 리스크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자동차·기계 등 제조업 전반의 수출 구조 다변화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미국발 관세 충격이 본격화될 경우, 하반기 수출 둔화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공급 측 지표는 여전히 부진하다. 5월 전(全)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1% 감소해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광공업 생산은 -2.9%, 제조업 생산은 -3.0%, 자동차 -2.0% 등 주요 산업이 모두 감소했다.
설비투자(-7.5%), 건설투자(-3.9%) 등 투자 지표도 동반 하락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에 대응해 31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최대한 신속히 집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오는 21일부터 신청·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비·지역경제 등 내수 회복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