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영암군, 다양한 귀농귀촌 지원정책 '눈길'

한 달 살기, 만원 하우스, 마더 하우스, 영암 서울농장 등

영암군, 다양한 귀농귀촌 지원정책 '눈길'
전남 영암군이 한 달 살기, 만원 하우스, 마더 하우스, 영암서울농장 등 도시민의 귀농귀촌을 지원하고 유도하는 다양한 정책을 펼쳐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은 서울농장 체험 모습. 영암군 제공

【파이낸셜뉴스 영암=황태종 기자】전남 영암군이 한 달 살기, 만원 하우스, 마더 하우스, 영암서울농장 등 도시민의 귀농귀촌을 지원하고 유도하는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귀농귀촌을 꿈꾸는 도시민이 농촌행을 망설이는 이유 중 하나인 주거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춰 머물고, 정착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해 눈길을 끈다.

먼저, '영암살래? 영암살래!'는 도시민이 영암에서 한 달간 머무르며 농촌 생활을 체험하는 체류형 정착 유도 프로그램이다.

행정안전부의 '두 지역 살아보기' 공모에 선정돼 진행하고 있는 이 사업은 군서면 5개 세대 주택에 입주해 마을 주민과 소통하며 농촌의 일상을 경험하도록 하고 있다. 영암군은 입주민을 위해 마을 주민 간담회, 일손 돕기, 텃밭 체험, 지역 문화 탐방, 재능 기부 등 참여형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전남형 만원세컨하우스'는 영암 정착을 희망하는 이들을 위한 주거 지원 정책이다. 농촌에 방치된 빈집을 리모델링하거나 철거 후 모듈러 주택을 설치해 월 임대료 1만원으로 제공한다. 입주자는 다른 지역에서 살며 영암 전입 예정자이어야 하며, 2년간 의무 거주 조건이 적용된다.

'마더 하우스'는 베이비부머 세대 귀향인에게 노후 주택을 리모델링해 정착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군비 70%, 자부담 30%의 수리비로 부모·본인 소유 단독주택을 고칠 수 있다.

영암군은 주거문제 해결을 넘어 마을 경관을 개선하고 방치 주택을 재생해 농촌 마을의 정주 환경 전반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미암면에 서울시민 체험시설로 운영 중인 '영암서울농장'도 인기다. 이 농장은 계절별로 딸기, 무화과 등 수확, 지역 축제 참여 등 2박 3일 프로그램으로 도시민의 농촌 이해·관심을 넓히는 도농 교류 거점 역할을 해오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400여명의 서울시민이 농장을 방문해 농촌 생활을 체험했다.

영암군은 이 밖에 귀농정착금 지급, 귀농인의 집 운영, 귀농산어촌 어울림 마을 조성 등의 사업으로 귀농귀촌인들을 지원하고 있다.

김선미 영암군 인구청년과장은 "도시민이 영암에서 살아보며 귀농귀촌을 결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거 사업과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도시민이 영암과 인연을 잇는 정책을 꾸준히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