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달만에 전망치 절반수준 낮춰
"무역 불확실성 지속적으로 부담"
내년 전망도 1.9%에서 0.3%p↓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로 대폭 낮췄다. 지난 4월 제시한 전망치(1.5%)보다 0.7%p 낮아진 수치로, 아시아태평양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ADB는 건설투자 감소,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 등에 따른 수출 둔화 등을 주요 원인으로 제시했다.
ADB는 23일 발표한 '2025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8%로 제시했다.
이는 한국은행(0.8%)과 한국개발연구원(KDI·0.8%)의 최근 전망치와 같은 수준이며, 국제통화기금(IMF·1%)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보다는 낮다.
ADB는 성장 둔화 요인으로 수출 위축, 건설투자 부진, 부동산시장 약세 등을 꼽았다.
ADB는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 증가와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수출은 앞으로도 더욱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6월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됐고, 확장적 재정정책에 힘입어 하반기 내수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ADB는 한국의 2026년 경제성장률도 1.6%로, 4월의 1.9%보다 0.3%p 하향 조정했다.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 인상 여파는 지속적인 부담요인이 될 것이라는 게 ADB의 분석이다.
이번 전망에서 아태 지역의 전체 성장률 전망치는 4.9%에서 4.7%로 하향 조정됐다. 지난해 12월에는 4.8%로 전망했다가 4월 들어 0.1%p 상향 조정했으나, 이번에 0.2%p 다시 낮춘 것이다.
ADB는 "미국발 관세전쟁에 따른 수출 위축이 아태 전반에도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중동 등에서의 지정학적 갈등과 중국 부동산 시장 장기 침체도 성장 둔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국가별로는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4.7%로 유지됐다. 대만은 3.3%에서 3.5%로 상향 조정됐다. 동남아 지역은 관세 전쟁에 따른 수출 타격 등 여파로 4.7%에서 4.2%로 큰 폭 하향 조정됐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