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협상 등 한미 양국 간 현안 논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24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공동취재
[파이낸셜뉴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24일 "한미 간 관세 협상이 막바지 중대한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미국 측과 총론적 차원의 협의를 마치고 귀국했다"고 했다.
위 실장은 이날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 경제부처 각료들이 워싱턴 현지에서 분야별 세부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위 실장은 "제가 수행한 총론적 협의는 경제 관료들이 진행 중인 실무 협상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위 실장은 지난 20일 비공개로 방미해 백악관을 비롯한 미 행정부 고위 인사들과 연쇄 협의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의 면담이 불발된 것을 두고 일각에서 제기된 '미국 측 거절' 보도에 대해 위 실장은 강하게 반박했다.
위 실장은 "루비오 장관과의 면담이 성사되지 못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긴급 호출 때문"이라며 "루비오 장관은 세 차례에 걸쳐 사과했고 이후 유선으로 충분히 협의를 진행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위 실장은 "루비오 장관은 협의 내용을 트럼프 대통령과 관계 장관들에게 충실히 공유하겠다고 밝혔고 향후에도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자는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위 실장은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 러트닉 상무장관,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 등 미 행정부 핵심 인사들과 만나 한미 통상 현안을 폭넓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러트닉 장관 및 그리어 대표와의 면담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배석해 경제부처 차원의 협의도 병행됐다.
다만 이날 오전 예정됐던 한미 재무·통상장관 간 '2+2 통상 협의'가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 일정으로 돌연 취소되면서 협상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바 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위 실장의 방미 성과와 루비오 장관과의 소통을 상세히 공개하며 불필요한 해석을 차단하려는 분위기다.
위 실장은 "이번 방미는 가능한 한 조용히 진행하려 했고 귀국 이후에도 협상 중인 사안에 대해선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한 만큼 안보·통상을 아우르는 고위급 조율이 협상의 마무리를 좌우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