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북한이 진수 중에 파손됐던 최현급 2번구축함을 22일 만에 복구, 진수기념식을 개최하면서 '강건'호 명명하고 "우리식 투쟁방식의 힘 있는 과시"라고 선전했다. 15일 군과 통일·외교가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국가의 해상주권과 국익을 억척으로 담보하게 될 또 한척의 다목적 구축함의 진수는 당과 인민 특유 불요불굴의 의지와 완강한 실행력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또 하나의 의미 깊은 사변인 동시에 우리식 투쟁방식이 안아온 고귀한 결실"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21일 북한이 청진조선소에서 5000t급 구축함 진수 중 자초되자 책임자를 체포하는 등 후속 조치를 취한 사건은 최근 국제 사회의 주요 뉴스로 회자됐다. 하지만 북한은 단 15일 만에 배를 다시 세웠다. 이는 작업이 몇 주가 걸릴 것이라는 많은 분석가들의 예상을 뒤엎는 것이었다. 이후 북한은 6월 말 차기 당 전체회의까지 함정을 복구하라는 김정은의 지시를 이행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북한은 이번 사건이 발생하기 불과 한 달 전 남포조선소에서 신형 구축함, 최현급 1번함을 진수하는 데 성공했다. 이 사건은 북한의 선박 건조 능력, 해군 역량 증강을 계속하는 북한의 의도가 무엇인지, 북한의 해군 야망이 함축하는 잠재적 함의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의문과 우려를 제기한다. 김정은은 2023년 8월부터 해군력 확대와 현대화의 중요성을 계속 강조해 왔으며, 지난 3월 8일 북한식 전략핵잠수함(SSBN) '핵추진 전략 유도 미사일 잠수함' 건조 현장을 최초로 공개했다. 핵을 장착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실은 SSBN은 장시간 잠함이 가능해 ‘최종 핵병기’로 불린다. 북한은 이미 또 다른 최현급 구축함 건조를 청진와 남포조선소에서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은 첫 번째 구축함 '최현호' 취역식에서 "우리는 물론 내년에 이 급의 전함을 건조할 것이다. 매년 다중 임무 구축함을 건조하는 계획을 실행할 것"이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북한의 해군 능력에 대해 회의적이지만, 북한은 우선순위, 자원, 시간을 투입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인상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거듭 보여주었다며 북한 해군이 러시아로부터 기술적 지원을 받고 있다면 이는 더 수월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 최현급 구축함의 정확한 성능 평가를 떠나서 북한이 1년 남짓한 기간에 이런 등급의 함정을 두 척이나 건조할 수 있었다는 것은 결코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통찰을 제공한다는 지적이다. 반길주 국립외교원 교수는 김정은이 최현급 2번함 진수식 과정에서 진수 실패 문책성 인사와 당장 복구하라는 지시를 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긴 이유는 "단지 신형함정 획득을 넘어 해양안보, 핵안보, 해외확장이라는 다목적 기제를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신형구축함은 북방한계선(NLL) 무실화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함정이다. 과거 북한 함정은 사통장비가 없어 NLL 무실화를 시도하는 연평해전 등 일련의 해전에서 패배하는 도전에 직면했다. 그런데 사통장비, 최신 미사일 등이 탑재된 함정을 전력화함으로써 NLL 무실화 시도 및 해상을 통한 제2전선 형성에서 차별화된 작전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정은 또 ‘해군의 핵무장화’를 지시했는데 이는 신형구축함에 전술핵무기를 탑재하겠다는 의미로 이것이 현실화될 경우 한반도 핵균형에 상당한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고 반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북한의 신형구축함은 해외 연합훈련과 해외파병의 임무도 가능한 함정이다. 이러한 목적성은 최현함 진수식에서 김정은이 “원양작전함대” 보유를 언급한 것에서도 확인된다. 더 면밀한 관측과 평가가 필요하겠지만 이 같은 함정의 기능적 요인 측면에서는 중국이 대만점령 완성 목표 시점인 2027년 이전에 대만 유사시 중국의 요구에 응할 수 있는 전력을 갖춘다는 의미도 있을 것이라며 이는 북한에게 대중국 레버리지를 높이고 러시아와 유사한 전략거래도 가능한 능력을 보유한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반 교수는 "재래식 무기와 핵무기를 융합하는 플랫폼으로서 총력전 수준으로 강건호을 진수한 상황에 대한 예리한 평가가 필요하다"며 "단지 신규 전력획득 차원을 넘어서 안보, 외교, 전략 차원에서 그 의도를 간파해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2025-06-15 12:36:40[파이낸셜뉴스] 북한이 지난달 발생한 구축함 '강건호' 진수 실패 사고와 관련된 핵심 인물들을 관영 매체에서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외부 전문가들은 이를 지난 2013년 장성택 처형 당시 이후 처음 목격된 '사진 속 인물 제거' 조치로 분석하며 해당 인물들이 매우 강한 처벌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14일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조선중앙TV는 지난 13일 강건호 진수 기념식 영상을 방영하면서 지난 3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함선건조사업 현지지도 사진을 재공개했다. 그러나 해당 영상에는 원래 사진에 함께 있던 김명식 전 해군사령관의 모습이 완전히 삭제된 채 편집됐다. 아울러 진수 실패의 현장인 청진조선소 지배인 홍길호 역시 과거 김 위원장과 함께 찍힌 지도 사진에서 등장했지만 이번 보도 영상에서는 마찬가지로 편집된 것으로 확인됐다. 홍길호는 사고 직후 가장 먼저 소환 조사를 받은 인물이다. 김명식의 경우 아직 공식적인 처벌 발표는 없지만 이번 영상을 통해 해군사령관직이 박광섭 상장(동해함대사령관 출신)으로 교체됐음이 공식 확인됐다. 이러한 편집 조치에 대해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북한 당국이 특정 인물을 매체에서 아예 지워버린 것은 2013년 장성택 숙청 당시 이후 처음"이라며 “사고 관련자들이 내부적으로 매우 강도 높은 처벌을 받았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강건호는 지난달 22일 함경북도 청진조선소에서 물에 띄워질 예정이었으나 배 뒷부분이 먼저 이탈하는 등 진수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위원장은 현장에서 사고 전 과정을 지켜본 뒤 "용납할 수 없는 심각한 중대사고"라며 강한 격노를 표출, 이후 즉각적인 관계자 소환과 문책이 이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2025-06-14 13:34:53◆국민권익위원회 <승진> ◇고위공무원(가급) △국민권익위원회 상임위원 박계옥 ◇고위공무원(나급) △신고심사심의관 허재우 ◆미래창조과학부 <승진> ◇고위공무원 △국립중앙과학관 전시연구단장 배정회 <전보> ◇고위공무원 △ 국립외교원 교육훈련 오용수 ◆통일부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 박광호 △남북회담본부 회담기획부장 이주태 ◆문화체육관광부 <임용> ◇과장급 △국립중앙박물관 전주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신상효 ◆고용노동부 <승진> ◇고위공무원 △최저임금위원회 상임위원 김성호 <전보> ◇과장급 △노사협력정책과장 권창준 △근로기준정책과장 임승순 △고용차별개선과장 임영미 ◆방위사업청 <전보> ◇과장급 △합동지휘통제체계사업팀장 기술서기관 윤여진 ◆코레일 ◇본사 실.단장 △홍보문화실장 차경수 △IT경영실장 박종빈 △여객마케팅단장 이선관 △열차운영단장 양대권 △차량기술혁신단장 박동섭 △전기기술혁신단장 주용환 ◇지역본부장 △충북본부장 윤성련 ◇부속기관장 △수도권차량융합기술단장 박규한 △부산차량융합기술단장 정현우 △IT운영센터장 전성근 △중부권물류사업단장 강성욱 △오송고속철도시설사무소장 지현우 △서울통신사무소장 임시호 ◇전략기획실 △전략2팀장 김현우 △디자인센터장 전경희 ◇IT경영실 △IT개발1팀장 박현정 △IT개발2팀장 정경우 △IT개발3팀장 차성열 ◇홍보문화실 △문화홍보처장 이응대 ◇경영기획본부 기획조정실 △경영기획처장 이성형 △조직혁신처장 김기춘 ◇경영기획본부 인재경영실 △기업문화혁신처장 김상고 △보수복지처장 박두호 ◇경영기획본부 재무경영실 △재무처장 정세훈 △물자관리처장 강건호 ◇여객사업본부 △여객신사업단장 지용태 ◇여객사업본부 여객마케팅단 △여객운송전략처장 주상화 △여객마케팅처장 홍승표 △CS기획처장 박화영 △관광유통처장 류정민 △역무시스템처장 김양숙 ◇여객사업본부 열차운영단 △열차운영기획처장 김종선 △운전기술처장 방기석 △열차서비스처장 장원택 ◇물류사업본부 △물류마케팅처장 구자권 △물류신사업처장 윤동희 ◇광역철도본부 △광역혁신처장 송포명 △광역마케팅처장 백승진 △교통신사업처장 직무대리 조영문 △광역서비스처장 김명철 ◇사업개발본부 △개발전략처장 한영철 △신사업개발처장 직무대리 강중현 ◇기술융합본부 △스마트유지보수처장 원용환 ◇기술융합본부 차량기술혁신단 △일반차량처장 정영찬 ◇기술융합본부 시설기술혁신단 △궤도기술처장 박순기 △토목구조물처장 이오현 △건축기술처장 이재홍 ◇기술융합본부 전기기술혁신단 △전철전력처장 장광훈 △통신시스템처장 성순욱 △차세대신호처장 김태락
2017-02-19 19:29:40◆코레일 ◇본사 실·단장 △홍보문화실장 차경수 △IT경영실장 박종빈 △여객마케팅단장 이선관 △열차운영단장 양대권 △차량기술혁신단장 박동섭 △전기기술혁신단장 주용환 ◇지역본부장 △충북본부장 윤성련 ◇부속기관장 △수도권차량융합기술단장 박규한 △부산차량융합기술단장 정현우 △IT운영센터장 전성근 △중부권물류사업단장 강성욱 △오송고속철도시설사무소장 지현우 △서울통신사무소장 임시호 ◇전략기획실 △전략2팀장 김현우 △디자인센터장 전경희 ◇IT경영실 △IT개발1팀장 박현정 △IT개발2팀장 정경우 △IT개발3팀장 차성열 ◇홍보문화실 △문화홍보처장 이응대 ◇경영기획본부 기획조정실 △경영기획처장 이성형 △조직혁신처장 김기춘 ◇경영기획본부 인재경영실 △기업문화혁신처장 김상고 △보수복지처장 박두호 ◇경영기획본부 재무경영실 △재무처장 정세훈 △물자관리처장 강건호 ◇여객사업본부 △여객신사업단장 지용태 ◇여객사업본부 여객마케팅단 △여객운송전략처장 주상화 △여객마케팅처장 홍승표 △CS기획처장 박화영 △관광유통처장 류정민 △역무시스템처장 김양숙 ◇여객사업본부 열차운영단 △열차운영기획처장 김종선 △운전기술처장 방기석 △열차서비스처장 장원택 ◇물류사업본부 △물류마케팅처장 구자권 △물류신사업처장 윤동희 ◇광역철도본부 △광역혁신처장 송포명 △광역마케팅처장 백승진 △교통신사업처장 직무대리 조영문 △광역서비스처장 김명철 ◇사업개발본부 △개발전략처장 한영철 △신사업개발처장 직무대리 강중현 ◇기술융합본부 △스마트유지보수처장 원용환 ◇기술융합본부 차량기술혁신단 △일반차량처장 정영찬 ◇기술융합본부 시설기술혁신단 △궤도기술처장 박순기 △토목구조물처장 이오현 △건축기술처장 이재홍 ◇기술융합본부 전기기술혁신단 △전철전력처장 장광훈 △통신시스템처장 성순욱 △차세대신호처장 김태락
2017-02-19 13:30:11◇한국씨티은행 �R기업금융그룹 △기업영업본부장 安鎔秀 △기업영업추진부장 金日台 △중소기업부장 申東翰 △동부지역본부장 金鍾培 △서부지역본부장 申吉雨 △중부지역본부장 李根桓 △경인영업본부장 李壽和 △경인영업추진부장 朴榮鐵 △대기업금융본부장 톰 팔로우즈 △법인영업1부장 鄭在烈 △법인영업2부장 柳明淳 △공기업·금융기업본부장 安正模 △은행·공기업영업부장 李鍾範 △금융기업영업부장 文晶煥 △종합금융본부장 申應植 △신디케이션팀장 金才範 △자산유동화팀장 金鍾澔 △프로젝트파이낸싱팀장 겸 수출금융팀장 이삼성 △기업금융상품영업본부장 洪性和 △금융상품영업부장 金成哲 △수출입상품영업부장 金鐘甲 △증권영업부장 金姬瑨 △GTS영업부장 金基范 △딜리버리시스템부장 韓禮錫 △씨티서비스부장 高銀河 �R소비자금융그룹 △개인영업본부장 姜信元 △개인영업추진부장 金英福 △씨티골드사업부장 겸 D지역부장 田熙秀 △씨티블루사업부장 金知會 △씨티비즈니스사업부장 李承龍 △전략영업센터장 겸 주택금융부장 趙成坤 △오토금융부장 洪鐘協 △A지역본부장 張東浩 △B지역본부장 朴鉉旻 △C지역본부장 鄭聖憲 △E지역본부장 玄允涉 △카드사업본부장 마노즈 바르마 △카드기획부장 이호석 △카드마케팅부장 金民旿 △카드세일즈부장 嚴敬植 △카드TM센터장 都昶國 △카드전산·준법감시팀장 金善淑 △카드업무지원팀장 金泰鎬 △소비자금융기획본부장 베티 드비타 △고객만족부장 朴翊鎭 △금융비즈니스개발부장 金榮錫 △시장분석부장 란지트 카이라 △소비자금융통합추진부장 빈센트 고 △전자금융부장 姜大圭 △마케팅본부장 李興周 △씨티골드마케팅부장 呂寅彰 △씨티블루마케팅부장 李敏興 △수신상품부장 趙顯一 △대출상품부장 金致訓 △마케팅기획부장 朴元敬 △웰스매니지먼트본부장 金龍台 △신탁·자금상품부장 金洪佑 △투자상품부장 李權烈 △방카슈랑스상품부장 文尙鏞 △연수·상담부장 金石九 △웰스매니지먼트기획부장 黃義晩 △씨티비즈니스본부장 金英哲 △씨티비즈니스상품개발부장 白炫善 △씨티비즈니스기획부장 龍煥彬 △씨티비즈니스마케팅추진부장 韓成佑 �RPB사업그룹 △PB상품개발팀장 朱石暾 △PB경영관리팀장 吳世任 �R자금시장그룹 △자금관리부장 朴炳卓 △ALCO·대외협력팀장 李範永 △외환파생영업부장 黃聖培 △외환데스크팀장 柳現廷 △옵션데스크팀장 姜健鎬 △스왑데스크팀장 金秀勳 △경제분석팀장 吳碩泰 △소비자금융자금본부장 데이비드 추 △자금관리·상품개발팀장 蘇妙貞 △자금기획팀장 李鶴浩 �R여신리스크관리그룹 △여신리스크관리그룹부그룹장 任演彬 △대기업리스크관리1부장 鄭玉姬 △대기업심사팀장 文恩英 △대기업여신기획팀장 吳英欄 △대기업포트폴리오관리팀장 金景美 △기업리스크관리본부장 金慶洪 △기업심사부장 李熙準 △여신관리부장 李奉熙 △여신기획부장 金容吉 △소비자금융리스크관리본부장 李載日 △개인여신리스크관리부장 金賢 △카드리스크관리부장 金春京 △개인대출센터장 劉永敏 △개인신용관리센터장 朴哲換 △소비자금융리스크통합추진부장 매튜 슈로더 △시장리스크관리부장 李鎔沃 �R경영지원그룹 △인사1부장 朴都圭 △인사2부장 李在榮 △RE자산관리부장 沈揆泳 △안전관리팀장 安泰烈 △홍보부장 朴善悟 △재무기획본부장 레이 아다모 △소비자금융재무기획부장 알리 브로커 △기업금융재무기획부장 金萬淳 △재무회계부장 姜廷勳 △IR팀장 成基天 △세무회계팀장 金三星 △구매예산관리팀장 洪載善 △법규본부장 유니스 김 △기업지배구조팀장 金峻敎 △신탁사업본부장朴昶滸 △신탁운용부장 宋斗一 △구조화신탁팀장 潘炳澈 △수탁영업팀장 梁仁容 △신탁업무부장 金宰澈 △업무전산본부장 裵學 △소비자금융업무부장 쉬리칸 크리샨 △영업점업무부장 金錫珉 △기업금융업무부장 白洪煜 △기업업무통합추진부장 웨인 수 △IT기획부장 金道秀 △IT통합부장 金文杰 △IT개발부장 柳在國 △TI부장 崔炳秀 �R콘트롤본부 △콘트롤본부장 李仁虎 △준법감시인 겸 GCIB준법감시부장 李京浩 △GCG준법감시·QA부장 李銀珠 △GCIB QA부장 朴奉奎 △C&C 연수부장 金在淵 △C&C(PB신탁)·AML부장 孔世鳳 △지점검사부장 李燦柱 �R전략기획부 △전략기획부장 吳政植 △ARR부장 일라이자 옹 △크레딧리뷰팀장 姜信培
2004-11-02 12:0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