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신안=황태종 기자】전남 신안군은 신안·진도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3호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신안군에 따르면 신안·진도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은 신안군 흑산군도와 우이도,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행해지는 전통어업으로, 동일한 어업 기술과 문화를 보유한 신안군과 진도군이 지난 3월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을 공동 신청해 성과를 이뤄냈다. 특히 신안·진도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은 만조 시 바닷물에 잠기고 간조 시 물 밖으로 드러나는 조간대에서 자생하는 돌미역을 맨손이나 미역낫 등 원시적 어업 방법으로 공동 채취해 분배하는 공동체 어업으로, 미역서식처(미역밭) 관리를 위한 전통 어업기술인 '물주기'와 '갯닦기'가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이번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으로 신안군은 진도군과 함께 3년간 총 7억원(국비 70%, 군비 30%)의 예산을 지원받아 국가중요어업유산 보전·관리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은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한 걸음이며, 지역 어민들의 생계와 문화를 지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어업유산을 발굴·지정해 지역 어업의 문화적 가치와 지식이 미래 세대에도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어촌의 고유한 유·무형 어업자원 중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정하는 제도로 지난 2015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신안군에선 기존 신안갯벌 천일염업(제4호),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제6호), 신안 흑산 홍어잡이 어업(제11호)에 이어 이번 신안·진도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제13호)이 추가돼 모두 4개가 지정됐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3-11-07 13:34:45[파이낸셜뉴스] 해양수산부는 전남 진도·신안군 도서지역 주민의 주요 소득원인 '조간대 돌미역 채취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3호로 지정했다고 6일 밝혔다. 진도·신안군 도서지역의 조간대(潮間帶·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육지가 드러나는 곳) 돌미역 채취어업은 옛 선조들의 원시어업 형태 그대로 이어져 왔다. 주민들은 미역을 따는 장소를 '곽전'(미역밭)이라고 부른다. 미역밭 갯닦기(잡초 제거)와 물주기를 하고 있고 미역을 채취할 때는 미역낫만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어민들의 오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내려온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정부는 2015년부터 보전할 가치가 있는 유·무형 어업자원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해 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3년간 7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지속 가능한 어업으로서 보전·관리된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2023-11-06 11:25:34[파이낸셜뉴스] 해양수산부는 국가중요어업유산의 사후관리와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지원하는 '국가중요어업유산 활용관리 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국가에서 보전 가치가 있는 유·무형 어업 자원을 발굴·지정해 체계적인 관리와 어업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2015년 '제주 해녀어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12곳이 지정됐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3년간 7억원의 예산이 지원되는데 이번 사업은 지원이 끝난 경우에도 사후관리 명목으로 추가 예산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세계식량농업기구(FAO)에서 지정하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심사를 받거나 신청을 준비 중인 곳들에 대해서도 지원을 강화한다. 현재 국가중요어업유산 중 제주 해녀어업과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어업은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심사를 받고 있다. 남해 죽방렴 어업은 등재 신청을 준비 중이다. 김원중 해수부 어촌어항과장은 "어업인만의 유산이 아니라 국민에게 가치 있는 국가중요어업유산 제도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2023-01-25 11:22:09【파이낸셜뉴스 강릉=서백 기자】 강릉시가 어업인들이 옛날부터 지속 유지 발전시켜온‘창경바리 어업’을 강원도 최초로 국가중요어업 유산지정에 나섰다. 14일 강릉시에 따르면 이번에 지정 추진하는‘창경바리 어업’은 떼배(뗏목) 또는 작은 어선을 타고‘창경’이라는 어구로 물속을 들여다보며 미역 등을 채취하는 전통어법이다. 창경바리어업은 맨손어업보다 많은 양의 미역을 채취할 수 있는 어업인들의 삶의 지혜와 노력이 엿보이는 어업유산으로 현재까지 강동면 정동1리, 정동진, 심곡어촌계 지선에서 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강릉시 관계자는“올해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되면‘23년부터 3년 동안 국비 7억원 지방비 3억원 등 총 10억원의 예산이 지원되며, 향후 지속적인 보전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후대에 전승하고 지역발전에 이바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yi23@fnnews.com 서백 기자
2022-06-14 07:49:16【파이낸셜뉴스 신안=황태종 기자】전남 신안군은 '흑산 홍어잡이 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 국내 11호, 전남 6호로 지정됐다고 9일 밝혔다. 신안군은 앞서 지난 2019년 '흑산 홍어잡이 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 신청했으나, 어선척수 및 총허용어획량(T.A.C)의 물량부족으로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해 최종심사에서 탈락했었다. 이에 그동안 흑산홍어잡이 어선척수 증가 및 T.A.C물량 추가 확보 등 끈질긴 노력 끝에 지난 7월 서류평가를 시작으로 지난 2~3일 흑산도 2차 현장평가 실시 결과, 최종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흑산 홍어잡이 어업'은 홍어잡이 방식 중 '주낙' 방식으로 흑산도 일대 연근해 어장에서 행해지는 전통어법이다. 지난 1980년대부터 한 개의 고리(약 90m)에 바늘 450개를 연결하고 미끼를 끼우지 않는 '걸낙' 방식으로 변화됐으며, '주낙'을 이용하는 전통어법 방식은 그대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세종실록지리지(1454년)에 홍어를 임금님께 올리던 진상품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고, '흑산 홍어'가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이 김약행의 '유대흑기(1770년)'임을 감안하면 '흑산 홍어잡이 어업'은 최소 250년 이상의 역사성을 가진 전통어업기술로 인정받았다. 특히 국외 홍어 생산지인 미국과 칠레, 아르헨티나 등지에서는 그물을 해저에서 끌어 고기를 잡는 방식인 트롤(Trawls) 조업으로 홍어 외에 다른 품종까지 혼획이 이뤄지는데 반해 흑산도의 '주낙' 방식은 혼획이 없고 미끼를 사용하지 않아 해양 오염도 최소화하는 등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점도 인정됐다. 이번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으로 신안군은 3년간 '흑산홍어잡이 어업'의 복원과 계승에 필요한 예산 7억원(국비 70%, 군비 30%)을 지원받게 되며, 이를 통해 흑산홍어 브랜드의 가치 향상은 물론 관광객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신안 흑산홍어잡이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돼 매우 기쁘다"면서 "체계적인 관리 및 보전을 통해 흑산홍어의 어족자원을 보전하는 한편 어업유산을 지역관광 상품자원으로 활용해 지역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을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어업인이 지역의 환경·사회·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 온 유·무형의 어업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하는 제도다. 지난 2015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신안군의 국가중요어업유산은 현재 신안갯벌 천일염업,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등 2개가 지정돼 있다. 흑산도 홍어잡이 어선은 16척(근해 7척, 연안 9척)이 조업중에 있으며, 2021년도 T.A.C 물량은 583t이며, 2020년도 홍어위판액은 56억원이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1-09-09 13:08:54【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도는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이 동해안권에서 최초로 국가중요어업유산(제9호)으로 지정받았다고 11일 밝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어업인이 지역의 환경・사회・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 온 유・무형의 어업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하는 제도다. 이번에 지정된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해양수산부 국가중요어업유산 자문위원회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서류평가, 현장평가, 주민의견 청취 등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했으며, 역사성, 생태계보호, 주민참여 등 전반적인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오동나무 등 통나무를 엮어 만든 떼배(뗏목)로 미역바위 군락까지 이동, 미역을 채취・운반하는 전통어업이다. 특히 울진・울릉지역의 돌미역은 품질이 좋아 조선시대 왕실에 진상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남아 있을 정도로 유래가 깊다.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매년 음력 3~5월 사이 파고가 고요한 날에 이뤄진다. 두 명이 한 조를 이뤄 떼배를 타고 미역바위 군락까지 이동해 한 사람은 창경(수경)을 들여다보면서 긴 낫으로 미역을 자르고, 다른 한 사람은 노를 잡고 낫 작업이 편리하도록 떼배를 움직인다. 채취한 돌미역은 떼배로 마을까지 운반, 볕이 좋은 백사장의 미역발에 널어서 건조하고, 어촌계는 10~11월께 갯바위 닦기를 통해 품질 좋은 미역이 자랄 수 있도록 관리를 하고 있다.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앞으로 3년간 총사업비 7억원(국비 4억9000만, 지방비 2억1000만)을 지원받게 돼 전통 어업문화의 유지 및 보전방안 마련과 홍보・마케팅・브랜드 개발 등을 추진하게 된다. 이영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에 따른 보전계획수립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도내 중요어업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보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남영숙 경북도의회 의원(농수산위원회)은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과 별도로 경북도 농어업유산의 발굴과 효과적인 보전・관리방안 등을 지원하기 위한 '경북도 농어업유산 보전 및 관리 조례'를 대표 발의, 전통적인 농어업유산 보전・관리에 깊은 관심과 의지를 보여줬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2021-03-11 09:18:27【창원=오성택 기자】 민물조개인 ‘재첩’의 주산지로 널리 알려진 경남 하동군의 ‘섬진강 재첩잡이’가 국가중요어업으로 지정됐다. 3일 경남도에 따르면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해수부 선정 2018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제7호로 지정됐다. 이번에 지정된 ‘섬진강 손틀 방류 재첩잡이’는 식량생산 분야의 우수성과 역사성을 지니고 있는데다, 전통어업을 지속하기 위한 경남도와 하동군 및 지역주민의 의지와 노력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에 국가중요어업으로 지정된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의 면적은 하동 75ha, 광양 65ha 등 총 140ha에 이르며, 서식환경이 잘 보존된 기수역에서 거랭이 등의 도구를 사용해 재첩을 채취하는 어법이다. 국가 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향후 3년간 어업유산 복원과 계승 등을 위해 7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이를 통해 지역 고유의 브랜드 가치 향상뿐만 아니라 어촌주민 소득 증대, 관광객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도는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경남 하동과 전남 광양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거랭이’라고 불리는 손틀 도구를 이용해 재첩을 채취하는 전통의 어업방식이다. 섬진강은 국내 재첩생산량의 70%이상을 차지하는 재첩의 주 생산지이며, 경남 하동군과 전남 광양시는 전통 어업유산 보전·관리를 위해 공동 협력하고 있다. 김춘근 도 해양수산과장은 “어촌에서 계승되고 있는 유·무형 어업자산들을 적극 발굴해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통한 해양관광산업을 육성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 2015년부터 제주 해녀어업·보성 뻘배어업·남해 죽방렴·신안 갯벌 천일염업·완도 지주식 김양식어업 등 국내 7개 국가중요어업유산을 지정·관리하고 있다. 경남은 올해 추가된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을 비롯해 2015년 지정된 ‘남해 죽방렴어업’ 등 2개의 어업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ost@fnnews.com 오성택 기자
2018-12-03 11:00:21【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과 광양·하동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신규 지정으로 전국 7개 중 전남은 5개를 보유하게 됐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해양경관과 어업 생태계, 전통어업, 해양문화 등 어촌의 중요한 가치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해 도입됐다. 지정 첫 해인 2015년 제주 해녀어업이 제1호, 보성 뻘배어업이 제2호, 경남 남해 죽방렴어업이 제3호로 지정됐고, 2016년 신안 갯벌 천일염업이 제4호, 2017년 완도 지주식 김양식어업이 제5호로 지정됐다. 무안·신안의 갯벌낙지 맨손어업은 남성은 '가래 삽'을 사용하고 여성은 '맨손'으로 갯벌에 서식하는 낙지를 채취하는 전통 어법이다. '가래 삽'은 일반 삽보다 작고 끝이 뾰족해 갯벌을 파기 쉬운 모양으로 제작된 낙지잡이 전용 삽이다. 특히 무안·신안의 갯벌은 영양분이 풍부한 펄 갯벌이어서 다른 지역에 비해 유연하고 부드러운 육질을 가진 낙지를 채취할 수 있다. 광양·하동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거랭이'라고 하는 손틀 도구를 이용해 재첩을 채취하는 어업 방식이다. 섬진강은 국내 재첩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재첩 주 생산지다. 광양시와 경남 하동군이 전통 어업유산 보전·관리를 위해 함께 협력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3년간 총 7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국가중요어업유산을 효율적으로 관리·보존하고 계승·발전시키는 곳에 쓰게 된다. 양근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지난해 완도 지주식 김양식어업에 이어 올해 2건이 신규 지정돼 전남지역 어업자원 보전 장래를 밝게 하고 있다"며 "전남지역 곳곳에 흩어져 있는 유무형어업 자산들을 추가로 발굴해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이 확대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8-12-02 14:45:01해양수산부는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과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30일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고유의 유.무형 어업자산을 보전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국가중요어업유산을 지정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제주 해녀어업(2015), 보성 뻘배어업(2015), 남해 죽방렴어업(2015), 신안 천일염업(2016),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2017) 등 5개가 지정되어 있다. 전남 무안.신안의 갯벌낙지 맨손어업은 남성은 ‘가래 삽*’을 사용하고 여성은 맨손으로 갯벌에 서식하는 낙지를 채취하는 전통어법이다. 특히 전남 무안.신안군의 갯벌은 영양분이 풍부한 펄 갯벌이어서 타 지역에 서식하는 낙지에 비해 유연하고 부드러운 육질을 가진 낙지를 채취할 수 있다. 경남 하동.전남 광양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거랭이’라고 하는 손틀 도구를 이용하여 재첩을 채취하는 어업방식이다. 섬진강은 국내 재첩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재첩의 주 생산지이며, 경남 하동군과 전남 광양시는 전통 어업유산 보전·관리를 위해 함께 협력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어업유산지정서가 발급되고, 앞으로 3년간 어업유산 복원과 계승 등을 위한 예산을 지원받게 된다. 이를 통해 지역 고유의 브랜드 가치 향상뿐만 아니라 어촌주민 소득 증대, 관광객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학기 해양수산부 어촌어항과장은 “앞으로도 우리 어촌에 계승되는 유.무형 어업 자산들을 적극 발굴해 체계적으로 보존 및 관리하고, 국민들에게 국가중요어업유산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 등을 널리 알리는 일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2018-11-30 11:42:35【무안남악=황태종기자】전라남도는 완도 지주식 김양식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 제5호로 지정됐다고 5일 밝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해양 경관과 어업 생태계, 전통어업, 해양문화 등 어촌의 중요한 가치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해 지난 2015년 도입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3년간 총 7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효율적으로 관리·보존하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다. 첫 해인 2015년 제주 해녀어업, 보성 뻘배어업, 경남 남해 죽방렴어업이, 2016년 신안 갯벌 천일염업이 각각 지정됐다. 올해 완도 지주식 김양식어업 지정으로 전국 5개 국가중요어업유산 가운데 전남 유산이 3개를 차지했다.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은 갯벌에 지주목을 세우고 발을 설치해 김을 기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썰물 때 물이 빠지는 갯벌의 특성상 다른 방식으로 양식하는 김에 비해 일조량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지주식 양식 방법으로 김을 기르면 일반적 부류식 양식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나, 생산되는 김의 맛과 향, 색깔 등이 더 뛰어나다. 현재 완도 지역 청용리, 가교리, 봉명리, 3개 마을의 24개 어가에서 전통 방식을 계승해 지주식 김 양식을 하고 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7-12-05 17: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