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예기치 않은 문제들로 10개월가량 우주에 체류 중이던 비행사 2명의 귀환을 위해 발사된 스페이스X 캡슐이 16일(현지시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하는 순간, 미국항공우주국(NASA) 생중계 화면에 ‘외계인’이 포착돼 전세계가 깜짝 놀라는 일이 벌어졌다. 이는 알고 보니 ISS에 도착하는 이들을 위해 한 우주비행사가 기획한 깜짝 이벤트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우주비행사 수니타 윌리엄스와 배리 윌모어는 지난해 6월 5일 ISS으로 향했다. 이들은 애초 일주일간 체류하며 짧은 임무를 수행한 후 귀환할 예정이었으나 우주선의 결함으로 ISS에 발이 묶였다. 그렇게 ISS에 남겨진 두 우주비행사는 작년 9월 귀환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 역시 ISS의 비상 탈출 장치 부족으로 무산됐고, 두 사람은 계속 이곳에 머물러야 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 14일 이들을 지구로 안전하게 귀환시키고 새 우주비행사들이 이들의 임무를 이어받도록 하기 위해 우주비행사 4명으로 구성된 '크루-10' 팀을 태운 캡슐을 발사했다. 이들 4명은 ISS에서 우주 임무를 수행하던 '크루-9' 팀원들과 교대하게 된다. 그런데 지난 16일 이 캡슐이 ISS에 도킹하기 직전, 나사의 공식 생중계 화면에 ‘외계인’이 포착됐다. 이 ‘외계인’은 흰자 없는 큰 검은 눈동자에 검은색 옷을 입고, 회색 빛깔을 띠고 있었다. 검정 후드티를 입고 파란 장갑을 낀 외계인은 ISS 내부를 떠다니며 손가락으로 경고 사인을 날리는 등 재밌는 광경을 연출했다. 이 외계인의 정체는 크루-9의 지휘관 닉 헤이그로, 크루-10을 환영하기 위해 기획한 작은 이벤트였다. 도킹을 마친 크루-10 대원들이 ISS에 탑승하자 헤이그를 비롯한 크루-9 팀원들은 이들을 환영하며 포옹했다. 크루-9은 인수인계를 마친 뒤 이르면 19일 지구로 돌아올 예정이다. 윌리엄스와 윌모어는 9개월 만에 지구에 돌아오는 셈이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5-03-17 16:21:23▲ 우주 비행사의 24시간/사진 출처 YTN 우주비행사의 24시간 우주 뉴스 종합'무중력 커피 마시며' 우주비행사의 24시간우주비행사의 24시간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우주비행사의 24시간은 어떻게 될까. 미국의 한 과학 매체가 19일(한국시각)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인들의 일상 생활을 밀착 취재했다. 보도애 따르면 우주인들은 대부분 지구를 바라보며 하루를 보낸다고 한다. 또 이상한 별의 움직임 등을 수시로 관측한다. 식사시간엔 '우주 전용 음식'을 먹으며 눈 보호를 위해 선글라스도 자주 착용한다.우주에서 입은 속옷들은 더러워지면 세탁할 수 없어 소각한다. 또 샤워 대신 혼합 세제로 몸 구석 구석을 닦는다고 한다. 머리카락이 자랐을 때는 가위 대신 진공 흡입기를 사용한다. 우주비행사들은 취침 시간, 중력 영향을 덜 받는 특수 방에서 잠을 청한다. 한편, 이런 가운데 우주정거장에 커피머신이 등장했다.최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무중력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고안된 커피머신이 배달된 것,'ISS프레소'로 명명된 무게 20㎏의 커피머신은 이탈리아 커피 제조업체인 라바짜와 우주식 전문 공학회사인 아르고텍이 만들었다커피머신은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한 소유스 로켓에 실려 ISS로 수송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우주인 사만사 크리스토포레티(37)와 미국인 테리 버츠, 러시아 안톤 슈카플레로프도 커피와 함께 탑승했다. 한편, 지구로부터 117광년 떨어진 은하계에서 5개의 행성이 발견돼 화제다. 미국 NASA(나사)와 유럽 공동연구진은 최근 112억 년 된 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따르면 이 행성은 지구로부터 117광년 떨어진 ‘케플러 444’라는 은하계에 속해있다.이 은하계에 속한 행성 5개는 모두 지구보다 크기가 작다. 그러나 지구와 비슷한 기체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우주 속 항성계 가운데 가장 오래된 별로 알려졌다. 112억년 된 행성계가 발견되면서 우주 과학자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지구와 비슷한 행성으로는 '화성'이 꼽혔다. 케플러 444 항성계의 나이는 태양계의 2배로 추정된다. 과학자들은 112억 년 된 행성계를 통해 우주 속에서 인간과 비슷한 생명체가 존재하리라고 확신하는 분위기다. 영국 버밍엄대 티아고 캄판테 박사는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서 "은하계에 고대 생명체(외계인)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한편, 영국 왕립천문학회도 최근 "우리 은하가 속한 국부 은하군에서 새로운 은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러시아과학원 특별천체물리학관측소 이고르 카라체셰프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8월 허블 우주망원경의 첨단관측카메라를사용해 국부 은하군에 속한 새로운 '왜소타원 은하'를 포착했다. 지구에서 물뱀자리 방향으로 약 7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질량은 우리 은하의 1만분의 1 정도이다. 이 은하는 연구 결과 가스나 먼지 등 새로운 별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가 거의 없어 어둡고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 희귀왜소타 은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은하는 큰 은하 가까이에 있어 가스와 먼지를 빼앗기고 있는 데 반해이 은하는 고립된 상태로 발견돼 더욱 놀라움을 자아내고 있다. 50여 개 은하가 모인 국부 은하군에서 고립된 왜소타원 은하가 발견된 것은 1999년 'KKR 25' 발견에 이어 두 번째 발견이다. 연구팀의 드미트리 마카로프 교수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왜소타원 은하가 무수히 존재할 수도 있고, 만약 그렇다면 우주의 진화에 관한 기존의 이해를 크게 바꿀 수도 있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희귀왜소타은하는 'KKs 3'로 명명됐으며 인류의 기원 열쇠로 주목 받고 있다. /온라인편집부 news@fnnews.com
2015-04-22 21:0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