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아파트 아랫집 베란다에서 지속적으로 흡연을 하는 남성으로 인해 고통받던 윗집 거주자가 전동 안마건으로 응징한 사연이 전해져 화제다. 베란다 흡연 항의했더니 "그럼 내가 나가서 피랴?" 지난 24일 한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아랫집 흡연충 박멸중’이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공개됐다. ‘흡연충’이란 흡연자와 벌레 충(蟲)을 결합한 단어로 흡연자를 혐오하는 의미를 가진다. 해당 집으로 이사온지 1년이 되어간다고 밝힌 작성자 A씨는 “아랫집에서 베란다 흡연하시는 아저씨가 있다”며 “밥먹을 때도 담배냄새, 아이들 방에도 담배냄새”가 났다고 토로했다. 이에 참다 못한 A씨는 아랫집 남성에게 찾아가 직접 항의했다. 그러나 A씨는 아랫집 남성이 “담배는 국가에서 파는 것이니까 국가에 따져라” “내집에서 내가 피우니까 문 닫고 살아라” “그럼 내가 밖에 나가서 피워야 되냐”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아이 방까지 담배냄새 나자.. 바닥에 전동안마기 대고 '덜덜덜' A씨는 또 “정말 같이 잘 살아보려고 정중하고 이야기를 했는데 사람은 안 바뀌더라”며 “해당 남성이 ‘내가 담배를 40년 피웠는데 너 때문에 끊어야 하냐’고 말하기도 했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A씨는 “응징 시작한다”며 “폭력으로 하면 후폭풍이 감당 안되니 담배냄새가 나면 바구니에 (전동) 안마기를 틀고 나갔다 온다”고 밝혔다. A씨는 전동 안마기를 켜면 “온 바닥이 덜덜덜덜 떨린다”며 “두 번 했는데 일주일 담배냄새가 없다. 또 (냄새가) 난다면 런닝머신 운동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A씨는 “내가 윗집인 것을 모르는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누리꾼 반응은 "통쾌하다, 윗집 무서운지 몰랐구나" 해당 게시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A씨의 응징이 통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아이디어 감사하다” “집에서 담배피우는 사람들이 아직 있다니” “윗집의 무서움을 모르는구나” “흡연자들의 흡연권리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때만 존중되어야 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자신을 아파트 입주자 대표회 위원이라고 소개한 한 누리꾼은 “흡연 때문에 세대 간 민원과 갈등이 많아 아예 ‘금연건물’로 지정하고자 주민 투표를 했고, 지방자치단체에 반수 이상의 동의 결과를 가지고 가면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금연건물 지정 신청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알렸다. 더불어 “금연건물로 지정되면 흡연 적발 시 10만원의 과태료 징수가 가능하지만 지하 주차장, 복도, 엘리베이터, 계단 등에서의 흡연 시에만 해당하고 개인 세대 내에서 피우는 것은 해당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기자
2023-07-28 09:27:21[파이낸셜뉴스] 한 공동 주택 주민이 날씨가 더우니 집안에서 흡연하겠다며 권리를 보장해달라고 주민들에게 경고장을 붙여 논란이 되고 있다. 20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주민 A씨가 A4 용지 가득 쓴 경고문이 올라왔다. A씨는 경고문에서 “공동 주택은 서로 배려하면서 지내는 곳이다”라며 “배려하지 않으면서 배려를 강요하지 마라. 너무 이기적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요즘 날씨가 더워 돌아다니기 힘들다”라며 “남 눈치 보지 않고 내 집에서 편안하게 피겠다”라고도 했다. 이어 “창문 밖으로 소리 지르지 마라. 담배 맛 떨어진다”며 “비싼 세금 내가며 떳떳하게 내 돈 주고 구매했다. 개인적인 시간 방해하지 말아달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담배 냄새를) 참지 못하겠다면 단독 주택으로 이사하는 것을 고려해 봐라”며 “흡연자들도 사람이다. ‘하지 마라’ 하지 말고 배려 좀 해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조금만 참으면 서로 편안해진다”라고도 했다. 이를 본 네티즌들은 “본인이 단독 주택 가서 살면 되는 거 아니냐”, “문 닫고 피면 될 것을”, “남에게 피해만 주는 행동을 왜 배려하냐” “어이없을 정도로 당당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입주자·사용자는 발코니나 화장실 등 세대 내에서의 흡연으로 다른 입주자 등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하지만 현행법상 이를 어겼을 경우 처벌하거나 강제할 법적 강제성은 없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3-07-21 07:10:38▲“정치·경제·교육 그 어떤 것도 과거 정부에 비해 좋아진게 없다. 가장 요란을 떨었던 부동산투기 문제도 가장 최악의 수준까지 왔다. 각종 비리가 터져나오는 것을 보면 이 정부를 계속 믿어야 하는 것인지 의심스럽다.”=계속해 터져 나오는 의혹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참여정부의 도덕성을 의심하게 만들고 있으며 그 동안 권력형 비리로부터는 비교적 자유로워서 깨끗한 정치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했지만 최근 유감스럽게도 그러한 깨끗한 정부에 관한 신뢰가 무너져 내리고 있고 그 끝은 불신일 수밖에 없다며.(청와대 홈페이지 ID:jsi1106) ▲“정말 한심한 주택정책이 아닐 수 없다. 이것은 무주택 서민들한테 내집을 마련해 주려는 의도가 아니라 이들을 상대로 엄청난 사기행각을 벌이는 정책이니.”=판교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의 분양가가 당초 예상보다 평당 100만원가량 높아진 평당 1000만원 안팎으로 정해지면서 시행자인 토지공사, 주택공사와 정부가 폭리를 취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재정경제부 홈페이지 ID:나국민)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커지는군요. 말도 안되는 입법을 한다 하고 젊은 패기로 열심히 할 것 같았던 분들이 각종 사건에 연루되고 이제는 열린우리당을 지지하지 않으렵니다. 한번 속고 두번 속았으면 됐지요.”=민주당 시절부터 열린우리당을 지지했고 대통령 탄핵사건 때 현 통일부 장관인 정동영 장관이 울부짖는 모습을 보며 눈시울을 붉혔고 총선 때 제1여당이 되었을 때 마음속으로 좋아했지만 최근 각종 비리를 보면서 열린우리당에 대한 마음이 떠났다며.(열린우리당 홈페이지 ID:시민) ▲“이동통신사들과 KT의 부도덕함은 웬만한 기업들이 따라가기 힘들죠. 1000억원은 이들에게 껌값입니다. 공정위는 장난치지 마세요. 벌금이 너무 약합니다. 1000억원 정도의 세금을 내는 것은 방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단 걸 알면서 왜그러는지요.”=KT와 하나로 텔레콤이 지난 2년 동안 서로 짜고 시내전화 요금을 올려온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양사가 데이콤과 함께 피시방 전용회선 요금도 담합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들 3개 유선통신사업자에 대해 1000억원이 훨씬 넘는 과징금을 부과한다고 하자 이는 너무 약하다며.(네이버뉴스 ID:kamagi) ▲“자기 자리에서 묵묵이 일하는 당신의 모습이 정말 아름답습니다. 제발 정치인들처럼 국민들에게 실망을 주는 그런 일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정계·재계·학계의 유명 인사들이 황우석 교수를 후원하는 데 앞다퉈 나서고 황교수의 연구성과 발표 때마다 증시까지 들썩이는 등 황우석 신드롬이 대한민국을 흔들고 있는 가운데 한 네티즌이 황교수에게 한마디. (네이버뉴스 ID:z1m2) ▲“말뿐인 불이익조치가 아닌 확실한 불이익조치가 있어야 한다. 적어도 대한민국 공기업에서 근무하려면 직계가족 중에 병역기피를 목적으로 한 국적 포기자가 없어야 되는 조항을 신설해라.”=국적법 시행에 따른 무더기 국적 포기 신청 논란을 다룬 한 방송사의 프로그램이 방송된 후 한 네티즌이 국적포기자들의 떳떳함에 오히려 당혹스러워 하며 한마디.(미디어다음 ID:은둔자) ▲“늘어가는 금연건물에 흡연자들이 쉴 곳은 없어져만 간다. 이제는 내 차안에서 피우는 것까지 조심해야 하나?”=열린우리당 장경수 의원이 24일 운전 중 흡연을 금지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여야 의원의 서명을 받아 다음주 중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힌 가운데 개정안은 모든 차의 운전자에 대해 운전 중 흡연행위를 금지하며 이를 위반하면 2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과료, 구류 등의 처벌을 할 수 있도록 알려지자 한 네티즌이 장 위원을 비판하며.(미디어다음 ID:네오피아)
2005-05-25 13:06:02[파이낸셜뉴스] 이사를 자주 다녀야 하는 등 불안한 주거 환경이 흡연이나 비만보다 수명 단축 효과가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현지시간) 영국 BBC, 미국 뉴욕포스트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호주 에식스대와 애들레이드대 연구진은 최근 주거 환경이 비만이나 흡연, 실업보다 생물학적 노화를 더 빨리 촉진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생물학적 노화란 실제 나이와 상관없이 신체 조직이나 세포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이는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가속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 스트레스가 흡연·비만보다 수명 더 단축시킨다" 이번 연구는 영국 가구패널조사(BHPS)에 참여한 사람 1420명으로부터 세부 거주환경과 추가 건강정보를 수집해 노화 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혈액샘플로 유전자(DNA)를 분석해 개인의 생물학적 노화 속도를 파악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민간 주택을 임차해 거주하는 세입자에게서 연간 약 17일 더 빠르게 생물학적 노화가 일어났다. 비만(8.4일)과 흡연(7.7일)보다도 더 빠른 속도다. 실업 상태(9.9일)보다도 일주일가량 더 빨랐다. 이에 연구팀은 불안한 주거 환경이 다른 요인보다도 신체에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한 것으로 봤다. 실제 주거환경이 안정되면 노화 가속도는 줄어들었다. 비교적 장기 임대 기간을 보장받고 임차료의 상당 부분을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공공 임대주택 세입자의 경우 연간 4.8일 더 빨리 늙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을 낀 자가 주택 소유자의 노화 가속도는 연간 3일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주거 비용 지원 등 주택 정책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주거 비용에 대한 더 큰 지원과 임대료 상승 제한 등의 주택정책이 개인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고 했다. 영국 연구팀 "주택정책이 국민 건강 개선할 수 있어" 연구팀은 이어 “생물학적 노화는 문제 요인을 개선하면 노화를 되돌리거나 완화할 수 있다”며 “주택정책의 변화가 개인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해당 연구는 백인 유럽인의 데이터만 사용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호주 주택연구센터의 에이미 클레어는 "세입자가 감당할 수 있는 주택 비용과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임대 기간, 거주 환경이 실제 개인 건강에 실질적이고 중요한 결과로 이어졌다"며 "생물학적 노화 속도는 건강 악화와 만성질환 위험도 증가, 사망과도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해당 논문은 학술지 ‘역학 및 지역사회 건강 저널(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에 실렸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기자
2023-10-17 08:36:22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이 2만2700달러를 넘어섰다. 또 생애 최초 주택을 마련하는 데 평균 8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12 한국의 사회지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559만원, 달러 기준으로 2만2708달러로 집계됐다. 1인당 GNI는 지난 1985년 2355달러를 기록한 이후 1990년 6303달러, 2000년 1만1292달러, 2010년 2만562달러, 2011년 2만2451달러 등으로 급증했고, 지난해 2만2700달러를 넘어서며 28년 만에 10배 이상 늘어났다. 지난해 기준 가구당(2인 이상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은 407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도 지난 2005년 289만8300원, 2010년 363만1700원, 2011년 384만1600원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월평균 소비는 245만7000원가량으로 지난 2005년 187만1900원에 비해 8년 새 60만원 가까이 많아졌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 비율이 14.2%로 높았고, 음식.숙박 지출 비율도 12.7%나 됐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들의 월평균 임금은 2012년 기준 300만원으로 지난 2000년 164만원에 비해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남성근로자 임금은 340만원인 반면 여성근로자 임금은 남성의 64.7%에 불과한 220만원으로 적어, 남성과 여성의 임금 차이가 컸다. 지난해 생애 최초 주택 마련 평균 소요시간은 8년이었다. 지난해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은 평균 5.1배로 지난 2010년 4.3배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월 소득 대비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19.8%로 2010년 19.2%보다 0.6%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주택보급률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2011년 주택보급률은 114.2%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인구 구성비를 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1.8%다. 0~14세는 15.1%,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는 73.1%다. 평균 연령은 38.9세다. 2030년엔 65세 고령인구 비중이 24.3%로 늘어난다. 4명 중 1명이 노인인 셈이다. 평균 연령도 46.2세로 올라간다. 2040년엔 15~64세 비중이 56.5%까지 떨어진다. 0~14세(11.2%)는 간신히 10%대를 유지한다. 반면 고령인구 비중은 32.3%에 달한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비중을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57.2가 된다. 생산가능인구 1.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평균 연령은 49.7세로 50세에 육박한다. 전체 인구도 2030년(5216만명)까지 늘다가 2031년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선다. 2040년엔 -0.4%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2011년 기준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었다. 10만명당 142.8명꼴이었다.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이 뒤를 이었다. 흡연인구비율은 19세 이상 인구의 26.3%였다. 2010년(26.9%)에 비해 소폭 줄었다. 남자 흡연율이 48.1%에서 46.8%로 줄어든 영향이 컸다. 반면 여자 흡연율은 6.1%에서 6.5%로 늘었다. 음주율은 남자가 25.5%에서 26.5%로 증가한 데 반해 여자가 7.6%에서 6.5%로 감소했다. 비만율은 19세 이상 인구의 31.9%였다. 여자 비만인구가 늘어난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2011년 기준으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하루 평균 14.3명이었다. 하루 평균 부상자는 935.3명으로 조사됐다. 1인당 에너지 소비량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11년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2억586만4000TOE(석유환산톤)이며, 1인당 4.14TOE를 소비했다. mskang@fnnews.com 강문순 기자
2013-06-21 03:42:33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이 2만2700달러를 넘어섰다. 또 생애 최초 주택을 마련하는 데 평균 8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12 한국의 사회지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559만원, 달러 기준으로 2만2708달러로 집계됐다. 1인당 GNI는 지난 1985년 2355달러를 기록한 이후 1990년 6303달러, 2000년 1만1292달러, 2010년 2만562달러, 2011년 2만2451달러 등으로 급증했고, 지난해 2만2700달러를 넘어서며 28년 만에 10배 이상 늘어났다. 지난해 기준 가구당(2인 이상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은 407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도 지난 2005년 289만8300원, 2010년 363만1700원, 2011년 384만1600원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월평균 소비는 245만7000원가량으로 지난 2005년 187만1900원에 비해 8년 새 60만원 가까이 많아졌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 비율이 14.2%로 높았고, 음식.숙박 지출 비율도 12.7%나 됐다. 우리나라 임금근로자들의 월평균 임금은 2012년 기준 300만원으로 지난 2000년 164만원에 비해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남성근로자 임금은 340만원인 반면 여성근로자 임금은 남성의 64.7%에 불과한 220만원으로 적어, 남성과 여성의 임금 차이가 컸다. 지난해 생애 최초 주택 마련 평균 소요시간은 8년이었다. 지난해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은 평균 5.1배로 지난 2010년 4.3배보다 증가했다. 지난해 월 소득 대비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19.8%로 2010년 19.2%보다 0.6%포인트 늘어났다. 반면 주택보급률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2011년 주택보급률은 114.2%로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인구 구성비를 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1.8%다. 0~14세는 15.1%,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는 73.1%다. 평균 연령은 38.9세다. 2030년엔 65세 고령인구 비중이 24.3%로 늘어난다. 4명 중 1명이 노인인 셈이다. 평균 연령도 46.2세로 올라간다. 2040년엔 15~64세 비중이 56.5%까지 떨어진다. 0~14세(11.2%)는 간신히 10%대를 유지한다. 반면 고령인구 비중은 32.3%에 달한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비중을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57.2가 된다. 생산가능인구 1.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평균 연령은 49.7세로 50세에 육박한다. 전체 인구도 2030년(5216만명)까지 늘다가 2031년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선다. 2040년엔 -0.4%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2011년 기준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었다. 10만명당 142.8명꼴이었다.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이 뒤를 이었다. 흡연인구비율은 19세 이상 인구의 26.3%였다. 2010년(26.9%)에 비해 소폭 줄었다. 남자 흡연율이 48.1%에서 46.8%로 줄어든 영향이 컸다. 반면 여자 흡연율은 6.1%에서 6.5%로 늘었다. 음주율은 남자가 25.5%에서 26.5%로 증가한 데 반해 여자가 7.6%에서 6.5%로 감소했다. 비만율은 19세 이상 인구의 31.9%였다. 여자 비만인구가 늘어난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2011년 기준으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하루 평균 14.3명이었다. 하루 평균 부상자는 935.3명으로 조사됐다. 1인당 에너지 소비량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11년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2억586만4000TOE(석유환산톤)이며, 1인당 4.14TOE를 소비했다. mskang@fnnews.com 강문순 기자
2013-06-20 17: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