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서원과 만휴정이 의성 산불의 화마를 피했다. 26일 안동시에 따르면 전날 의성 산불의 확산으로 문화재인 만휴정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제기되자 안동시 공무원과 소방대원들이 만휴정으로 출동, 살수 작업에 나섰다. 하지만 만휴정 인근 주차장까지 화마가 덮치고 연기가 심해 현장에 출동한 직원들의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이 돼 모두 철수했다. 만휴정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만휴정이 다 탔다'라고 주장해 만휴정과 묵계서원이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안동시 관계자들이 이날 소실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묵계선원은 지난 1687년 창건돼 보백당 김계행(1431~1517) 선생과 응계 옥고(1382~1436)선생을 봉향하는 서원으로 경북도 민속문화 유산이다. 만휴정은 조선시대 문신 김계행이 연산군으로 인해 정사가 어지럽게 되자 벼슬을 버리고 묵계서원 근처 송천 가장 깊숙한 계곡에 지은 집터 위에 지은 누각으로 국가유산청 자연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만휴정은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촬영지로 입소문을 타면서 시민들이 자주 찾는 명소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영양 답곡리 만지송'도 주변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보호책 일부가 그을렸지만, 현재 이상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199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만지송은 답곡리의 마을 뒷산에서 자라는 소나무로 가지가 아주 많아 '만지송'이라는 이름이붙었으며 수령은 400년으로 추정된다. 한편 26일 오전 10시 31분 의성 산불 확산으로 인근 고속도로 통행이 통제됐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서산영덕고속도로의 동상주IC~영덕TG까지, 중앙고속도로의 의성IC~예천IC까지 양방향 전면 차단 중이다. 이외 지난 25일부터 영주~영천간 열차와 포항~동해간 열차 운행도 중단돼 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2025-03-26 10:37:57【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나흘째 계속되고 있는 경북 의성군 산불이 강풍 영향으로 안동시를 지나 청송군 코앞까지 접근, 산림 당국 등에 비상이 걸렸다. 25일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등에 따르면 의성 산불이 전날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와 백자리, 금곡리를 지나 청송군 경계로부터 6㎞ 떨어진 지점까지 번졌다. 특히 이날 오후 이 일대 지역에서 초속 10~20m의 강풍이 불 것으로 예보돼 청송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안동 산불 현장 인근엔 묵계서원, 만휴정 등 문화재가 분포돼 있어 산불 특수 대응단 등이 총력 대응에 나섰다. 낮 12시 현재 의성·단동 산불의 진화율은 60%며, 헬기 77대·장비 457대·인력 3836명이 투입돼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산불 국가 소방력 동원에 따른 대구소방안전본부는 의성군에 소방차 3대 6명, 경남 산청군에 10대 21명을 각각 지원했다. 현재 이 산불의 전체 화선은 244㎞에 달하며 이중 146㎞를 진화했고 잔여 화선은 98㎞다. 산불 영향 구역은 축구장 크기 2만284개 규모의 1만4483㏊(추정)다. 이 산불로 주택 26채, 창고 33채 등 101개 시설이 피해를 봤다. 의성 지역에서는 1552명, 안동에서는 1264명의 주민이 대피시설로 피신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2025-03-25 13:36:16【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경북 안동시가 '스마트관광 도시 안동' 조성을 위해 손을 맞잡다. 4일 안동시에 따르면 안동관광두레센터 주으로 이날 오후 세계 물포럼 기념센터 대강당에서 '안동관광 상생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매칭데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안동관광 활성화를 주제로 하는 이번 토론회에는 한국스마트관광협회와 안동관광두레센터, 안동시 지역 관광산업 종사자 등이 참여한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온라인 유튜브 생중계로 기획, 대면 인원을 최소화하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게 토론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토론회는 1박 2일로 진행된다. 첫째 날은 '코로나19' 이후 관광객 유치를 주제로 전문가 발표가 진행된다. 이영근 한국스마트관광협회장이 '위드 코로나 시대 트렌드 변화와 스마트관광, 윤유식 경희대 교수가 'MICE 산업 발전 전략 및 실 사례', 전미경 경북관광두레협력센터장이 '거점도시 안동과 지역 관광 콘텐츠 현황'이라는 제목으로 각각 발표한다. 발표 후 한국스마트관광협회 소속 관광기업(15개사)으로부터 시와 경북북부지역 관광발전 제안을 듣고, 참가자들과 자유롭게 발전방안에 대해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둘째날 안동의 숨겨진 비경 만휴정과 묵계서원을 방문하고, 고택에서 술담그기 등을 체험하는 팸투어로 마무리된다. 방영진 시 관광진흥과장은 "국내 관광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우리지역 관광산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2020-11-04 08:5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