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진행하는 모든 사업이 ‘녹색사업’이다. 원자력발전이 차세대 녹색에너지로 각광받는 상황에서 방폐물을 관리하는 공단은 원자력발전의 지속 가능한 활용을 위한 ‘주춧돌’ 역할을 하는 셈이다. 지난해 1월 설립된 공단은 ‘믿음가는 세계 초일류 방폐물관리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기술적·사회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든 후 원자로에서 꺼낸 연료로, 이를 재처리해 96%가량을 재활용할 수 있다. 현재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이 재처리를 통해 사용후핵연료에 남아 있는 플루토늄 등 유용한 물질을 분리·추출해 원자력발전의 연료로 재활용하고 있다. 공단은 원자력학회, 방사성폐기물학회, 그린코리아21포럼 등 3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용후핵연료 관리 로드맵을 개발하기 위해 논의 중이다. 또 공단은 방폐물 관리사업이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 바람을 타고 신성장산업으로 부상하는 상황에 맞춰 관련기술의 국산화 및 해외진출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원자력발전을 하는 나라들은 방폐물 관리기술이 필수적으로 확보돼야 한다. 실제로 세계 최대 규모의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공장을 운영 중인 프랑스가 전 세계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를 위탁 재처리해 주는 것을 비롯해 일본도 이 설비 수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공단도 관련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해 올해 사용후핵연료 수송, 저장용기 등에 대한 특허를 약 14건 출원할 계획이다. 민계홍 방폐공단 이사장은 “원전 수출에 발맞춰 지속적인 R&D 노력을 통해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분야의 세계적 기술을 확보하고 녹색성장의 선두주자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yhryu@fnnews.com유영호기자 ■사진설명=민계홍 방폐공단 이사장(왼쪽)과 토마스 어니스트 스위스 방폐관리기관 사장이 지난 5월 6일 기술협력 협정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2010-08-24 19:34:28[파이낸셜뉴스] 경주 월성원전의 향후 향방을 결정할 '국민 공론조사'의 윤곽이 이르면 다음달 나올 전망이다. 현재 경주 원자력 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이 2022년 3월 경에 가득찰 것으로 예상돼 추가 건설이나 이를 대체할 만한 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민 공론조사에 앞서 진행 중인 전문가 의견수렴에서도 첨예하게 의견이 나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이윤석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 대변인은 12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 사용후핵연료 관리문제를 두고 전문가 의견 수렴 중으로 전문가 간에도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전문가 의견 수렴 후에 어떤 방식으로, 어떤 질문을 통해 전국 국민과 경주·울산 지역민들의 의견을 들어볼지 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사용후핵연료는 임시저장시설인 건식저장시설(맥스터)에 보관 중이다. 당초 2021년 11월에 임시저장소인 맥스터가 포화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월성 3호기 정비일정 연장 등으로 포화 시점이 4개월 정도 늦춰진 2022년 3월이 될 예정이다. 맥스터가 가득 찰 경우 사용후핵연료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는 임시저장소를 경주에 더 짓거나, 아니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중간저장 시설이나 영구처분 시설의 추가 건설이 불가피하다. 이 대변인은 "과거 신고리 5·6호기 문제의 경우 공사를 재개할 것인지 아닌지 결정하는 단순한 논의 였다"며 "반면 이번 월성원전의 경우 임시저장소 추가 건설 혹은 영구처분 시설 신규 건설에 대한 문제, 영구처분 시설을 설치한다고 해도 이를 한 곳에 짓는지 분산해서 짓는지 등의 여부, 경주와 인근 지역, 전국 국민 의견 수렴 문제 등 이해관계가 너무 복잡하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영구처분 시설 설치의 필요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가 다르고 이에 동의를 한다고 해도 이를 한 곳에 지을지, 아니면 분산해서 지을지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또 향후 우리나라의 지진과 해일 등 거대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과 안전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도 제각각이다. 이와함께 해당 시설이 들어설 지역 주민들의 여론과 설득도 필요하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영구처리시설을 운영 중인 국가는 없다. 핀란드만 유일하게 현재 자국 영토 내에 영구처리시설을 건설 중에 있다. 이밖에 스웨덴, 독일 등 사용후핵원료 재처리 기술을 갖춘 유럽 일부 국가의 경우 중간저장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이 대변인은 "경주 임시저장소의 경우 지진과 해일 등 자연재해가 없는한 영구적으로 안전한 시설이긴 하다"며 "다만 임시저장소가 가득 찰 경우 이에 대한 대책 차원에서 전문가 의견 수렴, 국민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재검토위원회 내부 전문가들도 향후 사용후핵연료 관리 문제를 두고 첨예하게 의견이 갈리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10일 전문가 검토그룹 34명 가운데 약 3분의 1인 11명이 국회에서 탈퇴 선언을 하기도 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현재의 공론화 추진 계획을 폐기하고, 부처와 산하기관별로 방만하게 운영되는 사용후핵연료 관리체계를 국가 차원의 관리위원회 설립해 정책의 신뢰도와 지속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2020-02-12 14: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