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전북 군산 고군산군도 해안에서 심해 희귀 어종 ‘산갈치’가 처음으로 발견돼 화제다. 해당 산갈치는 수심 400m~500m의 심해에서 서식하는 어종으로, 평균 수심 150m 이내인 우리나라 서해 근해에선 볼 수 없는 종인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난 14일 오전 6시께 군산에서 남쪽으로 40km가량 떨어진 고군산군도 말도 해안가로 떠밀려온 2m가량의 산갈치를 갯바위 낚시객이 발견해 기증했다고 밝혔다. 발견 당시에는 살아있었지만 뜰채로 뜬 후에는 곧 죽었다고 한다. 산갈치는 태평양이나 인도양 또는 우리나라 동해나 남해안 수심 400∼500m에서 발견되는 어종이다. 몸길이가 10m에 이르는 거대한 크기와 붉은 등지느러미를 가지는 등 화려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해에서 발견된 것은 첫 사례로 이번에 발견된 개체는 크기로 보아 어린 개체로 추정된다. 이런 크고 화려한 생김새로 인해 동서양에서는 산갈치에 얽힌 다양한 설화와 많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특히 산갈치의 출현은 지진 등의 징조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산갈치가 ‘산 위의 별이 한 달 동안에 15일은 산에서, 15일은 바다에서 서식하며 산과 바다를 날아다닌다’라는 전설이 있어 산(山)갈치라고 불린다. 안용락 해양생물다양성본부장은 “일반적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산갈치가 우리나라 동해와 남해 근해에서 드물게 발견된 기록이 있지만, 서해에서 발견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외형적으로도 손상이 적어 그 가치가 매우 특별하다”고 말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이번에 처음 확보한 산갈치에 대한 면밀한 형태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기자
2023-08-24 06:49:10[파이낸셜뉴스] 지진 전조 현상이라는 속설로 알려진 초대형 산갈치가 칠레에 이어 멕시코에서 포획돼 지진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5일 멕시코 시날로아주 해안에서 약 4m 길이의 산갈치가 포획됐다. 산갈치과 리본이악어(학명 레갈레쿠스 글레스네, Regalecus glesne)는 평균 10m 길이까지 성장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경골어류다. 해당 어류는 200~1000m 깊이에서 서식하는 심해다. 한편 앞서 지난 7월 칠레 북부 아리카에서는 약 5m 길이의 산갈치가 포획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지진이 임박했다는 전조 현상으로 보고 있다. 칠레와 멕시코는 지진 활동이 활발해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하기 떄문이다. 실제 지난 2020년 7월 알래스카에선 산갈치가 발견된 후 며칠 지나지 않아 강도 7.8 지진이 발생했고 같은 해 멕시코에서도 산갈치가 나타난 후 열흘 만에 강도 7.5 지진이 일어났다.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일으킨 동일본 대지진 이전에도 일본에서 산갈치가 다수 발견된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일명 '류구노쓰카이'로 불리는 갈치가 지진과 쓰나미에 대해 경고하기 위해 용궁에서 올라온다는 이야기가 전승된다. 다만 대부분의 전문가는 '심해어가 해안으로 떠밀려오면 대지진이 일어난다'는 속설이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이야기라고 말한다. 특히 심해어가 떼로 밀려 나온 게 아닌 한 마리씩 해안에서 발견되는 일을 지진과 엮기는 어렵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대신 전문가들은 산갈치가 해안에서 발견되는 이유를 '먹이를 찾으러 해수면까지 왔다가 파도에 해안으로 휩쓸려 나온 것'이라고 설명한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2022-10-13 07:43:17[파이낸셜뉴스] LS일렉트릭은 서울시 수중·핀수영협회와 공동으로 18일 경기 안양에 위치한 LS타워에서 제8회 전국 수중사진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 공모전은 수중세계의 신비로움을 일반인과 공유하고 바다를 대대손손 맑고 푸르게 보존하자는 취지로, 지난 2013년부터 열리고 있다. 이번 공모전에는 지난 9월까지 수중사진과 해양환경 2개 부문에 총 310여점의 작품이 접수됐다.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수중사진 부문 22점, 해양환경 20점 등 총 42개 작품이 입선했다. 최우수상작에는 양승철 작가의 '산갈치 유어'와 허만돈 작가의 '해파리와 다이버'가 선정됐다. 양승철 작가의 '산갈치 유어'는 지난해 12월 먹 다이빙(Muck Diving)의 성지라 불리는 필리핀 아닐라오에서 촬영한 작품이다. 심해에 서식하는 산갈치가 큰 지느러미를 펼쳐 마치 옷깃이 넓은 드레스를 입고 춤을 추는 듯한 환상적인 모습을 담았다. 허만돈 작가의 '해파리와 다이버'는 올해 8월 강원도 강릉에서 촬영한 작품으로, 대형 해파리와 그 뒤를 쫓는 다이버가 바닷속 콤비를 이루는 모습을 담았다. 이외에도 우수상 3개, 장려상 5개 작품이 입상했다. 이번 공모전 수상작은 오는 1월 중순까지 LS타워(안양)와 서울 LS용산타워 1층 로비에 전시될 예정이다.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일상에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바다 속 아름다움을 사진으로나마 함께하고 국내 수중사진 작가들을 발굴, 후원하기 위해 개최된 공모전이 8년째를 맞아 뜻 깊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 피로감 또한 커지는 요즘 국민들께서 수중사진 작품을 통해 잠시나마 위안을 얻으시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2020-12-18 09:25:22거대한 몸길이를 자랑하는 산갈치가 잇따라 잡히면서 필리핀 해안이 지진 우려에 휩싸였다. 19일(현지시간) RT뉴스 등에 따르면 필리핀 해안에서 지난 주에만 거대 산갈치 3마리가 낚였다. 산갈치 포획이 현지언론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지진이 일어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산갈치는 온·열대 지방의 심해 200m 밑에 사는 대형 어류로, 지반이 흔들리는 등 이상 징후가 느껴지면 해저에서 가장 먼저 이를 감지하고 해수면으로 올라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때문에 산갈치가 발견되면 지진이 일어난다는 속설이 널리 퍼져있다. 민다나오섬 아구산델노를테주 바다에서는 특히 두 마리가 발견되면서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편 세계에서 가장 긴 어류 중 하나로 알려진 산갈치는 몸길이 최대 55피트(약 16.7m), 몸무게 600파운드(약 272kg)에 달한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2017-02-20 09:34:53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주 LA 인근의 한 해변에서 5m가 넘는 길이에 달하는 대형 산갈치가 발견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3 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들에 따르면 지난 1일 산타 카탈리나 섬 해변에서 죽은채로 떠 있는 길이 17피트(약 5.18m) 길이의 산갈치가 해변 관리자에 의해 발견됐다. 산타 카탈리나 섬 관계자는 "이 정도로 큰 크기의 갈치가 발견되는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라며 놀라워했다. 이 산갈치는 해안 생물 연구를 위해 기부될 예정이다. 산갈치는 일반적으로 3m~8m까지 자란다. 생김새는 일반 갈치와 비슷하지만 옆으로 좀 더 납작하며 띠 모양으로 길다. 또 산갈치는 수심 300~1000m 정도의 심해에서 살기 때문에 잘 발견되지 않는 신비로운 어류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지난 2013년에도 산타 카탈리나 섬에서는 죽은 채로 바닷속에 가라앉아 있던 18피트(약 5.5m)짜리 초대형 갈치가 발견돼 화제가 된 바 있다. kjy1184@fnnews.com 김주연 기자
2015-06-04 09:25:44지난주 미국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발견된 길이 5m 산갈치. 출처=유튜브 영상 캡처 지난주 미국 해안에서 몸길이 4~5m에 달하는 초대형 산갈치가 연이어 발견된 가운데 이 '기현상'을 두고 여러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미국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에 연이어 출연한 이 거대한 바대생물체의 출현에 대해 몇몇 과학자들은 이것이 자연재해를 암시하는 사인이라고 주장했다고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 인터넷판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13일 스노클링을 하던 한 여성에 의해 발견된 첫 번째 산갈치는 5m가 넘는 몸길이에 해변으로 끌어오는데 16명이 필요할 정도로 거대했다. 며칠 뒤인 18일에 인근 해안에서 발견된 산갈치 역시 몸길이 4m가 넘었다. 산갈치는 최대 15m까지 자라며 경골어류 중에서 가장 긴 생물체로 알려져있다. 보통 900미터 이상의 심해에 살고 있어 이처럼 연이어 관찰되는 일은 매우 드물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이어 매체는 "일본의 전통신앙에 따르면 산갈치는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해수면에 올라 온다"며 "과학자들은 바닥에 사는 물고기의 경우 지진에 민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1년 일본 동북지방에 규모 8.9의 강진이 일어나기 몇 개월 전 12마리 이상의 산갈치들이 인근 해안에 밀려오거나 근처 어부들의 그물에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산갈치의 출현과 지진 발생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주장한다. 릭 피니 로스엔젤레스 자연사 박물관 소속 과학자는 최근 연이은 산갈치의 출현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산갈치가 어떤 이유로 인해 고통을 받고 죽어서 해안에 떠밀려 왔지만 그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며 "그것은 굶주림 혹은 방향 감각의 상실 등에 의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10년부터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산갈치가 목격된 것은 총 4차례에 달하며 이에 앞서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말리부와 롬폭 해안에서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지난주 발견된 이 산갈치들의 죽음은 자연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며 보다 자세한 연구를 위해 산갈치의 세포조직과 발견 당시 영상 등이 캘리보니아 대학에 보내졌다고 덧붙였다. onnews@fnnews.com 온라인 뉴스팀
2013-10-23 10:41:45초대형 산갈치 / 출처=데일리메일 홈페이지 캡처 몸길이 5m가 넘는 초대형 산갈치가 발견돼 누리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산갈치는 '전설의 물고기'로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긴 어류로 알려져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에서 뱀처럼 긴 거대 산갈치를 해양과학자 재스민 산타나가 수심 15m 해안을 관찰하던 중 모래 바닥에서 발견했다고 15일 보도했다. 이 산갈치의 몸길이는 5.5m로, 무게는 약 18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눈의 지름만 약 3㎝였다. 눈알 하나가 탁구공만한 사이즈다. 매체가 공개한 사진은 16명의 사람들이 초대형 산갈치를 들고 일렬로 늘어서 있다. 보통 수심 1000m 심해에서 서식하는 산갈치는 몸 형태는 갈치와 비슷하고, 은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고 몸길이는 3~8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onnews@fnnews.com 온라인 뉴스팀
2013-10-16 13:25:3515일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에 올라온 특이한 모양의 괴 물고기 사진에 누리꾼들의 관심이 뜨겁다. 전남 여수에서 잡혔다는 해당 괴 물고기는 몸체는 붉은 돔이지만 턱과 등에 더듬이 모양의 지느러미가 있으며 꼬리 지느러미는 가늘고 긴 형태를 띠는데다 끝 부분이 부채살 보양을 하고 있어 기이하기까지 하다. 15일 한 누리꾼은 인터넷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에 "지인이 잡았다"며 특이한 몸을 지닌 물고기가 찍힌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을 본 누리꾼들은 "괴물 물고기가 확실하다", "자연 파괴로 돌연변이가 아닐까"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이에 관해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사진상으로는 처음 보는 물고기"라며 "일부 누리꾼들이 실산갈치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꼬리 지느러미 모습이 실산갈치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해당 관계자는 "잡힌 장소, 포획자, 실물 여부 등 관련 정보가 너무 빈약해 무슨 물고기인지 공식 확인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실물로 확인된다면 연구조사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onnews@fnnews.com 온라인뉴스팀
2013-07-15 15:38:02초대형 산갈치 초대형 산갈치 포착,'황제의 허리띠'라 불리는 심해 물고기 무인 심해탐사로봇이 세계에서 가장 긴 어류로 알려진 심해어 '산갈치'와 조우한 영상이 인터넷에 공개됐다. 그동안 산갈치가 죽은 채 해안으로 밀려오거나 우연히 수면 위로 올라온 모습이 포착된 적은 있지만, 심해 환경에서 촬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초대형 산갈치'는 길이 15m에 무게 270kg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명은 'Regalecus russellii'로, '황제의 허리띠'라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청어떼를 이끌고 다닌다고 해서 '청어들의 왕'이라 불리기도 하는 초대형 산갈치 영상은 2011년 미국 해저탐사로봇 전문업체인 마코 테크놀로지사의 탐사 로봇이 심해 기름 유출을 조사하던 중 찍은 것이다. 이번에 카메라에 포착된 산갈치는 길이 5m로, 멕시코만 북쪽 지역 해저 463m 지점에서 촬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onnews@fnnews.com 온라인편집부
2013-06-11 09:09:14[파이낸셜뉴스] 호주 심해에서 말머리 모양을 한 거대한 심해어가 잡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낚시 전문방송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는 지난 20일(현지시간) 페이스북을 통해 낚싯배 선장인 커티스 피터슨이 이날 낚싯줄로 잡은 물고기의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 속 물고기는 말 같이 생긴 머리에 갈치처럼 긴 은빛 몸통을 가지고 있다. 크기를 보면 성인 남성 2명이 들어야 할 정도로 보인다.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에 따르면 해당 물고기는 ‘오어피쉬(산갈치)’다. 오어피쉬는 수심 1000m 깊은 바다에 사는 심해 희귀 어종이다. 최대 11m까지 자랄 수 있는 오어피쉬는 뼈대가 있는 물고기 중 가장 긴 물고기로 알려져 있다. 온대와 열대 해역에서 발견되는 오어피쉬는 지진 등 재앙의 전조라는 속설 때문에 ‘종말의 물고기(Doomsday Fish)’라고 불리기도 한다. 앞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기 전 오어피쉬 20마리가 일본 해안에 떠밀려 오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도카이대와 시즈오카현립대 연구팀이 1928~2011년 발생한 일본 지진과 오어피쉬 등 심해어 출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속설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낚시 평론가 알렉스 줄리어스는 호주 매체 데일리메일에 “이 물고기를 산 채로 잡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대부분은 이미 죽어서 해변에 떠밀려온 상태로 발견된다”며 “맛은 별로라고 들었다. 식감이 젤리 같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4-09-26 05:5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