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신한금융지주는 해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5억달러 규모의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공모 발행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 선순위 외화채권은 5년 만기 고정금리 채권이다. 발행금리는 미국 국채금리에 0.63%포인트(p)를 가산한 연 4.597%로 확정됐으며 기 발행 외화채권에 대한 차환을 위해 발행됐다. 미국 관세정책 유예 종료 시점이 임박함에 따라 시장 불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외화채권 발행 수요예측에 나서 목표 발행금액을 달성했다는 설명이다. 신한금융에 따르면 올해 발행된 민간 금융회사의 동일 만기 한국물(Korea Paper) 중 최저 스프레드다. 채권 발행을 앞두고 아시아와 유럽의 주요 투자기관들을 직접 방문해 투자설명회를 진행했다. 우량 발행사에 대한 높은 투자 심리를 바탕으로 총 130여곳의 투자자가 모집금액 대비 최대 6배에 달하는 약 30억달러 규모의 투자의향을 밝혔다 . 신한지주 관계자는 “미국 관세정책 여파 및 지정학적 리스크가 이어지는 가운데 탁월한 재무성과와 해외 투자자와의 두터운 신뢰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발행을 이끌어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발행에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크레디아그리콜·비엔피파리바증권·HSBC증권·미즈호증권·스탠다드차타드가 공동 주간사로, 신한투자증권이 보조주간사로 참여했다. zoom@fnnews.com 이주미 기자
2025-07-08 11:33:48NH투자증권이 6억달러(약 8200억원) 규모의 유로본드(Reg S) 발행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발행은 지난 2021년 이후 약 4년 만에 진행된 것으로, 국내 증권사가 해외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사례다. NH투자증권은 이번에 만기(트렌치) 3년과 5년짜리 채권을 각각 3억달러씩 발행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만기 구조로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유로본드는 3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3년) 금리에 90bp를 더한 4.676%, 5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5년) 금리에 100bp를 더한 4.873%의 금리로 발행됐다. 최초 제시금리(IPG)를 기준으로 182개 기관 투자자로부터 최대 71억달러(약 9조6000억원)의 주문이 몰릴 만큼 흥행에 성공했다 최종 금리(FPG)가 확정된 뒤에도 약 63억달러(8조5000억원)의 규모의 주문이 유지돼 목표금액 대비 10.2배에 달하는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에 따라 NH투자증권은 두 개의 채권 모두 최초 제시 금리보다 40bp 를 낮추며 시장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발행했다. NH투자증권은 △국내 증권사 중 가장 큰 폭의 금리 타이트닝(투자자 입장에서는 낮은 금리로도 투자 의사를 보임) △레고랜드 사태 이후 가장 낮은 금리 차이(스프레드) 기록 △은행 계열 증권사 중 가장 많은 투자 주문 확보 등 세 가지 부문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은 "증권업의 외화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외화 조달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외화사채 발행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 기반을 확충하고, 외화 조달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자 사채 발행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5-07-03 18:14:14[파이낸셜뉴스] NH투자증권이 6억달러(약 8200억원) 규모의 유로본드(Reg S) 발행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발행은 지난 2021년 이후 약 4년 만에 진행된 것으로, 국내 증권사가 해외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사례다. NH투자증권은 이번에 만기(트렌치) 3년과 5년짜리 채권을 각각 3억달러씩 발행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만기 구조로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유로본드는 3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3년) 금리에 90bp를 더한 4.676%, 5년 만기 채권이 미국 국채(5년) 금리에 100bp를 더한 4.873%의 금리로 발행됐다. 최초 제시금리(IPG)를 기준으로 182개 기관 투자자로부터 최대 71억달러(약 9조6000억원)의 주문이 몰릴 만큼 흥행에 성공했다 최종 금리(FPG)가 확정된 뒤에도 약 63억달러(8조5000억원)의 규모의 주문이 유지돼 목표금액 대비 10.2배에 달하는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에 따라 NH투자증권은 두 개의 채권 모두 최초 제시 금리보다 40bp 를 낮추며 시장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발행했다. NH투자증권은 △국내 증권사 중 가장 큰 폭의 금리 타이트닝(투자자 입장에서는 낮은 금리로도 투자 의사를 보임) △레고랜드 사태 이후 가장 낮은 금리 차이(스프레드) 기록 △은행 계열 증권사 중 가장 많은 투자 주문 확보 등 세 가지 부문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이번 성공적인 발행이 앞으로 국내 증권사들의 해외 채권 발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병운 NH투자증권 사장은 “증권업의 외화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외화 조달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외화사채 발행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 기반을 확충하고, 외화 조달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자 사채 발행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NH투자증권의 일반 운영자금과 해외 사업 투자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5-07-03 13:22:46[파이낸셜뉴스] 신한은행은 지난 6일 USD 5억 달러(약 7133억원) 규모의 글로벌 선순위 외화채권 공모 발행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채권은 5년 만기 고정금리 채권으로 발행금리는 동일 만기 미국 국채 금리에 0.72%p를 가산한 연 4.649%로 확정됐다. 신한은행은 이번 채권 발행을 앞두고 아시아와 유럽, 미주 지역의 주요 투자 기관들을 직접 방문해 투자설명회를 진행했다. 시장 불안감이 여전한 가운데 우량 발행사에 대한 투자 심리 회복세가 살아나면서 투자자 220여곳이 참여하는 등 총 44억불 규모의 주문이 이어졌다. 이에 최초 제시금리보다 가산금리를 0.38%p 줄였다는 것이 신한은행의 설명이다. 신한은행은 지난 2020년 하반기부터 모든 외화 공모채권을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연계하고 있다. 이번 외화채권도 사회적(Social) 채권 형태로 발행에 성공하며 12회 연속 ESG 채권으로 발행하게 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글로벌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에서도 탁월한 재무성과와 그동안 쌓아온 해외 투자자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발행을 이끌어냈다”며 “앞으로도 재무적 성과와 자본 안정성을 기반으로 해외 투자자와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발행에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크레디아그리콜, JP모건, 미즈호증권, MUFG증권, 스탠다드차타드가 공동 주간사로 참여했다. gogosing@fnnews.com 박소현 기자
2025-05-09 12:07:59[파이낸셜뉴스] 동양생명은 지난 28일 5억달러 규모의 후순위 외화채권 발행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발행은 6.25% 금리 조건으로 전 세계 주요 지역 기관 및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180개 투자자로부터 총 36억달러 규모의 주문을 받아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이번 발행은 지난 2022년 이후 약 3년 만에 나온 국내 보험사의 외화채권 발행 사례다. 새 회계제도(IFRS17) 시행 이후 보험사들의 자본건전성과 재무 건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이뤄졌다. IFRS17 체계하에서는 부채 평가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보험사의 실질 자본력이 더욱 중요해졌고, 이에 따라 금융권 전반에서 선제적 자본 확충이 주요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동양생명은 지속적인 펀더멘털 개선과 견고한 수익성을 바탕으로 지난 3년동안 정기적인 해외 투자자 대상 NDR(Non-Deal Roadshow) 및 올해 두 차례에 걸친 글로벌 투자자 미팅을 통해 신용도(Credit) 제고에 힘써왔다. 이러한 꾸준한 노력은 이번 외화채권 발행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져, 4월 초 시장 변동성 확대로 한국물(KP) 발행이 쉽지 않은 여건 속에서도 대규모 주문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또 앵커 투자자(Anchor Investor) 확보를 통해 견고한 오더북을 구축하고, 동양생명 사상 최대 규모인 5억달러 조달에 성공했다. 이는 동양생명의 우수한 자본 적정성과 글로벌 시장 내 높은 신뢰도를 다시 한번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25-04-29 11:13:57[파이낸셜뉴스] 국내 투자자가 올 3·4분기 외화증권에 결제한 금액이 전 분기 대비 37% 이상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을 중심으로 외화주식과 외화채권에 대한 투자 심리가 동반 상승한 결과다. 외화증권 보관금액도 전 분기와 비교해 늘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국내 투자자의 올 3·4분기 외화증권 결제금액이 1746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전 분기 1270억1000만 달러 대비 37.5% 증가한 수치다. 최근 5개 분기 외화증권 결제 금액은 △2023년 3·4분기 1025억9000만 달러 △2023년 4·4분기 913억7000만 달러 △2024년 1·4분기 1282억8000만 달러 △2024년 2·4분기 1270억1000만 달러 등으로 지난 분기에 비해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다. 종류별로 외화주식은 1405억1000만 달러로 전 분기(1031억6000만 달러) 대비 36.1% 늘었다. 외화채권도 341억6000만 달러로 전 분기(248억5000만 달러)에 비해 43.2% 증가했다. 시장별로는 미국이 전체 결제금액의 82.1%를 차지해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를 포함해 유로시장·일본·홍콩·중국 등 상위 5개 시장이 전체 결제금액의 99.8%를 차지했다. 특히 전체 외화주식 결제 규모 중 미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96.4%로 압도적이었다. 전 분기(990억 달러) 대비로도 36.8% 증가했다. 종목별로 외화주식 결제금액 상위종목은 △디렉션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셰어즈 ETF △엔비디아 △테슬라 △디렉션 데일리 세미컨덕터 베어 3X ETF △그래나이트셰어즈 엔비디아 2X ETF 순으로 상위 10개 종목 모두 미국 주식이 차지했다. 이와 함께 한국예탁결제원이 관리하는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보관금액도 전 분기 말(1273억3000만 달러) 대비 8.3% 증가했다. 외화주식이 1020억4000만 달러로 7.8% 증가하고 외화채권이 359억 달러로 전 분기 말 대비 9.8% 늘었다. 외화증권 보관금액 분포도 시장별로 미국이 전체 보관금액의 77.4%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상위 5개 시장이 전체 보관금액의 98.3%를 차지했다.특히 미국이 전체 외화주식 보관규모의 90%를 차지했는데 그 결과 보관금액 상위종목은 모두 미국 주식이 차지했다.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 순이다. 상위 10개 종목이 차지하는 금액은 전체 외화주식 보관금액의 47.6%으로 집계됐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4-10-10 10:30:37지난해 한국계 외화채권(KP) 발행액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부동산 경기악화로 아시아 채권시장에서 중국물의 인기가 줄면서 대체수요가 KP로 유입된 결과다. 올해는 400억달러가 넘는 채권의 만기가 돌아오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에 따라 KP 발행여건이 악화될 수 있어 기업들의 자금조달 상황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KP 발행액은 564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발행액에서 상환액(397억달러)을 제외한 순발행 규모는 167억달러로 지난 2021년(129억달러) 수치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 지난해 KP 발행량이 큰 폭으로 늘어난 이유는 아시아 채권 시장에서 KP와 경쟁 관계에 놓인 중국 외화채권이 부동산 경기부진을 이유로 외면받았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중국 외화채권은 공기업(23억달러)에서 순발행됐지만 민간기업(-124억달러) 및 민간금융기관(-94억달러)에서 대규모 순상환됐다. 고지성 한은 국제국 외환건전성조사팀 과장은 "중국물은 부동산 기업 유동성 위기 등으로 투자수요가 줄어들었는데 이들의 대체수요 중 일부가 KP로 유입된 것이 KP 발행 호조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발행주체별로 보면 대기업(83억달러)과 국내 채권시장 공급부담 완화를 위해 원화채권 대신 KP를 발행한 공기업(68억달러)이 지난해 KP 순발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은행은 순발행 규모(29억달러)가 전년(91억달러)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풍부한 외화유동성에 외화대출이 감소하는 등 자금수요가 크지 않아서다. 한편 한은은 지난해 수준을 상회하는 405억달러의 만기 도래가 올해 예정된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에 따라 KP 발행여건이 악화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와 같이 글로벌 금융여건과 KP 수급상황이 갑자기 악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고 과장은 "유동성이 풍부한 은행과 달리 일부 기업은 발행여건 악화 시 조달비용이 크게 상승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원화채권 발행, 스와프 수요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가능성이 있어 국내 채권시장, 외화자금시장 등에 수급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물 수요 회복, 국내 부동산 PF 부실 확대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신용리스크 증대 등도 KP 시장여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2024-01-22 18:07:14[파이낸셜뉴스] 금융회사가 해외 인프라 투자 과정 등에서 보유하게 된 외화대출채권은 필요시 외국 금융회사에 양도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금융사 해외 진출이 보다 용이해지고 국내 수출기업에 대해서도 금융지원이 확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대부업 등의 등록 및 금융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2일 밝혔다. 현행 대부업법령은 대부채권의 불법·과잉추심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회사의 대출채권 양도가 가능한 대상을 대부업자, 여신금융기관, 공공기관 등으로 한정하고 있다. 외국 금융회사는 양도 가능 대상에 명시적으로 포함돼 있지 않다. 이에 은행 등이 △해외 인프라 투자에 참여해 인수한 대출채권을 외국 금융회사에 매각하거나 △외국은행의 국내지점이 무역금융 과정에서 취득한 대출채권을 해외 본점으로 양도 중인 관행도 현행 대부업법 문언상 금지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외국 금융회사에 대한 대출채권 양도 규제의 합리적 개선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 태스크포스(TF)를 운영했고 결과 등을 반영해 '대부업법 시행령'을 개정했다. 이에 따르면 금융회사가 양도 가능한 외화대출채권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 비거주자인 외국 차주(외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한 외화대출채권의 경우 양도를 허용한다. 또 국내 거주자를 차주로 하는 외화대출채권의 경우 외국 금융회사에 양도하는 경우로서, 그간 관행적으로 이루어져 온 거래 사례에 한해 양도를 허용한다. 이번 개정을 통해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인프라 투자가 보다 활성화되고, 외국계 은행의 국내지점·법인은 기존 거래 관행에 따라 안정적으로 영업을 지속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금번 국무회의를 통과한 '대부업법 시행령' 개정안 및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을 정한 '대부업등 감독규정' 개정안은 1월중(1.9일 잠정) 공포 즉시 시행될 예정이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2024-01-02 14:54:04[파이낸셜뉴스] SK증권이 오프라인에서만 가능했던 외화채권 중개 서비스를 금융상품 전용 앱 '주파수 웰스'에서도 할 수 있게 했다. 1일 SK증권에 따르면 이번 서비스는 USD 통화의 국채, 공사채, 회사채 등에 투자할 수 있으며 주파수 웰스 앱 내에서 환전부터 매수까지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현재는 USD 통화로만 외화채권 매수가 가능하며, 추후 다양한 통화의 외화채권 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이벤트도 진행한다. 비대면 고객 대상으로 주파수 웰스 앱을 통해 외화채권을 매수하면 신청 수량에 따라 1만달러 이상 5만원, 5만달러 이상 20만원 상품권을 지급한다. 해당 이벤트는 오는 11월 30일까지 진행한다. SK증권 관계자는 "어렵게만 느껴지는 외화채권 투자를 개인투자자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모바일로 구현했다"며 "주파수 웰스에 외화채권 중개 서비스를 추가함으로써 기존 달러RP와 더불어 고객에게 온라인 달러자산 투자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ynical73@fnnews.com 김병덕 기자
2023-11-01 15:11:20한국투자증권은 4억달러(약 5400억원) 규모의 외화채권 발행에 성공했다고 10월 31일 밝혔다. 당초 발행 예정액보다 1억달러를 늘렸다. 최근 금융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에도 높은 수준의 조달 경쟁력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한국투자증권이 이번에 발행한 외화채권은 3년 만기다. 미국 3년물 국채금리에 235bp(1bp=0.01%)의 가산 스프레드를 더한 조건으로 확정됐다. 최초 발행 예정액은 3억달러였으나 수요예측에서 170여개 기관으로부터 26억5000만달러에 달하는 유효주문이 몰리며 최종 4억달러로 증액 발행했다. 금리도 최초 가이던스 대비 25bp가량 낮다. 적극적인 로드쇼를 통해 다각화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와 안정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끌어낸 덕분이다. 한국투자증권은 10월 25~27일 홍콩, 싱가포르 등지에서 50여개 기관을 대상으로 대면 로드쇼를 실시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번 자금조달에 힘입어 글로벌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올해 초 미국 금융사 스티펄파이낸셜과 합작해 설립한 'SF Credit Partners'는 미국 인수금융 및 사모대출 부문에 진출해 활동하고 있다. 또 글로벌 운용사 칼라일그룹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해외 IB 딜 소싱 채널을 확대하는 등 차별화된 글로벌 금융상품 제공에 힘쓰고 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3-10-31 18: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