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성묘객의 실화로 발생한 경북 의성 산불로 신라고찰 운람사가 불길에 휩싸인 영상이 공개됐다. 지난 22일 경북 지역 매체 플러스경북 유튜브 채널에는 운람사 주변 산림이 시뻘건 불길에 타는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을 보면 스님들로 보이는 사찰 관계자들은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 채 이리저리 뛰어다닌다. 이들보다 멀리서 영상을 촬영한 사람은 “여기서도 뜨거운데”라고 말하며 자리를 옮기기도 했다. 사찰을 둘러싼 불길이 산림을 삼키는 소리와 함께 헬기 소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소방 관계자로 보이는 사람들도 분주한 모습이었다. 1분가량 이어지는 이 영상 말미 즈음, “스님, 대피해야겠어요. 이제!”라고 소리치는 여성의 목소리도 들린다. 의성군에 따르면 연쇄 산불로 안평면 비지정 문화재 운람사 전각과 부속 건물 등이 모두 불에 탔다. 불길이 운람사를 덮치기 전 아미타3존, 탄생불, 신중탱화 등 유물은 조문국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앞서 불은 22일 오전 11시 24분께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 정상에서 발생했다. 의성군은 이번 화재가 성묘객의 실수로 인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성묘객이 묘지를 정리하던 중 불을 냈다고 119에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림 당국은 산불 3단계를 발령하는 등 초기 진화를 위해 사투를 벌였다. 하지만 산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삽시간에 번졌다. 의성군은 실화로 산불을 낸 성묘객을 조만간 삼림보호법 위반 등의 혐의로 고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산림보호법상 실수라고 하더라도 과실로 인해 산림을 불에 태워 공공을 위험해 빠트리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진다. 지난 2016년 쓰레기를 태우다 산불을 낸 A씨는 징역 10개월에 8000만 원의 배상 결정을 받았으며, 2021년 영농부산물을 태우다 산불을 낸 B씨는 징역 8개월 처벌을 받았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5-03-24 07:43:57[파이낸셜뉴스] 경북 의성군 안평면에 위치한 비지정 문화재 운람사가 발생한 연쇄 산불로 전소됐다. 22일 의성군에 따르면 안평면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운람사의 전각과 부속 건물 등이 모두 불에 탄 것으로 확인됐다. 군 관계자는 "운람사에 보관돼 있던 아미타3존, 탄생불, 신중탱화 등 주요 문화재급 유물은 불길이 운람사를 덮치기 전에 조문국박물관으로 긴급 이송 조치했으며 주지 스님도 다른 사찰로 피신했다"고 밝혔다. 비지정 문화재인 운람사는 지역 역사와 불교 문화 연구에 중요한 사찰로 평가돼 왔다. 이번 산불로 일대 산림도 큰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2025-03-22 21:55:29[파이낸셜뉴스] 경북 의성 산불로 신라 시대 '천년고찰'인 고운사와 운람사가 전소되면서 끝내 눈물을 보인 스님의 인터뷰가 공개됐다. 27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25일 오후 4시50분께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가 산불에 완전히 소실됐다.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때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경북을 대표하는 대형 사찰 중 하나였다. 또 앞서 산불 발생 첫날인 지난 22일에는 의성군 안평면에 있는 운람사가 전소했다. 운람사 역시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천년고찰이다. 신라 신문왕 때에 국내 불교를 대표하는 의상 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산불로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신 보광전 등 운람사의 전각과 부속건물 등은 모두 불에 탔다. 다행히 화마가 운람사를 덮치기 전 아미타삼존, 탄생불, 신중탱화 등 문화재급 유산은 근처 조문국박물관으로 옮겨져 화를 면했다. 운람사의 본사인 고운사 도륜스님은 KBS와의 인터뷰에서 "보광전 앞까지 타게 되니까 어쩔 수 없었고, 스님들과 유물을 옮기다가 인명 피해가 나면 안 되니 철수하라고 해서 끝까지 남아있다가 철수했다"며 "문화재가 손상되면 세월을 복원할 수 없기 때문에 지켜야겠다는 마음으로 급하게 이동 조치를 했다"고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도륜스님은 "천년고찰을 이어왔는데 우리 대에서 부처님 전각을 잃어버리게 돼서 정말 죄송하다"며 끝내 눈물을 흘렸다. 이어 "부처님 도량을 지키지 못한 것에 정말로 죄송하고 부처님께 참회를 드린다"며 "산불이 빨리 진화돼서 종료되기를 바라고 다시 복원해서 예전과 같이 기도하고 희망을 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해당 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자책하는 스님을 위로하며 안타까워했다. 네티즌들은 "스님은 아무 잘못이 없는데 마음이 아프다" "스님들은 충분히 노력하셨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위로를 전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2025-03-27 05:32:02【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경북 의성 산불로 문화재는 물론 종빈마(씨를 받기 위해 기르는 암말)도 위협받고 있다. 24일 의성군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전 11시24분께 의성군 안평면 한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로 경북문화유산자료 등을 위협해 박물관 등지로 옮기고 있다. 특히 화선이 의성 고운사 가까이 접근하자 고운사 불상과 도서 등을 영주 부석사박물관으로 긴급히 옮겼다. 또 옥련사 내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불화는 안평면사무소로 옮겼다 다시 의성조문박물관으로 운송했다. 산불이 거세지자 주월사와 석불사에 있는 아미타삼존불, 목탁 등도 이동을 위해 대기 중이다. 앞서 의성군은 지난 22일부터 운람사 삼존불, 고운사 불상 등을 박물관으로 각각 이송했다. 또 의성 산불이 안평면 금곡리에 있는 한 목장 뒷산으로 번지면서 목장 등에 대한 대피령이 내려졌다. 지역의 한 농업회사법인이 운영하는 이 목장에는 종빈마 7마리를 포함해 총 33마리의 말이 사육되고 있다. 목장 관계자들은 산 아래 인접한 곳에서 방목하던 종빈마 7마리를 목장 입구 울타리 시설로 우선 이동시켰다. 일부 종빈마는 짙은 연기와 목상 상공을 지나는 헬기 소리에 놀라 사육사의 안내를 뿌리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목장 관계자는 "전날 목장 앞에서 난 불이 넘어올까 노심초사했는데, 뒷산에 작은 불씨가 바람을 타고 크게 번져 긴장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목장 뒷산에는 소방관과 의용소방대원 등 산불 진화 인력이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2025-03-24 13:4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