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지난해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액이 전년보다 4171억원 늘어난 3조529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지역 어업인 수(3만3272명)를 감안하면 1인당 1억원 이상 고소득을 올린 셈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국가통계포털(KOSIS) 어업생산동향 집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량은 전년보다 2.5% 줄었지만 생산액은 13.4% 늘었다. 이는 김 수출 증가에 따른 물김 산지 가격 상승과 참조기 등 일부 고가 어종의 어획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어업별 생산 실적은 양식어업은 전년보다 4522억원 증가한 2조2572억원(170만6336t), 어선어업은 594억원 감소한 9129억원(14만312t), 내수면어업은 243억원 증가한 3597억원(1만5261t)이다. 품목별로 어류는 전년보다 511억원 증가한 1조3081억원(13만810t), 패류는 949억원 감소한 6203억원(12만7770t), 해조류는 4620억원 증가한 1조11891억원(156만5563t), 갑각류는 204억원 증가한 2094억원(2만7084t), 이 외 기타 수산물은 215억원 감소한 2029억원(1만682t)이다. 품종별로 김은 전년보다 4403억원 증가한 9588억원(42만7138t), 미역은 93억원 증가한 908억원(55만1616t), 전복은 493억원 감소한 4864억원(2만3357t), 젓새우는 130억원 증가한 703억원(1만4597t), 뱀장어는 262억원 증가한 3385억원(1만637t)으로 집계됐다. 박영채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지난해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 현황 자료를 분석해 고소득 품종을 추가로 발굴하고, 부가가치를 높이는 수산 발전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전남 어업인이 흘린 땀이 좋은 결실을 보는 돈 버는 어촌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3-08 09:44:43【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2024년산 물김 생산 종료 결과, 생산량은 40만8000t, 생산액은 8000억원을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수산물 단일 품목으로 최초다. 시·군별 생산액은 진도 2284억원, 고흥 2162억원, 완도 1320억원 순이다. 전남지역 물김 생산은 전국 생산량 50만9000t 대비 80%, 전국 생산액 9742억원의 82%로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전년 대비 생산량은 1만7000t 증가했으며, 생산액은 3500억원이나 늘었다. 생산액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 122개국 김 수출 확대와 재고율 감소, 중국과 일본의 작황 부진 등으로 분석된다. 앞서 전남도는 광활한 김 양식 어장을 생산 초기 단계부터 본격 채취까지 불법 시설물의 강력한 단속과 일제 정비를 통해 적정 생산을 유도했다. 김 양식장 면적은 617㎢로 어류, 해조류, 패류 등 82개 양식품종 중 가장 넓은 면적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212배 규모다. 또 안정적 김 생산과 어가 소득 증대를 위해 김 육상채묘 및 냉동망 시설 지원 등 8개 사업에 27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신규 김 활성처리제 및 부가장치 개발 연구용역'을 통해 고효율 김 활성처리 물질 신규 개발로 무기산 사용을 근절하고, 친환경 이미지 제고 및 안정적 양식 환경 조성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박영채 전남도 친환경수산과장은 "올해 좋은 품질의 김이 많이 생산돼 김 양식 어업인의 소득이 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등 김이 효자 품목이 됐다"면서 "앞으로 신규 시책을 발굴하고, 지속 가능한 김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4-05-22 14:04:29【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2년 연속 전국 수산물 생산액 1위로 명실상부 전국 수산식품 산업의 중심지임을 입증한 가운데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오는 2026년까지 8040억 원을 들여 가공·유통산업을 집중 육성한다고 10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수산가공품 생산량은 29만 8000t(전국 생산량의 22%), 생산액은 1조 6773억 원(23%)으로 2년 연속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수산물 생산량과 생산액 역시 198만 t, 3조 1002억 원으로 전국 생산량(338만 t)의 59%, 생산액(7조 9583억 원)의 39%를 차지하고 있다. 전남지역은 국내 최대 수산물 생산지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가공 실적은 이에 미치지 못했으나, 최근 김 가공 및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지난 2020년부터는 가공품 생산액에서도 전국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수산물 수출액은 코로나19 장기화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3억 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8% 증가해 최근 5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수산물 수출액의 67%를 점유하는 효자품목인 김은 미국·일본 가정 내 김 가공품 수요 증가 및 세계 비건 시장 증가로 2억 400만 달러를 수출해 전년(1억 6800만 달러) 대비 21.3% 증가했으며 오는 2024년까지 3억 달러 목표 달성이 무난할 전망이다. 이 같은 성과는 전남도가 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에 나선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제1차 수산물 가공산업 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해 규모화, 현대화, 산업화 등 기반 조성을 통한 양적 성장에 집중했다. 그 결과 수산가공품 생산액이 2020년 사상 최초로 전국 최다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최근 급변하는 국내외 수산물 소비 흐름과 변화하는 수출시장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제2차 가공·유통 5개년 종합 발전계획'을 수립해 오는 2026년까지 가공·유통 분야별 6대 중점 추진전략과 93개 사업에 총 804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특히 '제2차 종합발전 계획'을 통해 가공 분야에서는 간편·기능성·대체식품 등 미래 유망 식품의 선제적 개발 및 상품화를 통한 수산가공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또 유통분야의 경우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위생적이고 안전한 수산물 공급 기반을 조성해 수산물을 안심하고 먹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최정기 도 해양수산국장은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수산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통해 수산가공·유통 소득은 4조 5000억 원을 달성하고 일자리는 18% 증가한 2만 7000여 명을 창출하는 등 수산식품산업이 전남의 경제를 선도하는 중추산업으로 우뚝 서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2-09-09 22:04:24【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지난해 수산가공품 생산액이 전년에 비해 1637억원(11%) 늘어난 1조6773억원을 달성, 2년 연속 전국 1위를 차지했다고 26일 밝혔다. 생산량도 전년 보다 1000t 증가한 29만8000t을 기록했다.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지역 수산가공품 업체는 1646개소로 전년에 비해 10개소가 늘었다. 업체당 평균 생산액은 10억1900만원으로 조사됐다. 해조류 건제품 제조는 지난해 보다 6% 감소한 반면 냉동품 제조는 7% 증가했다. 종사자 수는 7117명으로 코로나19 등으로 541명이 감소했다. 전남지역 수산가공품 생산액은 지난 3년간 연평균 14%씩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와 조기 등의 작황이 부진했으나, 이 때문에 산지가격이 오른데다 대형 소매점의 할인행사 등으로 수요가 늘면서 생산액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가운데 전남도는 수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수산식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제2차 수산가공·유통산업 발전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026년까지 가공·유통 분야별 6대 중점 추진전략과 93개 사업을 발굴해 총 8404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최정기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전남은 전통적으로 국내 최대 수산물 생산지임에도 불구하고 가공 실적은 이에 미치지 못했으나, 최근 김 가공 및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가공품 생산액도 전국 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도 가공시설 현대화 지원 등 수산가공산업을 지속해서 육성해 2026년까지 생산액 2조5000억원을 달성, 명실상부 수산식품산업이 전남의 경제를 선도하는 중추산업으로 우뚝 서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2-07-26 14:19:31【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지난해 수산물 생산량이 192만t, 생산액은 3조746억원으로 전국 생산량(332만t)의 58%, 생산액(7조9281억원)의 39%를 차지했다고 16일 밝혔다. 국가통계포털(KOSIS) 어업생산동향 집계 결과 전년보다 생산량은 4만7195t 늘었고, 생산액은 1855억원 증가했다. 전남의 수산물 생산량은 전남을 제외한 15개 광역시·도의 수산물 생산량 합계보다 많아 명실상부 수산 1번지로서 위상을 재확인했다. 어업별로는 양식어업이 전년보다 4만7248t 증가한 174만7794t(1조9113억원), 어선어업은 5632t 감소한 16만2636t(9321억원), 내수면어업은 5578t 증가한 1만3746t(2312억원)이었다. 품목별로는 어류가 전년보다 1001t 증가한 13만7050t(1조1227억원), 패류는 8613t 증가한 11만7592t(8186억원), 해조류는 3만5418t 증가한 162만1354t(6368억원), 갑각류는 899t 증가한 3만1613t(2716억원), 기타 수산물은 1262t 증가한 1만6567t(2248억원)이었다. 품종별로는 김이 전년보다 2만2543t 증가한 41만6655t(3814억원), 미역은 7만3795t 증가한 55만6011t(1268억원), 전복은 3175t 증가한 2만2909t(6848억원), 참조기는 5461t 감소한 1만8777t(1226억원), 뱀장어는 3686t 증가한 9286t(2149억원)이었다. 전남도는 올해 고소득 품종 육성, 친환경 양식어업 기반 확충, 양식시설 현대화 등 양식산업 기반을 조성하고, 어장 생태환경 조성 및 수산생물 산란・서식장 조성 확대 등 지속발전 가능한 양식산업을 위해 각종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지난해 수산물 생산현황 자료를 바탕으로 어업인 고소득 창출 품종 발굴 및 양식 생산 기반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전국 최대 수산물 생산지인 전남의 양식산업을 미래 식량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2-02-16 11:34:56【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지난해 수산가공품 생산량이 전년보다 8.6%(2만4000t) 늘어난 29만7000t을 기록했으며, 생산액은 17%(2164억원) 증가한 1조5137억원으로 전국 대비 24%를 점유했다고 28일 밝혔다. 수산가공품 생산량 증가는 미역의 양식 생산량과 가공업체 증가로 3만t이 늘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생산액은 미역과 김 등 해조류 산지가격 상승으로 1911억원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업체는 전년 대비 52개소가 늘어는 1636개소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해조류 가공업이 25개소 늘었다. 가공 방법별로는 해조류 건제품 41%, 냉동품 39%, 절임식품 9%, 조미가공품 7% 순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고부가가치 건강기능성 수산식품 개발을 위해 250억원을 들여 해조류 바이오활성소재 생산시설 구축과 해조류를 활용한 고차가공시설, 수산물 산지 가공시설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 위생적이고 안전한 수산물의 신속한 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230억원을 들여 수산물 유통물류센터 및 청정 위판장 건립, 수산물 저온저장시설, 로컬푸드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성장 잠재력이 높은 김 제품의 객관적 평가를 통해 우수한 제품을 생산·유도하기 위해 김 등급제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김 산업 진흥구역 지정 등을 통해 '김 수출 3억 달러 달성'을 조기에 실현할 계획이다. 최정기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김 산업 활성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는 한편 김 이외에도 전남에서 생산한 명품 수산물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현대화된 가공시설 지원을 확대해 가공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1-07-28 11:21:20【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지난해 수산물 192만t을 생산, 전국 최대인 58%의 생산량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발표된 어업생산통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남 수산물 생산량은 2018년보다 8만t 늘어난 192만t으로 전국의 58%, 생산액은 202억원 줄어든 2조 8468억원으로 전국의 39%을 기록했다. 도는 지난해 김·다시마 등이 작황 호조로 생산량이 증가한 반면 전복·조피볼락·참조기 등은 가격이 하락해 생산액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어업별 현황별로 △양식어업은 지난해 보다 8만t(4.7%) 늘어난 176만t, 1조 7039억원 △어선어업은 100여t(0.1%) 늘어난 15만 6000t톤, 9322억원 △내수면어업은 400t(0.4%) 감소한 9000t, 2105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요 품종별로 △김 생산량은 47만t으로 지난해 보다 1만 2000t 증가했으며, 생산액은 255억원 감소한 4521억원 △미역 생산량은 48만t으로 1만 7000t 감소, 생산액은 360억원 증가한 1629억원 △전복 생산량은 1만 8000t으로 2000t 감소, 생산액은 168억원 감소한 5835억원 △넙치 생산량은 1만 8000t으로 5000t 증가, 생산액은 101억원 증가한 2035억원이다. 위광환 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어업생산통계를 향후 수산시책 발굴과 수산업 발전방안 설정 등 정책수립에 적극 활용하겠다"며 "앞으로도 수산물 생산량 증대를 위한 친환경 양식어업 육성,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 수산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0-02-26 11:49:14【무안=황태종 기자】지난해 전남지역 어업생산량이 전국의 56%를 점유해 전남이 제1의 수산도임을 증명했다. 24일 도에 따르면 통계청 수산물 생산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8년 전남지역 어업생산량은 전년보다 8000t 줄어든 184만 2000t을 기록했다. 전국 생산량은 329만 8000t이다. 이에 따른 생산액은 2조 8670억원으로 전년보다 1627억원이 늘었다. 다만 전국 생산액(7조 4781억원)과 비교하면 38% 수준이다. 어업별 생산액은 해면양식어업이 전년보다 306억원(2%) 늘어난 1조 7320억원, 어선어업이 1236억원(15%) 늘어난 9440억원, 내수면어업이 85억원(5%) 늘어난 1910억원이다. 주요 품종별 생산액은 전복 6003억원, 김 4776억원, 넙치류 1934억원, 뱀장어 1780억원, 미역 1269억원, 참조기 1192억원 등의 순이었다. 주요 생산액 증가 품종은 미역 363억원, 전복 277억원 등이다. 전년과 달리 민꽃게 247억원, 젓새우 223억원, 굴 197억원, 문어 144억원, 참조기 129억원 등 어선어업 생산액 증가가 눈에 띄었다. 이는 지난해 유례없는 고수온과 태풍의 영향으로 양식생물의 대량 폐사가 생산량 감소로 이어졌으나 오히려 연근해어업 생산액은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양근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양식 경영비 절감 및 수산물 품질 향상, 소득품종 지원 등 지속적인 양식산업 정책을 펴고 있다"며 "앞으로 수산자원 회복사업을 확대해 기후변화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9-02-24 10:17:26【무안=황태종기자】전남 김 생산액이 사상 처음으로 4000억원을 돌파했다. 전남도는 2018년 김 생산액이 5일 현재 4230억을 기록, 전년 총 생산액(3997억원)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김은 11월에서 다음 연도 5월까지 생산된다. 전남지역에선 고흥 등 12개 시·군 2300여 어가, 70만 5000 책에서 이날 기준 물김 4230억원 어치가 생산됐다. 시·군별로는 고흥 1085억원, 진도 975억원, 해남 901억원, 신안 287억원 등이다. 전남산 물김 생산량은 전국의 80%를 차지한다. 지역 마른김 업체에서 1차 가공 후 바로 수출되거나 조미김·스낵김 등 2차 가공을 거쳐 전 세계에 수출되고 있다. 올해 물김 생산량은 성장 수온 유지 및 생장 양호로 5월까지 38만t, 4560억원이 예상된다. 한국 김 수출은 지난해 말 사상 최초로 5억 달러를 돌파해 올해 말에는 6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농수산물 수출 품목 중 담배, 참치에 이어 3위 수출 식품이 됐으며 이에 정부는 2024년 김 수출 10억 달러(1조 원)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세계 김 수출 증가에 따른 물김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김 양식어장을 확대해 생산을 늘리고, 불규칙한 어장 재배치 및 주기적 김발 노출 관리 등 지속적 어장 관리를 통해 김 품질 향상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양근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김 산업이 물김·마른김·조미김·전후방 산업 등으로 3조 원 이상으로 성장했다"며 "앞으로도 품질 고급화, 가공산업 육성,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 등을 통해 김 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8-04-05 14:45:40【무안=황태종기자】지난해 전남지역 어업 생산량이 전국의 57%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전남도에 따르면 통계청의 2017년 수산물 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남지역 어업 생산량은 전년보다 40만 1000t 늘어난 184만 5000t을 기록해 전국(327만 3000t) 점유율이 57%로 전년보다 5%포인트 늘었다. 이에 따른 생산액은 2조 6955억원으로 전년보다 5146억원 늘었으며, 전국(7조 4216억원)의 37%를 차지해 전년보다 3%포인트 증가했다. 어업별 생산액은 해면양식어업이 전년보다 4523억원(37%) 늘어난 1조 6926억원, 어선어업이 513억원(7%) 늘어난 8204억원, 내수면어업이 110억원(7%) 늘어난 1824억원 등이다. 품종별로는 전복 5726억원, 김 4580억원, 넙치류 2194억원, 뱀장어 1719억원, 낙지류 1064억원, 참조기 1063억원, 미역 907억원, 다시마 811억원, 젓새우류 693억원, 멸치 686억원 등이었다. 해조류의 경우 시설 면적 확대와 양식에 적합한 해황환경 유지로 김 생산액이 전년보다 1166억원, 미역·다시마가 285억원 늘었다. 어패류양식 분야 역시 시설량 증가와 폐사 절감을 위한 양성관리 도입으로 전복 생산액이 전년보다 2311억원, 넙치가 404억원, 뱀장어가 148억원 각각 증가했다. 어선어업은 해·어황 호조로 어획량 비중이 큰 참조기가 전년보다 173억원, 멸치가 152억원 늘었다. 양근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양식경영비 절감 및 수산물 품질 향상, 소득품종 창업 지원 등 지속적인 양식산업 육성정책을 펴고 있고, 낙지목장 조성과 종자방류 등 자원회복사업을 확대해 2020년까지 양식생산 2조원, 수산물 생산 3조원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8-02-22 14:2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