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지난해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액이 전년보다 4171억원 늘어난 3조529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지역 어업인 수(3만3272명)를 감안하면 1인당 1억원 이상 고소득을 올린 셈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국가통계포털(KOSIS) 어업생산동향 집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량은 전년보다 2.5% 줄었지만 생산액은 13.4% 늘었다. 이는 김 수출 증가에 따른 물김 산지 가격 상승과 참조기 등 일부 고가 어종의 어획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어업별 생산 실적은 양식어업은 전년보다 4522억원 증가한 2조2572억원(170만6336t), 어선어업은 594억원 감소한 9129억원(14만312t), 내수면어업은 243억원 증가한 3597억원(1만5261t)이다. 품목별로 어류는 전년보다 511억원 증가한 1조3081억원(13만810t), 패류는 949억원 감소한 6203억원(12만7770t), 해조류는 4620억원 증가한 1조11891억원(156만5563t), 갑각류는 204억원 증가한 2094억원(2만7084t), 이 외 기타 수산물은 215억원 감소한 2029억원(1만682t)이다. 품종별로 김은 전년보다 4403억원 증가한 9588억원(42만7138t), 미역은 93억원 증가한 908억원(55만1616t), 전복은 493억원 감소한 4864억원(2만3357t), 젓새우는 130억원 증가한 703억원(1만4597t), 뱀장어는 262억원 증가한 3385억원(1만637t)으로 집계됐다. 박영채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지난해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 현황 자료를 분석해 고소득 품종을 추가로 발굴하고, 부가가치를 높이는 수산 발전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전남 어업인이 흘린 땀이 좋은 결실을 보는 돈 버는 어촌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5-03-08 09:44:43【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지역 어가의 15.9%가 지난해 1억원 이상의 고소득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전남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고소득 어업인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해조류 양식업과 어선어업 호조로 지난해 연소득 5000만원 이상 고소득 어가가 3529곳으로 전년보다 181곳(5.4%) 늘었다. 특히 1억원 이상 어가도 2510곳으로 0.4% 증가해 2년 연속 최대치를 경신했다. 소득 구간별로 연소득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 어가가 1349곳(53.8%)으로 가장 많았고, 2억원 이상 5억원 미만 어가가 861곳(34.3%), 5억원 이상 어가가 300곳(11.9%)으로 나타났다. 전남 전체 1만5816곳 중 15.9%가 연소득 1억원 이상 고소득 어가에 해당되는 셈이다. 시·군별로는 완도가 633곳(25.2%)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고흥 415곳(16.5%), 진도 376곳(14.9%), 해남 296곳(11.7%), 신안 294곳(11.7%), 영광 249곳(9.9%) 순이었다. 증가폭이 가장 큰 해남과 신안은 물김 가격 상승과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보다 각각 18곳, 12곳이 늘었다. 반면 감소 폭이 가장 큰 완도와 영광은 전복 산지가격 하락, 굴비 판매량 감소로 각각 36곳, 34곳 줄었다. 업종별로는 해조류 양식어가가 668곳(26.6%)으로 가장 많았으며, 패류양식업 608곳(24.2%), 가공·유통업 474곳(18.8%), 어선어업 280곳(11.1%), 어류양식업 256곳(10.1%), 천일염 97곳(3.8%)으로 뒤를 이었다. 전년보다 해조류 양식업과 어선어업은 각각 46곳, 43곳 증가한 반면 패류양식업과 어류양식업은 113곳, 37곳 줄었다. 특히 어류양식업은 육상 수조식 양식의 인건비와 전기료 상승이 주요 감소 요인으로 분석됐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819곳(32.6%)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33곳(29.2%), 40대 441곳(17.7%), 70대 320곳(12.7%), 30대 170곳(6.7%), 20대 27곳(1.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별 분포가 젊은 층 비율이 낮고 고령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박영채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전기세, 유류비 인상, 인건비 상승 등 어려운 어업 환경 속에서도 어업인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고소득 어가가 2년 연속 증가했다"면서 "앞으로도 어업인의 경영 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에 나서 수산식품을 고부가가치 산업화해 어업인 소득을 높이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남도가 어업 경영 안정화 등을 위해 올해 132개 사업에 2581억원을 들여 미래 수산 전문 인력 양성, 스마트·자동화 시설 확충, 가공·유통 기반 시설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도 김 양식 생산액 증가와 수출 확대로 고소득 어가는 지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24-08-20 09:17:28【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가 오는 9일까지 3일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청년 어촌! 활력 바다!'를 주제로 열리는 '2019 귀어·귀촌 박람회'에 참가해 귀어·귀촌 정책을 알린다. 7일 도에 따르면 귀어·귀촌박람회는 귀어·귀촌을 바라는 예비 귀어인들에게 효율적 정보를 제공하고, 도시민의 귀어·귀촌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 주최로 지난 2015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이번 행사는 업종별 귀어·귀촌 성공인의 경험담과 조언을 들을 수 있는 '귀어·귀촌 성공사례 버스킹', 어촌 살림을 책임지는 어촌계장으로부터 직접 어촌생활 노하우를 듣는 '어촌계장·귀어인 토크쇼', 재미있고 쉽게 경매에 도전하고, 저렴하게 건강한 수산물을 맛볼 수 있는 '수산물 경매쇼' 등 다채롭게 진행된다. 도는 여수시, 고흥군, 장흥군, 해남군, 완도군, 신안군, 전남어촌특화센터, 사)한국수산업경영인전남도연합회와 함께 참가한다. 각 분야별 전문가를 통한 귀어·귀촌 상담, 전남 청정 바다에서 생산된 수산물 홍보·판매, 귀어·귀촌 성공사례 홍보 등 도의 차별화된 귀어·귀촌 정책과 전남의 우수성을 적극 홍보한다. 도는 귀어·귀촌하는 사람에게는 귀어·귀촌 창업 및 주택 구입 지원, 수산업경영인 육성지원, 청년어업인 영어 정착 지원, 귀어·귀촌 홈스테이 운영 등 다양한 지원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전남으로 귀어한 가구는 300가구(가구원 418명)다. 이는 전국의 31%를 차지하는 규모다. 이는 전남지역의 유리한 어업기반 여건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전남지역 1억원 이상 고소득 어가가 지난해 2413호를 기록하는 등 꾸준히 늘고 있고, 어업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양식어장의 74%가 전남에 있다. 양근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귀어·귀촌을 바라는 도시민이 어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지원시책을 계속 발굴해나가고, 전남 해양수산업의 경쟁력과 지원 시책을 예비 귀어인들에게 알려 전남을 '귀어·귀촌 1번지'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9-06-07 14:56:54【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지난해 1억원 이상 고소득을 올린 어가가 전년보다 65어가 늘어난 2413어가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전남 전체 어가(1만 8871어가)의 12.8%를 차지하는 규모로,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량 증가와 수출 호조가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규모별로는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이 1318어가로 고소득 어가의 55%를 차지했다. 2억원 이상 5억원 미만은 857어가로 36%, 5억 이상도 238어가로 전체의 10%나 됐다. 업종별로는 전복, 굴, 꼬막 등 패류양식이 730어가(3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김, 미역 등 해조류 양식 592어가(25%), 어선어업 420어가(17%), 가공·유통분야 304어가(13%), 어류양식 210어가(9%) 등의 순이었다. 고수온 및 태풍 피해로 어패류양식 분야의 고소득 어가 수는 다소 줄었으나 어황 호조로 참조기, 멸치 등의 어획량이 크게 늘어 어선어업 분야에서는 큰 증가세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50대가 869어가(36%)로 가장 많았으며, 60대 726어가(30%), 40대 420어가(17%), 20·30대 청장년층 36어가(10%)였다. 지역별로는 완도가 581어가(24%)로 가장 많았고, 진도 426어가(18%), 고흥 310어가(13%), 여수 282어가(12%), 해남 278어가(12%) 등의 순이었다. 목포시는 조기 및 갈치 등 어획량 증가로 어선어업 분야에서 86어가가 늘어 가장 많은 증가세를 보였다. 양근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어촌·어항 현대화를 통해 어촌 정주 여건과 어업인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안정적 어업활동을 지원해 어가 소득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9-02-26 11:26:52【무안=황태종기자】전남도는 지난해 전남지역 1억원 이상 고소득 어업인이 2348어가로 전년 2130어가 보다 10%(218어가)가 늘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남 전체 1만 801어가의 13%를 차지하는 규모로, 전남지역 수산물 생산량 증가와 김 수출 호조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규모별로는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이 1429어가로 고소득 어업인의 61%를 차지했다. 2억원 이상 5억원 미만 739어가(31%), 5억원 이상도 180어가로 전체 8%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전복, 굴 등 패류양식이 768어가(33%)로 가장 많았고, 김, 미역 등 해조류 양식 616어가(26%), 어선어업 298어가(13%), 가공·유통 분야 293어가(13%), 어류양식 233어가(10%), 내수면 양식 81어가(4%) 등의 순이었다. 특히 해조류 양식시설 면적 확대와 성장에 적합한 환경 여건 등으로 해조류 양식이 큰 증가세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경험과 노하우를 겸비한 50대와 60대 이상이 각각 901어가(38%)와 719어가(31%)였고, 40대 이하 젊은 어업인도 624어가(27%)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완도가 603어가(26%)로 가장 많았고, 진도 373어가(16%), 해남 313어가(13%), 여수 276어가(11%) 신안 260어가(11%) 등의 순이었다. 신안은 어선어업과 김 양식 호조로 42어가가 늘어 가장 많은 증가세를 보였다. 양근석 도 해양수산국장은 "친환경 고부가가치 양식품종 육성과 첨단 양식기술 도입으로 고품질 수산물을 생산하고, 수산물 고차가공 및 유통업 활성화로 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실효성있는 기후변화 대응 방안도 마련해 어가 소득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2018-03-14 14:3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