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일 증권선물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회계처리 논란으로 인해 혼란을 겪으신 투자자와 고객들에게 사과드린다"며 "하지만 당사의 회계처리가 기업회계기준을 위반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증권선물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해 회계처리 적법성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이 회사는 지난 2016년 한국공인회계사회 위탁감리에서 뿐만 아니라 금감원도 참석한 질의회신 연석회의 등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문제 없다는 판단을 받은 바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수의 회계전문가들로부터 회계처리가 적법하다는 의견도 받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권선물위원회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처리가 고의에 의한 회계처리기준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에 대해 매우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 회사는 소송에 적극 대응하는 동시에, 사업에 더욱 매진해 회사를 믿고 투자해 준 투자자와 고객들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2018-11-14 16:46:38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 겸 증선위원장이 14일 서울 세종대로 서울정부청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와 관련 제재 조치 안 등 증권선물위원회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artpark@fnnews.com 박범준 기자
2018-11-14 16:42:56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 겸 증선위원장이 14일 서울 세종대로 서울정부청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와 관련 제재 조치 안 등 증권선물위원회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artpark@fnnews.com 박범준 기자
2018-11-14 16:36:28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 겸 증선위원장이 14일 서울 세종대로 서울정부청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와 관련 제재 조치 안 등 증권선물위원회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artpark@fnnews.com 박범준 기자
2018-11-14 16:36:10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여부를 가리기 위한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의 논의가 7일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리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tekken4@fnnews.com 서동일 기자
2018-06-07 14:42:16금융위원회는 증권선물위원회 비상임 위원에 조성욱 서울대 경영학과 부교수, 정석우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를 7일 선임했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
2013-04-07 19:52:34유티엑스는 증권선물위원회가 단기대여금 및 선급금 허위계상과 신고, 공시의무 위반, 소액공모 서류 허위기재 등으로 검찰 고발 및 3억3900만원의 과징금 부여, 감사인지정 3년, 대표 해임 권고 등의 조치를 내렸다고 21일 공시했다. /always@fnnews.com 안현덕기자
2010-01-21 08:03:03대한은박지는 15일 공시를 통해 증권선물위원회의 회계처리기준위반 조치를 반영한 결과 2006년 회계연도 3/4분기에 대차대조표상 자기자본이 383억원에서 278억원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분기순손실은 49억7400만원에서 154억6000만원으로 증가했다. 대한은박지의 회계처리기준위반 사항은 회수가능성이 없는 경영진의 횡령혐의 자금유출액을 현금 및 현금등가물 등으로 가공계상하거나 매입채무와 상계한 점과 당좌수표 1매를 타회사의 차입금 담보용으로 제공한 사실 및 문방구어음 1매를 사채업자에게 회사의 차입금 담보용으로 제공한 사실을 주석으로 기재하지 않은 점 등이다. /hit8129@fnnews.com 노현섭기자
2009-10-15 09:52:21증권선물위원회는 25일 거래소 상장법인인 태성기공의 대주주 겸 관리인 서모씨(56)가 취득한 단기매매차익을 반환하도록 의결했다. 서씨는 지난해 3월에서 올 6월까지의 기간에 태성기공의 주식 80만5966주를 사들이고 33만1080주를 파는 과정에서 6개월 이내의 단기매매로 4억3500만원의 차익을 취득한 것으로 금감원 조사결과 밝혀졌다. 증권거래법에 의하면 상장 또는 등록법인의 임·직원 또는 지분 10% 이상 보유 주요주주가 당해주권을 매수 또는 매도한 후 6개월 이내에 반대매매로 차익을 얻은 경우 이를 반환토록 돼있다. / djhwang@fnnews.com 황대진기자
2001-09-25 06:48:53[파이낸셜뉴스] 한국핀테크산업협회는 14일 오후 금융투자협회 3층 불스홀에서 'K-비트코인 현물 ETF : 미래금융의 게임체인저'를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컨퍼런스는 핀산협과 한국금융투자협회가 공동 주최한 행사로, 국내외 학계·법조계·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국내 도입 필요성과 제도적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핀산협 이근주 회장은 개회사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는 가상자산 시장과 자본시장의 접점을 넓히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며 "법·제도 기반의 정비, 제도권 금융과 연계된 인프라 구축, 커스터드 인프라 구축 및 수탁업에 대한 명확한 인가·감독체계 구축 등 제도적 과제들이 해결되면 관련 산업 성장으로 이어져 가상자산 시장의 건전성과 투명성이 제고되는 선순환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기조발제에 나선 정유신 원장(핀산협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은 '디지털자산 트렌드와 해외 금융기관 동향'에 대해 발표하며 "스테이블코인, 토큰증권, 실물자산(RWA) 등 디지털자산이 금융의 변방이 아닌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비트코인 현물 ETF는 이러한 변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홍콩의 디지털자산 ETF 현황과 관련 법규체계'를 주제로 발제에 나선 이재호 변호사(법무법인 K&L Gates)는 "홍콩은 현물 설정·환매 방식(인·카인드), 홍콩증권선물위원회(SFC) 승인 수탁기관을 통한 커스터디, 공신력 있는 지수, 전문 운용사 요건 등을 통해 제도적 유연성을 확보했다"며 "한국도 신기술에 따른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보호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국내 비트코인 ETF 상품 출시를 위한 법적 쟁점'을 주제로 발제한 신용우 변호사(법무법인 지평)는 "비트코인 현물 ETF 도입을 위해 자본시장법상 기초자산 및 지수 요건에 대한 명확한 해석 또는 개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오종욱 웨이브릿지 대표의 경우 "비트코인 현물 ETF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전통 금융 수준의 커스터디, 유동성, 프라임 브로커리지(Prime Brokerage) 인프라가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정구태 인피닛블록 대표도 'K-비트코인 현물 ETF와 가상자산사업자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며 "가상자산사업자는 단순한 거래 역할을 넘어 디지털자산 기술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제도권 투자 인프라를 함께 구축할 파트너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정유신 원장(핀산협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이 좌장을 맡고 △이재호 변호사(법무법인 K&L Gates) △신용우 변호사(법무법인 지평) △이용재 수석매니저(미래에셋증권) △박근환 상무(SK증권) △오종욱 대표(웨이브릿지) △정구태 대표(인피닛블록)가 참여해 'K-비트코인 ETF, 왜 지금이 골든타임인가'를 주제로 토론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25-05-14 15:3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