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최근 서울 한강에 정체불명의 생명체가 무더기로 포착돼 그 정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29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곳곳에서는 지난 23일 유튜브 채널 'TV생물도감'에 올라온 '서울 한강 현재 상황, 한강을 뒤덮어 버린 수십억 마리의 정체불명 생명체들'이란 제목의 영상이 확산하고 있다. TV생물도감 측은 영상에서 “한강에 엄청난 양의 미스터리한 생명체들이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고 한강으로 달려가 보았다”라며 “현장에 도착하니 눈을 의심할 정도로 수많은 무언가가 한강을 뒤덮고 있었다”라고 전했다. 영상 속에는 손가락 크기의 생물체들이 군집을 이루어 헤엄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지렁이를 연상시키는 모습의 생물체가 넓은 한강에 전체적으로 분포한 모습도 포착됐다. 빛을 보고 모여든 군집을 뜰채로 한 번 퍼 올리자 플라스틱 통의 절반이 채워졌다. TV생물도감은 이에 대해 "물고기처럼 보이기도 하고, 자세히 보면 벌레 같아 보이기도 한다"라며 "많은 분이 이 모습을 보고 굉장히 징그럽다며 우려를 표하시더라"라고 했다. 이어 "한강이 오염돼서 벌레들이 발생한 것인지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런 건 아니다"라며 해당 생물체가 갯지렁이의 일종인 '강참갯지렁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한강은 하굿둑이 없어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다. 염분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 등 바다와 환경이 유사해 하구 쪽으로 갈수록 갯지렁이가 많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TV생물도감은 또 "갯지렁이가 이렇게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지금이 짝짓기 철이기 때문"이라며 "봄이 오면서 3월 중순이 되니 짝을 찾기 위해 펄에서 나와 헤엄치고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참갯지렁이는 강어귀 밑바닥을 기어 다니는 생물이어서 평소 물 위로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그러나 매년 3월 중순부터 4월 초는 ‘번식기’여서 수정 확률을 높이기 위해 떼 지어 몰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소한 갯지렁이의 등장에 네티즌들은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 영상에는 "기생충인 줄로만 알았는데 갯지렁이였다니 신기하다", "한강에도 갯지렁이가 사는 줄은 몰랐다", "바글바글 헤엄치는 걸 보니 화면이 일그러지는 것 같아 어지럽다", "다른 지역에서 비슷한 광경을 본 적이 있었는데 드디어 궁금증이 해소됐다" 등의 댓글이 이어졌다. yuhyun12@fnnews.com 조유현 기자
2023-03-29 14:18:12제주 바다에서 새우류 등 신종 3종, 미기록종 3종이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5월부터 9월까지 서울대 김원 교수팀과 3차례에 걸쳐 제주 서귀포 문섬 및 범섬 연안 수심 100m까지 탐사를 벌인 결과, 새우류 1종, 참갯지렁이류 1종, 바다거미류 1종 등 신종 3종과 새우류 2종, 환형동물 1종 등 미기록종 3종이 발견됐다고 26일 밝혔다. 미기록종 2종인 메소토니아 베르시마누스(Mesotonia verrucimanus)와 폰토니데스 롤로아타(Pontonides loloata)는 문섬 수심 45~65m의 산호 서식지에서 발견됐다. 또 범섬과 문섬 사이 수심 30m에서 채집한 바다나리류에서는 새우류 신종 크리스티메네스류(Cristimenes sp. nov.)와 흡구충류 미기록종 미조스토마류(Myzostoma sp.)를 발견했다. 그 외 문섬 수심 45~60m의 수중 암반에서는 참갯지렁이류 신종 콤포세티아류(Composetia sp. nov.)와 바다거미류 신종 피크노고넘류(Pycnogonum sp. nov.)의 서식을 확인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새롭게 발견한 종들의 확증표본을 소장·보관하고 이번 발견에 대해 주택사(Zootaxa) 등의 동물분류학 전문 학술지에 이듬해 투고하여 학계의 검증을 거친 뒤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할 예정이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2018-09-26 10:01:01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는 먹이생물 자원조성과 연안 해역 생물환경 개선을 도모하고자 25일 오전 11시 30분 강서구 가덕도 동선 마을 연안에 어린 갯지렁이 2만 마리를 방류한다고 24일 밝혔다. 갯지렁이는 학명이 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nuntia)로, '석충이'라고도 불린다. 몸길이 8~11㎝, 너비 0.5~0.6㎝, 체절수 104~122개로 몸 빛깔은 갈색을 띠며 부산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으로 자갈과 돌이 많이 섞인 조간대에 서식한다. 갯지렁이는 서식어류의 먹이생물뿐만 아니라 환경정화 생물로서도 역할이 크며 넙치.감성돔.벵에돔 등의 낚시미끼로도 많이 쓰이는 고가의 품종이다. 이에 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지난 2012년부터 시험연구생산에 성공해 2013년부터 방류를 시작했으며, 지난해까지 45만 마리를 방류했다. 올해 확보한 모충으로부터 수정란을 확보, 80여 일을 사육한 결과 올해 평균 전장 3㎝, 무게 0.01g~0.02g의 건강한 치충 2만 마리를 생산.방류하게 됐다.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자원조성을 위한 종묘의 생산.방류뿐만 아니라 연안 해역의 환경개선과 먹이생물 자원관리를 위해 갯지렁이를 비롯한 다양한 품종의 시험연구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sr52@fnnews.com 강수련 기자
2016-11-24 09:22:20해양수산부는 웃는고래 상괭이 등 보호대상해양생물 25종과 갯줄풀 등 유해해양생물 2종 등 27종을 법정관리 해양생물로 추가로 지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보호대상해양생물은 기존 52종에서 77종, 유해해양생물은 13종에서 15종으로 늘어났다. 신규 지정된 보호대상해양생물은 웃는고래 상괭이등 해양포유류 1종, 고래상어, 홍살귀상어, 점해마 등 어류 3종, 미립이분지돌산호, 흰발농게, 흰이빨참갯지렁이 등 무척추동물 7종, 연안성조류, 해양성조류 등 바닷새 14종이다. 신규 유해해양생물은 갯줄풀, 영국갯끈풀 등 2종이다. 해수부는 전문가 추천을 받아 평가위원회를 통해 후보종을 선정한 후 입법예고 및 관계기관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지정했다.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된 종은 상업 레저 목적의 포획과 유통이 불가능하며, 위반할 경우 최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 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다만, 어업활동 중 불가피하게 혼획한 경우 해양수산부에 신고하면 처벌을 면제받을 수 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2016-09-29 14: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