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2060년 청소년 인구 비중이 총 인구 10명 중 1명도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올해 청소년 인구는 총인구의 15.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5월 청소년의 달을 맞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청소년 통계'를 29일 발표했다. 2024년 9세부터 24세까지의 청소년 인구는 총인구의 15.1%인 782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97만5000명에서 소폭 줄었다. 청소년 인구 하향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40년 전인 1984년에는 청소년 인구가 총인구의 34.9%(1410만8000명)에 달했으나 2060년에는 총인구의 9.7%인 411만8000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성별 구성비를 보면 남자가 51.8%, 여자가 48.2%이다. 다문화학생 비중은 점점 늘고 있다. 2023년 기준 다문화 학생은 18만1178명으로 2022년과 비교해 1년 새 7.4%(1만2533명) 늘었다. 전체 학생인구 521만8000명 중 3.5%를 차지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청소년 사망자 수는 전년(2021년) 대비 1.7%(32명) 감소한 1901명이다. 남자가 58.9%(1119명)으로 여자 41.1%(782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 사망원인은 고의적 자해(자살)이 10.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안전사고(3.9%), 악성신생물(암)(2.5%) 등 순이다. 2010년에는 안전사고가 청소년 사망원인의 1위였지만 2011년 이후 자살이 계속해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자살로 인한 사망은 2021년 11.7명에서 2022년 10.8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 중·고등학생 10명 중 3명 이상(37.3%)은 평상시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2년 대비 4.0%p 감소한 수치다. 학교 급별로 보면 고등학생이 37.6%, 중학생이 37.0%다. 성별로는 여학생(44.2%)이 남학생(30.8%)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들의 26.0%는 최근 1년 내 우울감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중학생(26.3%)이 고등학생(25.6%)보다 높았다. 1년 내 우울감 경험률 역시 여학생(30.9%)이 남학생(21.4%)보다 높게 나타났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2024-05-29 13:42:39【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시의 총인구가 지난해 9월 인구 감소세를 멈추고 증가세로 돌아선 뒤 4개월 1067명이 늘어난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인구 위기로 지방 소멸론까지 거론되는 가운데 영남권 5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최근 4개월간 유일하게 울산만이 인구가 증가했다. 이는 울산시의 친기업·일자리 우선 정책이 결실을 맺은 결과로 풀이된다. 22일 울산시에 따르면 사회적 인구이동 분석 결과 최근 울산으로 일자리를 찾아 회귀하는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됐다. 울산의 인구 증가세 유지에는 동구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 노동자 유입의 영향도 컸지만, 일자리를 찾아 들어오는 내국인 인구가 늘고, 빠져나가는 내국인 인구는 줄어드는 등 일자리 요인이 인구 증가세 유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개월(2023년 9월~12월) 간 ‘일자리’에 의한 전입자는 2022년 같은 기간보다 323명 증가했고, 전출자는 같은 기간 대비 546명 감소했다. 그 결과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순이동 규모는 2022년 동기 대비 81.4%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탈울산도 멈추었다. 지난 12월 한 달 내국인의 탈울산이 멈추고 순유입으로 전환했다. 전입자는 3274명, 전출자는 327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4개월간 청년 인구(19세~39세) 감소세도 크게 둔화됐다. 지난 2022년 같은 기간 4041명 감소한 데 반해, 2023년에는 2402명으로 40.6% 줄었다. 이는 수도권 제외 시 전국 1위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이 같은 인구가 증가 원인에 대해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울산공장 신설 등 대규모 투자유치와 민선 8기 울산시의 친기업·일자리 우선 정책을 지목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투자유치, 신산업 육성 등 친기업 정책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더 많은 인구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라며 “이에 따라 교육·문화·복지·의료·교통·환경 등 제 분야의 여건을 개선해 ‘더 큰 울산’을 만들어 갈 것이다”이라고 밝혔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4-01-22 13:33:11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수가 우리나라 총인구(5169만 2272명)중 4.4%인 226만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학생이 3만명 증가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 거주 외국인주민은 6만명이 증가한 가운데, 외국인주민의 59.4%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는 8일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해 '202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을 이같이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1월1일 기준 3개월 초과 국내 장기 거주 외국인주민 수는 총 225만 8248명으로 전년 대비 12만 3679명(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년 대비 유학생이 3만2790명(20.9%)이 증가했고 외국국적동포(2만 9000명, 7.9%)의 증가세가 두드러져 전체 외국인주민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가 10만2379명(6.2%) 증가해 175만2346명,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가 1만 2945명(6.1%) 증가해 22만 3825명으로 나타났다. 국내출생한 외국인주민 자녀는 8355명(3.1%) 증가해 28만 2077명으로 집계됐다. 소폭 증가세를 보인 외국인근로자와 결혼이민자는 7964명(2.0%), 1124명(0.6%) 증가해 각각 40만 3139명, 17만 5756명으로 나타났다. 유학생은 3만 2790명(20.9%) 증가한 18만9397명으로, 결혼이민자 수(17만5756명)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전국 17개 모든 시·도에서 외국인주민이 증가했다. 특히 경기(3만 7010명), 서울(1만 5546명), 인천(1만 2171명) 순으로 증가했다. 전체 외국인주민의 59.4%인 134만 681명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시·군·구는 안산(10만 1850명), 수원(6만 8633명), 시흥(6만 8482명), 화성(6만 6955명), 부천(5만 5383명) 순으로 상위 5개 지역이 모두 경기도에 집중됐다. 외국인주민 1만 명 이상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집중거주지역’은 지난해 대비 11개 지역 늘어난 97개이며, 시·도별로 경기 23개, 서울 17개, 경북 9개, 경남 9개, 충남 8개 지역 등이다. 안승대 지방행정국장은 “외국인주민이 우리사회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
2023-11-08 10:16:09【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 총인구가 88개월 만에 처음 증가했다. 학업과 일자리를 찾아 내국인은 빠져나가고 대신 조선업종 등에 일자리를 찾아 온 외국인이 증가하면서 나타난 결과다. 울산시는 올해 9월말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총인구를 분석한 결과, 인구 감소세가 시작된 지난 2016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 대비 457명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9월말 기준 울산의 총인구는 112만 6671명으로 내국인은 110만 4167명, 외국인은 2만 2504명으로 집계되었다. 총인구는 전월 대비 457명 증가했는데, 이는 지난 2015년 12월부터 2023년 9월까지 94개월 동안 감소세를 보이다 2016년 5월 일시적으로 188명 증가를 보인 후 88개월 만이다. 이번 총인구 증가는 최근 20개월간 지속된 유입된 외국인이 내국인 감소를 상쇄시킨 결과로 분석됐다. 울산의 외국인 유입은 주로 조선업과 자동차 부품 산업에서 노동력 수요 때문이다. 외국인은 8월에 339명에 이어 9월에 738명 증가하는 등 증가폭은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다. 올해에만 4125명 증가했다. 지난 2022년 전체 889명 증가와 비교했을 때 3236명(364.0%) 늘어났다. 외국인 증가 지역 또한 조선과 자동차 협력 업체들이 몰려 있는 동구(올해 유입 2625명), 울주군(821명), 북구(346명) 순을 보였다. 한편 울산지역 내국인은 9월말 기준 110만 4167명으로 전달 대비 281명 감소했다. 감소 원인은 학업과 일자리 문제로 인한 순유출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시 관계자는 “향후 추이를 더 살펴봐야 하겠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인구 감소 규모는 줄어들고 있어 향후에도 추세가 이어질지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3-10-23 13:16:58【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지역 2023년 상반기 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인구 감소가 지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선업종 관련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으로 총인구 감소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7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울산의 외국인 포함 총인구는 112만 6869명이다. 이 가운데 내국인은 110만 6015명, 외국인은 2만 854명으로 집계됐다. 울산 총인구는 지난 2016년부터 본격적인 감소기에 접어들었고, 경기 불황과 코로나 상황이 겹치면서 2022년까지 7년간 상반기 인구는 평균 5976명씩 감소했다. 2023년 상반기는 총 2173명 감소로, 2022년 5706명 감소와 비교해 그 규모는 3533명(61.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유는 최근 17개월간 지속적인 외국인의 증가 때문이다. 울산의 외국인은 2023년 2475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277명 증가와 비교했을 때 2198명(793.5%)이나 급증했다. 지난 1997년 광역시 승격 당시 3418명이었던 외국인은 울산 총인구가 정점이었던 2015년도에 2만 618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 점차 감소하여 1만 명대로 감소했다가, 최근 외국인의 유입으로 2만 명대를 회복했다. 외국인은 동구에서 1699명, 울주군 409명, 북구 219명 순으로 증가했다. 동구의 총인구는 지난 2022년 상반기 915명이 감소했는데, 2023년에는 1544명 증가로, 5개 구·군 중 유일하게 증가 추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둥구의 외국인 증가는 조선업종의 인력난을 때문이다. 내국인 채용이 어려워진 현대중공업 협력업체들이 최근 외국인 노동자을 대거 채용하고 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3-08-07 08:48:41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통계 작성 이래 처음 감소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부문 집계 결과'에 따르면 작년 한국 총인구(11월 1일 기준)는 5173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9만1000명(-0.2%) 감소했다. 특히 수도권에 비해 지방 인구 감소세가 더 가팔랐다. 갈수록 지역소멸 현상이 가속화할 조짐이라는 점에서 사뭇 걱정스러운 사태가 아닐 수 없다. 총인구가 감소하긴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센서스 집계가 시작된 이래 72년 만이다. 인구노령화와 함께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들면 성장잠재력도 약화될 수밖에 없어 그 자체로 큰 문제다. 더욱이 지난해 수도권 인구만 작년 대비 0.1% 늘면서 전국 4개 권역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했다. 그래서 국내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인구는 비싼 집값을 피해 경기도로 빠져나가지만 지방 인구는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향하는 악순환이 이어진 결과다. 결국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이 겹치면서 지역소멸이란 발등의 불이 떨어지고 있는 셈이다. 며칠 전 본지와 한국인구학회, 서울인구포럼이 공동주최한 인구심포지엄에서 전문가들이 예견했던 그대로다. 당시 참석한 전문가는 이대로 가면 불과 25년 뒤에 전국 228개 시·군·구 중 157개 지역은 소멸 고위험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이번 조사에서 이미 170개 시·군·구에서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니, 현시점에서도 지역소멸이 괜한 기우는 아닌 셈이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 간 노령화지수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대목도 주목된다. 유소년 100명당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이 지표에서 권역별로는 호남권(165.5)이, 시·군·구에선 경북 군위군(880.1)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현상을 방치하면 수도권과 지방 모두 패자가 된다. 생산인구가 사라지면 지역경제는 공동화되고, 가뜩이나 심각한 교통난 등으로 수도권의 '집적의 불경제'도 더 커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 추세를 단시일 내에 되돌릴 묘책을 찾기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어제오늘 생긴 현상도 아닌 데다 역대 정부가 지금까지 천문학적 예산을 쏟아부었는데도 별무효과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장기적으로 해법을 찾는 노력을 지속하면서 지역소멸 위기라는 급한 불부터 꺼야 할 이유다. 그런 맥락에서 문재인 정부 등의 지역균형개발 정책은 주효하지 못했다. 예컨대 전국에 산재한 혁신도시들에 공공기관을 흩어뜨리고 시·군·구별로 찔끔찔끔 출산장려금을 나눠줬지만 별무소용이었지 않나. 수도권 일극체제를 탈피하려면 광역 거점별로 재정투자를 확대하는 게 효과적이란 전문가들의 견해를 외면한 결과다. 그렇다면 윤석열 정부가 국토균형발전 공약을 적극 실천하는 건 당연하지만, 역대 정부의 실패를 거울 삼아 출산과 일자리를 연계해 지방의 정주여건을 보다 입체적으로 개선하는 데 주력하기 바란다.
2022-07-28 18:25:53서울 인구가 30년 후엔 800만명 아래로 떨어진다. 오는 2050년 경기, 세종, 제주, 충남을 제외한 전국의 지역 인구는 2020년 대비 감소한다. 출생아 감소와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중위연령은 전 지역에서 50세를 넘긴다. 출산율 등이 최악이 아닌 중간 정도라는 가정하에 잡은 중위 시나리오다. 만약 최악의 저출산율이 지속되면 서울 인구는 720만명까지 줄어든다. 26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2020∼2050년 장래인구추계(시도편)를 내놨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2070년까지의 인구추계를 지역별로 파악하기 위해 2050년까지로 변경하고 4개 권역(수도권, 중부권, 호남권, 영남권)으로 나눴다. 시도별로 17개로 세분화했다. 2050년 총인구는 4736만명으로 전망됐다. 2020년 총인구인 5184만명 대비 398만명 감소한다. 서울, 부산 등 13개 시도 인구는 감소한다. 서울은 962만명에서 792만명으로 줄고, 부산과 대구·울산은 각각 84만명, 61만명, 29만명 인구 감소가 예측됐다. 인천 인구는 14만명 줄지만 부산에 비해 감소폭이 작아 2050년 제2도시는 인천이 된다. 2050년 부산 인구는 251만명, 인천은 281만명으로 추정됐다. 2020년 대비 인구증가 시도는 경기, 세종, 제주, 충남 4곳뿐일 것으로 추정됐다. 세종 인구는 81.1%(28만명) 늘고 제주는 4.5%(3만명), 충남은 0.7%(1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기본 가정을 바탕으로 한 중위 시나리오 기준이다.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더 비관적으로 잡은 저위 시나리오로는 총인구가 2050년 4333만명까지 줄어든다. 저위 시나리오에는 세종을 제외하고 모든 시도에서 총인구가 감소한다. 특히 서울은 2020년 대비 인구가 25.1% 줄어든 720만명에 머문다. 중위 시나리오에 따르면 2020년 현재 서울, 부산, 울산 등 12개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마이너스 인구성장은 2040년 이후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로 확대된다. 권역별로도 지난 2017년 영남권에서 시작된 마이너스 인구성장은 2019년 호남권, 2036년 수도권, 2039년 중부권까지 모든 권역이 영향권에 들어간다. 서울, 인천, 경기를 포함하는 수도권 인구성장률은 2020년 0.66%에서 2036년 마이너스로 전환된 후 2050년 0.69%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중위연령도 급속도로 높아진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일렬로 세운 후 딱 중간에 위치한 사람의 연령이다. 2020년 중위연령은 43.7세다. 2050년 57.4세로 14.2세 높아진다. 2020년 중위연령이 37.8세로 가장 젊은 도시인 세종도 50.9세로 높아진다. 이로써 2050년엔 전국 시도 모두 중위연령이 50세를 넘어선다. 인구 고령화가 전국적으로 빠르게 진행된다는 의미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생산연령인구(15~64세)도 급감한다. 2020년 3738만명이던 생산연령인구는 2050년 2419만명으로 줄어든다. 향후 30년간 1319만명이 줄어드는 것이다. 지역별로 울산, 대구, 부산, 경남 등 9개 시도에서 4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815만명에서 2050년 1900만명으로 늘어난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1%다. 특히 전남의 고령인구 비중은 49.5%, 경북 48.9% 등으로 지역인구 2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소년 인구(0~14세)도 2020년 631만명에서 2050년 417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 경남, 전남 등 8개 시도에서 30년간 4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 및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20년 전국 평균 38.7명에서 2050년 95.8명으로 증가한다. 전남은 130.4명, 경북은 127.2명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됐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
2022-05-26 18:32:51서울 인구가 30년 후엔 800만명 아래로 떨어진다. 오는 2050년 경기, 세종, 제주, 충남을 제외한 전국의 지역 인구는 2020년 대비 감소한다. 출생아 감소와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중위연령은 전 지역에서 50세를 넘긴다. 출산율 등이 최악이 아닌 중간 정도라는 가정하에 잡은 중위 시나리오다. 만약 최악의 저출산율이 지속되면 서울 인구는 720만명까지 줄어든다. 26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2020∼2050년 장래인구추계(시도편)를 내놨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2070년까지의 인구추계를 지역별로 파악하기 위해 2050년까지로 변경하고 4개 권역(수도권, 중부권, 호남권, 영남권)으로 나눴다. 시도별로 17개로 세분화했다. 2050년 총인구는 4736만명으로 전망됐다. 2020년 총인구인 5184만명 대비 398만명 감소한다. 서울, 부산 등 13개 시도 인구는 감소한다. 서울은 962만명에서 792만명으로 줄고, 부산과 대구·울산은 각각 84만명, 61만명, 29만명 인구 감소가 예측됐다. 인천 인구는 14만명 줄지만 부산에 비해 감소폭이 작아 2050년 제2도시는 인천이 된다. 2050년 부산 인구는 251만명, 인천은 281만명으로 추정됐다. 2020년 대비 인구증가 시도는 경기, 세종, 제주, 충남 4곳뿐일 것으로 추정됐다. 세종 인구는 81.1%(28만명) 늘고 제주는 4.5%(3만명), 충남은 0.7%(1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기본 가정을 바탕으로 한 중위 시나리오 기준이다.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더 비관적으로 잡은 저위 시나리오로는 총인구가 2050년 4333만명까지 줄어든다. 저위 시나리오에는 세종을 제외하고 모든 시도에서 총인구가 감소한다. 특히 서울은 2020년 대비 인구가 25.1% 줄어든 720만명에 머문다. 중위 시나리오에 따르면 2020년 현재 서울, 부산, 울산 등 12개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마이너스 인구성장은 2040년 이후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로 확대된다. 권역별로도 지난 2017년 영남권에서 시작된 마이너스 인구성장은 2019년 호남권, 2036년 수도권, 2039년 중부권까지 모든 권역이 영향권에 들어간다. 서울, 인천, 경기를 포함하는 수도권 인구성장률은 2020년 0.66%에서 2036년 마이너스로 전환된 후 2050년 0.69%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중위연령도 급속도로 높아진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일렬로 세운 후 딱 중간에 위치한 사람의 연령이다. 2020년 중위연령은 43.7세다. 2050년 57.9세로 14.2세 높아진다. 2020년 중위연령이 37.8세로 가장 젊은 도시인 세종도 50.9세로 높아진다. 이로써 2050년엔 전국 시도 모두 중위연령이 50세를 넘어선다. 인구 고령화가 전국적으로 빠르게 진행된다는 의미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생산연령인구(15~64세)도 급감한다. 2020년 3738만명이던 생산연령인구는 2050년 2419만명으로 줄어든다. 향후 30년간 1319만명이 줄어드는 것이다. 울산, 대구, 부산, 경남 등 9개 시도에서 4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815만명에서 2050년 1900만명으로 늘어난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1%다. 특히 전남의 고령인구 비중은 49.5%, 경북 48.9% 등으로 지역인구 2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소년 인구(0~14세)도 2020년 631만명에서 2050년 417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 경남, 전남 등 8개 시도에서 30년간 4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 및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20년 전국 평균 38.7명에서 2050년 95.8명으로 증가한다. 전남은 130.4명, 경북은 127.2명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됐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
2022-05-26 18:23:38[파이낸셜뉴스] 일본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총인구의 29.1%에 달해 일본 및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일 일본 NHK 방송에 따르면 일본 총무처는 지난 15일 '경로의 날'을 맞아 이같은 수치를 추계했다. 일본 인구는 1억2500만명으로 전년보다 51만명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는 3640만명으로 22만명 증가했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9.1%로 전년보다 0.3%포인트 늘어났다. 이는 유엔 데이터상 최고 기록이며 2위 이탈리아(23.6%)보다 5%포인트 이상 높다. 한국의 경우 총인구 대비 고령자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6.4%이다. 일본의 고령자 중 여성은 2057만 명으로 남성보다 474만 명 많았다. 고령자 가운데 일을 하는 노동활동 인구는 906만 명으로 17년 연속 증가했다. 이는 일본 전체 노동활동 취업인구의 13.6%에 해당된다. 고령자 총인구 가운데서는 25.1% 비중이다. 한국에서는 이 비율이 33%가 넘는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2021-09-19 23:28:13[파이낸셜뉴스] 지난해를 끝으로 '천만 서울'이라는 단어는 쓸 수 없게 됐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의 총인구(내국인+외국인)는 991만명으로 지난 1988년 이후 처음으로 연말기준 1000만명 미만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내국인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 등록인구를 집계해 2020년말 주민등록인구를 3일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의 총인구는 991만1088명이다. 32년 만에 서울 인구가 1000만명 미만을 기록한 것이다. 서울시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 1988년 1029만명을 기록하면서다. 이후 '천만 서울'이라는 단어는 당연시됐다. 지난 1992년에는 1097만명으로 정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서울 인구는 감소세를 보이면서 지난 2019년에는 1001만983명까지 줄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난해 말 내국인 총인구는 966만8465명으로 전년(972만9107명) 대비 6만642명이 줄었다. 외국인 인구의 경우 같은 기간 28만1876명에서 24만2623으로 감소했다. 특히 중국국적(한국계 포함)은 줄어든 반면 베트남과 몽골 국적은 늘어나는 모습도 확인됐다. 인구는 감소 중이지만 세대수로 보면 증가 중이다. 1인가구가 늘어난 영향이다. 내국인 세대수는 441만7954세대로 전년(432만7605세대) 대비 9만349세대(2.09%)증가했다. 세대당 인구는 2.19명으로 전년대비 0.06명 감소했다. 전체 세대에서 1∼2인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63.8%로 전년(61.8%)대비 2.0%포인트 올랐다. 자치구별 총인구는 송파구(67만3926명)가 가장 많고, 중구(13만4635명)가 가장 적었다. 연령별 인구는 25~29세 인구가 85만864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5~49세(81만9052명), 50~54세(80만7718명)순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고령화 현상도 확인됐다.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를 의미하는 '고령화율' 지표를 보면 지난 2010년 9.5%였으나 지난 2018년 14.1%로 고령사회로 들어섰고 지난해에는 15.8%까지 높아졌다. 생산가능(15~64세)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인구(14세 이하, 65세 이상)를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35.2명으로 전년(33.9명) 대비 1.3명 증가했다. 서울시는 "내국인 인구를 10년 전과 비교해 보면 64세 이하 인구는 120만명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56만명이 증가해 고령화 추세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외국인 등록인구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영향을 받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천만도시 서울'은 거주인구가 많은 거대도시를 상징하는 단어였다. 인구변화가 가져 올 사회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라며 "더욱이 가속화 되고 있는 저출산과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고 대비하기 위해 인구통계를 시의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21-03-02 17: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