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5일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M-ROBO’ 출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는 국내 종합 자산운용사가 선보이는 최초의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다. 이날 간담회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공지능(AI) 기반 퇴직연금 자산관리 전략과 함께 퇴직연금 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중장기 비전을 제시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연금마케팅부문 손수진 대표는 “퇴직연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투자자 대부분이 직접 운용에 부담을 느끼거나 TDF 등 간접투자에만 의존하는 상황에서 중간 수준의 투자 관심을 가진 이른바 ‘중관여 고객층’에 대한 전략이 부재하다”며 “이들을 위한 자동화된 맞춤형 솔루션으로 단순 자산배분을 넘어 인출 전략, 수익률 최적화, 위험관리까지 포괄하는 통합 연금관리 시스템 ‘M-ROBO’를 선보이게 됐다”고 소개했다. ‘M-ROBO’는 투자자의 연령, 성향, 목표 수익률 등을 종합 분석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자동 설계하고, 시장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리밸런싱하는 AI 기반 연금관리 솔루션이다. 단순히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는 수준을 넘어, 실질적 운용 결정을 자동화해 연금계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미래에셋증권과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BNK경남은행, BNK부산은행 등 주요 퇴직연금 사업자들과 제휴를 맺었으며, 이달부터 각 사업자 퇴직연금 플랫폼을 통해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앞으로 M-ROBO를 활용해 AI 기반 맞춤형 연금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로보어드바이저운용본부 이창헌 본부장은 “M-ROBO는 AI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 은퇴 시점, 시장 흐름 등을 반영해 포트폴리오를 동적으로 조정하고, 자동 리밸런싱 기능을 통해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며 “모바일 기반 비대면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기존 수수료 구조 대비 비용 효율성을 제고해 연금 수익률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금 선진국들을 고려하면 한국 역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연금시장 1위 운용사로서 선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미국 퇴직연금 시장은 총 32조7000억달러(약 4경6000조원) 규모이며, 이 중 개인형 퇴직연금 시장(DC+IRA, 29조4000억달러)의 약 5%가 로보어드바이저로 운용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준용 부회장은 “퇴직연금 시장의 혁신은 적립금 규모 경쟁을 넘어 실질적인 수익률 관리로 이어져야 한다”며 “M-ROBO는 미래에셋의 AI 기술력과 운용 철학이 결합된 플랫폼으로, 누구나 손쉽고 체계적으로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있는 ‘연금 2.0 시대’의 대표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퇴직연금 RA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는 검증된 알고리즘을 통해 투자자 성향에 따른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자동 생성하고 그에 따라 개인형 퇴직연금(IRP) 적립금 운용을 지시하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IRP 가입자가 적립금 운용을 직접 지시해야 했으나 최근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받은 투자 일임업자의 로보어드바이저가 가입자를 대신해 운용을 지시하게 된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5-04-15 12:46:21【 도쿄=김경민 특파원】일본에서 고독사로 추정되는 사망자가 연간 4만명을 넘어섰다. 장례 없이 발견되는 사례가 속출하며 죽음 이후조차 책임지지 못하는 사회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복지 시스템의 사각지대가 맞물리며 일본은 '고독한 나라'가 되고 있다. ■고독사는 예외 아닌 일상 13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도쿄 미타카시에 거주하던 70대 남성 A씨는 사망한 지 한 달이 지나서야 자택에서 발견됐다. 관리비 자동이체가 끊기고, 우편물이 쌓여가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관리인이 신고하면서 경찰이 출동했다. 사망 당시 방에는 유서도, 연락처도 남아있지 않았다. 행정 당국은 유족을 찾지 못했고 결국 시청이 장례를 대행하고 유품 정리에 나섰다. 이와 유사한 사례는 전국적으로 속출하고 있다.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서는 2023년 한 해에만 고독사 추정 사례가 900건에 달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발견까지 일주일 이상 소요됐다. 지방에서는 인구감소와 의료공백이 맞물리면서 사망 사실이 수개월 동안 파악되지 못한 사례도 확인됐다. 최근에는 독거노인뿐 아니라 중장년층 고독사도 증가하고 있다. 후생노동성 통계에 따르면 50대 이상 단독가구 중 고독사 추정 비율은 전체의 21.4%를 차지한다. 특히 퇴직 후 사회적 연결망이 끊긴 남성에게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전문가들은 "고독사는 고령화만의 문제가 아닌 중년 남성의 사회적 고립 구조와도 깊이 연관돼 있다"고 지적한다. 후생노동성은 2023년 고독사로 추정되는 무연고 사망자 수를 약 4만1000명으로 집계했다. 이는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일본 언론에선 "고독사는 예외적 죽음이 아니라 일본인의 평범한 말로"라는 말도 나온다. 실제로 총무성은 65세 이상 고령 1인 가구 비율이 2023년 29.0%에서 2040년엔 36.8%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독거노인의 고립과 단절은 구조적인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행정은 죽음을 다루지 못한다 문제는 죽음 이후 행정의 작동이 사실상 중단된다는 점이다. 일본 복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생존자를 전제로 짜여져 있어, 사망이 확인되는 순간부터 공적 개입은 사실상 멈춘다. 생전엔 요양급여나 긴급지원이 가능하지만, 사망 이후엔 담당 부서가 없고 책임 주체도 불분명하다. 장례, 유골 보관, 유품 정리는 지자체가 예산과 인력을 감당하지 못해 민간 업체에 넘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행정의 사각지대는 지자체별 대응 편차로도 이어진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전국 1700여 개 기초지자체 가운데 고독사 대응 조례를 제정한 곳은 약 620곳(36.5%)에 불과하다. 도쿄도, 오사카부, 아이치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조례는 확대되는 추세지만, 기준이 모호하고 예산도 부족하다. 한 도쿄도청 관계자는 "사망이 행정의 책임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많은 지자체에서는 유족이 없는 경우 장례를 치를 법적 근거조차 부족해, 고독사 발생 시 시청 직원이 즉석에서 민간 업체를 수배하거나, 복지 예비비에서 비용을 편성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유골이 장기간 보관되지 못하고 파기되거나, 유품이 무단 폐기되는 문제도 끊이지 않는다. 이 같은 행정 공백은 고독사 대응 시스템을 '운에 맡기는' 구조로 만들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사회복지사나 자원봉사단체가 사실상 마지막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는 개인 헌신에 의존한 구조일 뿐 제도화돼 있지 않다. 특정 지자체의 의지에 따라 대응 수준이 극단적으로 갈리는 상황은 고독사를 사적인 문제로 축소시키는 효과를 낳는다. ■죽음도 민영화되는 시대 죽음 이후의 공백은 시장이 대신 메우고 있다. 유품 정리, 무연고 장례, SNS 계정 삭제 등 죽음 이후를 처리해주는 '종말 서비스' 민간 업체는 최근 5년간 2배 이상 급증했다. 관련 스타트업은 2023년 기준 1800곳 이상으로 추산된다. 장례, 유품, 납골, 반려동물 위탁까지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도 등장했다. 이들 기업은 지방정부의 위탁을 통해 고독사 사망자의 유품을 정리하거나 장례를 대행하고 있다. 최근엔 사망 시 자동 통보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도 보급되고 있다. 고인의 디지털 자산을 정리해주는 서비스, 온라인 추모 공간을 제공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최근엔 앱 기반 생전 계약도 확산되고 있다. 본인이 생전에 사진, 계정, 연락망, 장례방식을 등록해두면 사망 이후 자동으로 처리가 이뤄지는 시스템이다. 심지어 SNS 계정 정리, 클라우드 비밀번호 삭제, 반려동물 양도 계약까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연결의 붕괴, 새로운 복지 절실 고독사의 증가와 죽음의 사유화는 결국 일본 사회가 직면한 공동체 해체의 단면이라는 지적이다. 더 이상 지역사회나 가족이 죽음을 감당하지 않으며 국가도 그 역할을 방기하는 구조가 지속되면 고독사는 비가시적 재난으로 자리 잡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일본 내에서도 이를 막기 위한 대응이 일부 시도되고 있다. 오사카부 도요나카시는 고령자가 생전 장례, 연락처, 유품 처리 방식을 등록하면 사망 시 행정이 실행하는 '종말케어 등록제'를 운영 중이다. 군마현 다카사키시는 고독사 가능성이 높은 고령자에게 2개월간 전담 직원을 배정해 생사 확인과 장례 동행까지 보장하는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또 시즈오카현 누마즈시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생사 확인 시스템'을 시범 도입해 고독사를 사전에 감지하려는 실험에 나섰다. 가정에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일정 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행정에 알림을 보내는 방식으로, 일본형 스마트복지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여전히 소수에 불과해 전국 단위의 체계적 대응은 미흡하다. 전문가들은 고독사를 '사망통계'가 아니라 '사회지표'로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km@fnnews.com
2025-04-13 18:31:02【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잦은 폭발·화재로 인해 '화약고'로 인식되는 울산 석유화학공단에 울산소방본부의 특수재난훈련센터가 들어서 10일 준공식을 했다. 특수재난훈련센터는 총사업비 143억원을 투입, 부지 면적 2만7850㎡에 연면적 2168㎡, 4개동 규모로 만들어졌다. 이곳은 국가산업단지 내 특수재난사고에 대응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훈련 기관이다. 소방공무원과 기업체 자체 소방대원의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석유화학 플랜트 훈련장을 비롯해 옥외탱크훈련장, 이동탱크훈련장 등 총 7종의 특수재난 대응 훈련시설을 갖추고 있다. 실제 화재 상황을 반영한 훈련을 통해 소방대원들이 재난현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수재난훈련센터가 석유화학공단 한복판에 들어선 것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폭발 화재 사고가 울산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은 국내 대표적인 석유화학공업도시로 대형 화재 및 특수재난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이날도 준공식 개최 5시간 전 온산국가산단 KG케미칼에서 갑작스러운 화재가 발생해 비료생산공장 시설 일부가 불탔다. 울산은 지난 2019~23년 5년 동안 전국 국가산업단지에서 발생한 150건의 중대 사고 중 33건(22%)으로 전국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분석 결과 사고 유형은 가스·화학물질 사고 7건, 화재 6건, 폭발 5건 순이었으며, 인명피해 건수도 62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 2023년 국정감사에서까지 문제점이 지적되자 해당 기업들이 부랴부랴 대책을 제시했지만 미봉책에 불과했다. 오히려 상황은 악화됐다. 석유화학단지 노후 지하 배관의 안전한 관리와 폭발 사고 방지를 위한 '통합파이프랙 구축 사업'의 경우 관련 법 개정 논란으로 사실상 중단됐다. 진짜 '화약고'가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암담한 상황에서 울산소방본부의 특수재난훈련센터는 신속한 현장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 최소한의 안전장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준공식에 참석한 김두겸 울산시장은 "실제 화재 현장과 같은 교육 훈련을 진행해 재난 대응 전문성을 강화하고 보다 효과적인 예방 및 대응 체계를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5-04-10 14:53:19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전혀 봄 같지 않다. 교정에는 예쁜 꽃들이 앞을 다투어 피고 있고 봄이 이미 저만치 와있건만 국내외 정치경제환경은 아직도 완연한 겨울이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약탈적 관세부과가 현실화되면서 환율은 연일 요동치고 있고, 주식시장도 경고등이 켜진 상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과 파면으로 국내정치는 리더십 실종, 말 그대로 사면초가(四面楚歌) 형국이라 하겠다. 이렇게 앞이 보이지 않는 위기상황에는 오히려 보다 근본적이고 사회 전반적인 구조개혁, 나라의 미래를 이야기할 수 있다. 초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 그리고 디지털 대전환이라는 기술혁명의 앙상블로 우리의 자랑인 교육이 근본적인 혁신의 도전을 받고 있다. 암기 위주, 실수 덜하기 중심의 한줄세우기 경쟁체제로는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하는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어렵다. 대량생산, 패스트팔로어 시대의 인재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이기 어렵다. 3년 전 출범한 윤석열 정부에서 연금개혁, 노동개혁과 함께 교육개혁을 강조하면서 교육부도 교육개혁 9대 과제를 선정해 사회 난제를 풀어보려 팔을 걷어붙였다.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이라는 비전하에 유보통합과 늘봄을 통해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 및 돌봄, 교실혁명과 입시개혁을 통해 교육현장의 담대한 변화, 그리고 교육발전특구, 글로컬대학, 대학혁신생태계 조성, 교육부 대전환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지방과 국가의 동반 도약을 약속했다. 현장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점에서는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교육개혁이 사회개혁과 함께 이루어져야 시스템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형식적인 변화에 그치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현장이 바뀌기 위해서는 비전처럼 모두의 맞춤교육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교가 다양해지고 지역이 의사결정의 중심이 되어야 하는데 지금처럼 교육부만 보이는 것은 문제다. 첫째, 유보통합은 고질적인 사일로 행정의 소산으로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유치원은 교육부 소관으로 거버넌스 관리체계를 달리해오던 것을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첫 단추는 끼웠다. 하지만 여전히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기준안 마련과 통합법 제정이 요원하며 지방단위에서 영유아 교육 및 보육 관리체계 일원화에 걸림돌이 되는 교사처우 및 양성프로그램 개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둘째, 사교육 카르텔을 혁파해 사교육을 경감하고 충분한 사회적 논의와 준비를 거쳐 학생의 미래역량을 키우는 입시제도를 현장에 뿌리 내리게 하겠다는 다짐과 현실은 달라도 너무 다르다. 최근 발표된 사교육비는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초중고생 사교육비는 29조2000억원, 유아 사교육비는 3조2000억원으로 발표되었다. 교육부 1년 예산의 3분의 1이나 되는 규모의 사교육비는 선행학습, 앞서거나 한줄세우기가 급해서 지출하는, 공부하는 즐거움하고는 거리가 먼 안타까운 지출인 것이다. 정부는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사교육비 경감대책의 하나로 제시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1분 일찍 종료한 수능시험에 대해 국가가 수험생 1인당 300만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이 나오는 등 획일적인 선다형 수능으로 미래인재선발의 효능은 기대하기 어렵다. 학생 선발은 대학 자율에 맡기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셋째, 교육발전특구, 글로컬대학, 대학혁신생태계 조성, 교육부 대전환 프로그램은 모두 방향은 제대로 설정된 정책이다. 하지만 고등교육법이 아직 진흥법으로 바뀌지 못하고 있어 규제 중심 행정체제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학생 수는 급격하게 줄어드는데 칸막이 재정구조로 대학교육의 질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 새 정부 교육부는 미시적 프로그램을 운용하며 대학을 옥죄기보다는 국가교육위원회와의 적절한 분업, 과감한 지방분권화 등을 통해 몸집은 대폭 줄이고 뼛속부터 지원부서로 거듭나야 한다. 박정수 이화여대 행정학과 교수
2025-04-09 18:08:06[파이낸셜뉴스] 경남 김해시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나선다. 김해시는 출산·청년·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4대 전략 아래 321개 인구정책 과제를 본격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7월 ‘인구청년정책관’을 신설하고, 올해부터 전방위적인 인구정책을 본격화했다. 2024년 말 기준 김해시 총인구는 56만1806명으로 전년보다 6722명 증가했다. 그러나 내국인 인구는 1983명 감소한 반면 외국인은 8705명 증가했다. 시는 이 같은 구조적 변화에 주목하고, 단기적이고 경제 중심의 일회성 지원에서 벗어나 인프라 조성과 사회적 인식 개선을 병행한 지속 가능한 중장기 전략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올해 시 인구정책의 4대 전략은 육아 가족 친화도시 조성, 청년 정착 유도, 생활인구 유입 및 정주 기반 강화, 인구구조 변화 대응이다. 먼저 육아와 출산 친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결혼문화 장려, 출산 축하 선물 제공, 생애초기 건강관리 서비스, 영유아 특화 건강지원, 아동주치의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이 시행된다. 특히 결혼에서 출산, 육아까지 이어지는 6단계 패키지 지원체계를 구축해 가정의 생애주기 전반을 지원한다. 도담기업 확산을 통해 일·가정 양립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도 핵심 목표다. 돌봄 인프라 확대도 주목된다. 긴급 보육이 가능한 아이돌봄서비스, 365열린어린이집 운영, 방과후 돌봄 확대, 공적 돌봄센터 2곳 추가 설치 등으로 맞벌이 가정의 부담을 줄인다. 조부모에게는 손주돌봄수당도 지원한다. 청년층 정착을 위한 정책도 강화된다.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운전면허 취득비용 지원, 청년복합문화거리 조성, 진영농공단지 청년 친화형 조성 등이 포함됐다. 올해부터는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해 '김해형 로컬브랜딩 스쿨', 청년학교, 청년정책 해커톤대회 등도 운영된다. 청년 공간 확대도 추진된다. 거점별 청년공유공간 'STATION-G' 운영을 비롯해 글로벌 콘텐츠 산업 타운, 미래모빌리티 기술사업화 플랫폼, 로봇 리퍼브센터, 비대면 의생명 산업 플랫폼 구축 등 청년이 선호하는 미래 신산업 기반도 마련된다. 생활인구 유입과 정착 기반조성을 위해선 다양한 문화·관광 인프라가 확충된다. 한옥체험관 복합문화공간, 김해숲체원과 야영장, 화포천 생태관광, 전국소년체전 및 장애학생체전 개최, 도예관광 활성화 등이다. 대중교통비 무료화 기반도 함께 구축한다. 도시 브랜드 강화를 위한 인프라도 추진된다. 대동 친환경 수변도시, 김해시립 김영원미술관, 원도심 생활문화센터, 가야랜드 생태휴식공원, 둘레길 조성 등이 주요 과제다. 또한 고령화와 외국인 증가에 대응해 세대 통합형 주거단지, 시니어 공동체 조성, 외국인 근로자 정착지원, 다문화가족 특화사업 등도 병행된다. 시는 인구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시민 인식 개선에도 힘을 쏟고 있다. 인구정책 숏폼 공모전, 미혼 남녀 만남 행사 ‘나는 김해 솔로’, 육아 아빠단 운영, 맞춤형 인구교육 등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주요 지역 대형 전광판에는 인구상황판을 송출해 시민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홍태용 김해시장은 “결혼과 출산을 희망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 청년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주거·일자리 기반을 구축해 삶 속 의미 있는 변화를 이끌겠다”며 “사람 중심의 지속 가능한 인구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425_sama@fnnews.com 최승한 기자
2025-04-09 10:43:04【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주민들에게 더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일하는 방식 및 조직문화 개선’에 팔을 걷었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기대된다. 8일 울산 중구에 따르면 올해 핵심 가치는 ‘소통’이다. 이를 위해 △관행적 업무 부수기 △스마트한 업무처리 및 다양한 소통 통로 운영 △새내기 공무원 적응 지원 △일과 삶의 균형이 확립된 조직문화 조성 △관행 문화 개선으로 내실 있는 종갓집 중구 실현 등 5가지 전략을 추진한다. 중구는 첫 번째 ‘관행적 업무 부수기’로, 직원들의 의견을 취합해 법적 근거가 없는 불필요한 업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업무 등 개선 과제 72건을 발굴했다. 이어서 저연차 직원 및 중간 관리자 등으로 혁신 모임을 구성해 개선 과제의 적절성과 필요성 등을 검토하고, 구정조정위원회를 통해 간부 공무원의 의견을 모아 과제를 구체화했다. 이를 통해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통합 관리 체계 구축 △신규·저연차 공무원을 위한 공통 업무편람 및 인수인계 지침서 마련 △‘간부 모시는 날’ 대신 ‘함께데이(DAY)’ 용어 사용 △인사 시 배웅 및 떡 돌리는 문화 간소화 등 실행 과제 10건을 선정했다. 두 번째 ‘스마트한 업무처리 및 다양한 소통 통로 운영’으로, 각종 디지털 기술 활용 방법을 모색하는 직원 연구 모임을 운영하고, 주민과 공공기관, 전문가가 함께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인 '국민 생각함'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세 번째 ‘새내기 공무원 적응 지원’으로, 올해 초부터 신규 공무원에게 발령 축하 복지포인트를 지급하고 있다. 여기에 신규 공무원을 위한 온나라 업무 시스템 교육 등을 진행하며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할 방침이다. 네 번째 ‘일과 삶의 균형이 확립된 조직문화 조성’으로, 올해 초부터 동 당직 제도를 폐지하고 주 4.5일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마지막 ‘관행 문화 개선으로 내실 있는 종갓집 중구 실현’으로, 4월부터 '가족 사랑의 날'을 폐지했다. 가족 사랑의 날은 수요일과 금요일 식구들과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정시 퇴근을 장려한 제도였지만 최근 유연근무제 활성화 등으로 실효성이 떨어진 상황이다. 이 밖에 최종 퇴청자 점검부 일원화 등 관행적으로 해오던 업무를 개선할 계획이다. 김영길 중구청장은 “조직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구성원 사이의 소통과 협력,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라며 “불필요한 업무를 과감하게 정비하고 유연한 조직문화를 조성해 변화하는 행정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라고 밝혔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2025-04-08 16:46:23[파이낸셜뉴스] 서울 서대문구가 벚꽃 개화기를 맞아 구내 '벚꽃 명소'의 안전 관리에 나선다. 안전상황실을 상시 운영하고 개화기와 절정기에는 소방·경찰서와 통합 운영 본부를 가동할 예정이다. 서울 서대문구는 8일 서대문 홍제폭포와 안산 일대 방문객 안전을 위해 '홍제폭포 안전상황실'을 설치하고 상시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평상시에는 안전 순찰 대원 2명이 현장 순찰을 통해 위험 요소를 살피고 사고 발생 시 대응한다. 인파가 늘어나는 4~5월 개화 시기에는 서대문구청 10개 부서와 서대문소방서, 서대문경찰서가 통합 운영 본부를 가동하기로 했다. 구청 각 부서도 분야별 역할을 분담하고 유관 기관과 협조해 현장 중심 대응 체계를 강화한다. 구청 재난안전과는 드론을 띄워 홍제천과 안산 일대 인파 밀집도를 실시간 파악한다. 행정지원과는 카페 폭포와 주변 편의 시설을 관리한다. 푸른도시과는 안산 자락길과 안산황톳길을 살핀다. 문화체육과에서는 각종 행사 때 질서 유지와 안전사고 예방을 맡고 아동청소년과는 5월 어린이날 행사 대비에 착수했다. 주차교통과는 차량 흐름에 방해가 되는 불법 주차 차량을 단속하고 도로과는 원활한 차량·보행 흐름을 위해 동선을 유도한다. 치수과는 홍제천 전 구간과 수변 공간, 음수대 등 안전 관리를, 보건소는 응급 환자 발생에 대비한 현장 의료 지원을 담당할 예정이다. 청소행정과는 안산 벚꽃마당과 카페폭포 주변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쓰레기 수거와 청소를 맡는다. 이성헌 구청장은 "주민과 방문객분들 모두 안전하게 머물고 안심하면서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서대문구는 단 한 건의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지속해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2025-04-08 14:17:16박형준 시장(사진)은 지난 4일 대통령 탄핵 소추안 인용에 따른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 향후 예상되는 혼란을 최소화하고 민생 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당부했다. 이날 회의는 박 시장 주재로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렸으며, 시 간부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국내외 불확실성 속에 지역사회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민안전·사회통합 방안, 민생안정·지역경제 안정화, 지역 민생안정대책반 비상체제 전환, 조기 대선 대비 선거 준비 대응, 시정 현안의 차질 없는 추진, 공직기강 확립 방안 등을 논의했다.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안정화와 관련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됨에 따라 '경제위기대응본부'를 즉시 가동하고 금융지원 확대, 위기업종 맞춤형 지원, 공공요금 동결 등 실질적인 민생경제 대책 마련에 들어가기로 했다. 또 기존 복지체계를 총동원해 위기가구·저소득층·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 보호 강화에도 나선다. 부산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시 행정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지역 민생안정대책반'을 구성하고 지역사회 안정을 위해 일선·관계기관과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비상 체제로 전환 가동해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행정·경제·민생·안전 각 분야 대응을 통해 시민의 삶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하기로 했다. 조기 대선이 결정됨에 따라 부산시는 중앙선관위와 협조해 선거 사무체계를 즉각 가동하고 구·군과의 협업체계 강화, 공직자 선거 중립 교육 실시, 공직선거법 준수 등 행정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향후 국정 공백에 따른 시정 현안사업, 내년도 국비 사업 확보 등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현안을 상시 점검하고 중앙정부와 국회와의 소통도 지속해서 이어 나가기로 했다.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통과와 한국산업은행 이전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해서도 민·관 공조 체계를 강화해 흔들림 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혼란 상황에서 공직기강 해이, 정치적 중립의무 위반 등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직자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시정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비상근무 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박형준 시장은 "우리 헌정사에서 또 한 번 대통령 탄핵이라는 엄중한 상황을 맞이해 안타깝다. 하지만 국가적 리더십 공백의 위기 속에서도 그동안 축적해 온 역량을 충분히 동원해 민생을 안정시키고, 전략적으로 추진해 왔던 일들이 차질 없도록 관리 역량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일상을 살아갈 수 있도록, 저를 포함한 전 공직자들이 흔들림 없이 그 어느 때보다 비상한 각오로 본연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부터 국정이 안정될 때까지 비상 상황이라는 인식하에 경제와 민생이 더 어려워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불가피하게 대선을 치르는 만큼 지역전략사업과 연계해 부산의 현안을 대선공약으로 관철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지역사회의 충격을 최소화하며, 경제와 민생을 지키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덧붙였다. bsk730@fnnTews.com 권병석 기자
2025-04-06 19:27:11[파이낸셜뉴스] 본초여담(本草餘談)은 한동하 한의사가 한의서에 기록된 다양한 치험례나 흥미롭고 유익한 기록들을 근거로 이야기 형식으로 재미있게 풀어쓴 글입니다. <편집자 주> 진나라의 진시황은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동남 지역을 순행 중이었다. 그런데 진시황은 순행 중 병이 악화되어 붕어(崩御)하고야 말았다. 진시황은 죽기 직전, 장남 부소(扶蘇)에게 황위를 물려주겠다는 유서를 남겼다. 진시황의 수행단에는 환관 조고(趙高)가 함께 했는데, 조고는 진시황의 막강한 신뢰를 받고 있었다. 조고는 비록 환관 신분이었지만 법률과 형벌에 능통한 율가(律家) 출신이었으며, 권모술수에 능한 인물이었다. 그런데 조고는 부소가 즉위할 경우 자신의 권력이 위태로워질 것을 두려워했다. 그래서 재상 이사(李斯)와 공모하여 진시황의 유서를 조작했다. 유서는 다음과 같이 "부소는 죄를 지었으니 자결하라. 대신 호해(胡亥)가 황위를 잇는다."는 식으로 조작이 되었다. 부소는 아버지의 뜻이라 믿었던 거짓 유서를 끝내 의심하지 못한 채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그렇게 진시황의 막내아들 호해가 황위에 올라 진나라의 두 번째 황제, 이세 황제로 등극하게 되었다. 호해는 즉위 당시 겨우 19세였다. 경험도, 정치적 기반도 부족한 그에게 조고는 거의 절대적인 존재였다. 조고는 호해의 즉위 직후 승상의 자리에 오르며 실질적인 권력을 손에 넣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권세를 신하들이 인정하고 따를지 확신할 수 없었다. 그래서 조고는 한 가지 시험을 계획했다. 어느 날, 그는 사슴 한 마리를 황제에게 바치며 이렇게 말했다. "폐하, 이 말은 천리마 중의 천리마이옵니다." 그러자 황제가 웃으며 말하길 "승상, 농을 즐기시는군요. 이것은 분명 사슴이 아니오?"라고 했다. 그러자 조고는 미소 지으며 신하들을 둘러보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오? 이것이 말이오, 사슴이오?"라고 물었다. 신하들은 난감해하며 눈치를 봤다. 조고의 눈치를 살핀 일부는 "말입니다."라 답하는 이들도 있었고, 용기 있는 몇몇은 "사슴이 아니옵니까?"라고 직언했다. 조고는 사슴이라 말한 자들을 마음속에 새겨두고, 이후 갖은 죄목을 뒤집어씌워 그들을 추방하거나 숙청해 버렸다. 그 후 조고는 더욱 대담해졌다. 결국 그는 호해마저 자결하게 만들었고,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오르려 했다. 하지만 지진이 일어나자 하늘이 자신을 꾸짖는 줄 알고 겁을 먹고 황위에 오르는 것을 포기했다. 이후에도 그는 대신 황족 자영에게 양위를 시도했으나, 자영의 부하인 한담에게 암살당하고 말았다. 이 일로 진나라의 관료 체계는 완전히 붕괴되었고, 추방당했던 충신들이 항우 진영에 합류하면서 진나라는 빠르게 무너졌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가 바로 '지록위마(指鹿 馬)', 즉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이다. 겉으로는 사소한 말장난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권력을 이용해 진실을 억누르고 반대자들을 제거하며 권위를 장악하는 잔혹한 정치적 수사와 관련된 한자성어다. 사슴을 사슴이라고 말하면 죽임을 당했던 것이다. 지록위마 이야기는 후세에도 진실을 감추고 거짓을 말할 때 인용되기도 했다. 옛날 어느 날, 한 현령(縣令)이 새롭게 부임했다. 새로 부임한 현령은 토지 문답문서를 들고서 아전(衙前)에게 "이 논은 지금 어느 마을 땅이냐? 그리고 이 논은 지금 누구 땅이냐?"라며 토지의 구획과 소속을 정확히 따지며 물었다. 당시 아전은 탐욕스러웠다. 그래서 그 땅들을 남몰래 자신의 소유로 하고자 계략을 세우고 있었다. 간사하고 교활한 아전은 이번에도 새로 부임한 현령에게도 거짓보고를 했다. 그러나 현령은 믿지 않았다. 현령은 사실 그 지역 출신이었기 때문에 이미 전답의 상황을 빠삭하게 알고 있었다. 그러자 아전은 중간 관리자인 향리(鄕吏) 또는 좌수(座首), 별감(別監) 등에게 "내 말이 맞는가? 틀린가?"하고 물었다. 그러자 일부는 아전의 눈치를 보더니 '맞다'라고 하기도 하고, 일부는 용기를 내서 '틀리다'고 했다. 현령은 "자네들의 모습은 마치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 하는 것과 같고[지록위마(指鹿爲馬)], 쥐를 가리켜 박옥(璞玉, 거칠지만 귀한 옥)이라 하는 것과 같고[환서위박(喚鼠 璞)], 6리를 600리라고 하는 것 아닌가?"라고 나무랐다. 아전과 함께 아전의 말이 맞다고 했던 중간 관리들은 깜짝 놀랐다. 현령은 아전에게 "아무리 뛰어난 관리라도 아래에서 이렇게 거짓 보고를 한다면 한나라 때 청백리로 알려진 공거( 遂)와 황패(黃 )일지라도 어찌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면서 파면을 시켰다. 물론 아전의 말이 맞다고 했던 자들도 벌을 받았다. 지록위마(指鹿爲馬)는 단순한 고사가 아니다. 진실을 왜곡되고 거짓이 일상화될 때 한 나라의 통치 체계가 얼마나 빠르게 무너지는지를 보여주는 냉혹한 경고다. 지도자가 거짓을 말하고 국민이 그것에 침묵할 때 사회는 병들기 시작한다. 권력을 쥔 지도자는 진실을 왜곡하지 말아야 하며, 국민은 두려움에 침묵하지 않고 용기를 내어 참을 말해야 한다. 이제는 사슴을 보고 말이라고 우기는 지도자는 없어야 하며, 모두가 사슴을 사슴이라 말할 수 있는 용기를 내야 할 때다. 그래야 우리 사회가 거짓이 없는 정직한 통합된 사회가 될 수 있다. * 제목의 ○은 '말'입니다. 오늘의 본초강목 이야기 출처 <사기> 秦始皇本紀. 八月己亥, 趙高欲爲亂, 恐群臣不聽, 乃先設驗, 持鹿獻於二世, 曰:馬也.」二世笑曰:丞相誤邪? 謂鹿爲馬.」問左右, 左右或黙, 或言馬以阿順趙高. 或言鹿(者), 高因陰中諸言鹿者以法. 後群臣皆畏高. (진시황본기. 8월 기해일, 조고는 난을 일으키고자 했으나 신하들이 듣지 않을까 걱정이 되어 먼저 시험을 해보려고 사슴 한 마리를 황제에게 바치면서 “말입니다”라고 했다. 황제가 웃으며 “승상이 잘못 본 것 아니오? 사슴을 말이라니”라고 했다. 좌우에 물으니 입을 다문 자도 있고, 말이라며 조고에게 아부하는 자도 있었으며, 사슴이라고 말하는 자도 있었다. 조고는 사슴이라고 말한 사람들에게 몰래 죄를 씌워 모함했다. 이후로 신하들이 모두 조고를 두려워했다.) < 경세유표> 縣令執此文. 以問之曰. 玄字畓何㽝也. 黃字畓何㽝也. 於是奸吏奸民. 指鹿爲馬. 喚鼠爲璞. 告六里爲六百里. 雖有龔. 黃之能. 何以辨矣. 魚鱗圖者. 田形之正者斜者尖者鈍者小者大者長者短者. 瞭然在目. 毫髮不可欺罔. 雖有甚愚之縣令. 不受欺也. 不必井田九一. 不可無此圖. 抑亦結負以解田者. 尤宜亟作此圖. 庶乎奸弊少戢也. 魚鱗圖. 宜有模範. 以示諸縣. 顧紙面窄小. 但取一區. 作圖如左. (현령은 문서를 잡고서 묻기를 “현자 답은 어느 배미이고 황자 답은 어느 배미인가?”라고 하면 이에 간활한 아전은, “사슴을 가리키면서 말이라.” 하고 “쥐를 일러서 박옥이라” 하여 6리를 600리라고 보고하니 비록 공황 같은 재능이 있다 한들 무엇으로써 분변하겠는가?) / 한동하 한동하한의원 원장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2025-04-05 09:20:41【파이낸셜뉴스 수원=장충식 기자】 이재준 경기 수원시장은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후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민생 안정, 시민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빈틈없이 대응하라"고 당부하고 나섰다. 이 시장은 4일 오후 2시 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행정 기관은 어떤 상황에서도 시민의 든든한 버팀목이 돼야 한다"며 "사회 갈등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가 통합하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탄핵심판 선고 후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며 "이른 시일 내에 수원시 통합방위협의회를 열어 경찰, 소방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시민 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자"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시는 '민생안정·지역사회 통합대책반'을 운영하며, 통합대책반(총괄단장 김현수 제1부시장)은 지방행정반, 민생안전반, 지역복지반, 안전관리반 등 4개 반으로 구성된다. 치안·질서 유지, 시민 안전관리 대책도 추진한다. 각종 단체 집회에 따른 인파 밀집 상황을 관리하고, 현장을 점검한다. 경찰·소방서와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구축해 각종 사건·사고에 대응하고, 집회 신고 단계에서 무질서를 방지할 수 있는 예방조치를 할 계획이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
2025-04-04 16: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