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친구 집에서 물을 마신 30대 남성이 몇년 후 폐가 완전히 망가지게 된 사연이 공개됐다. 19일 영국 매체 더 미러에 따르면 30대 호주 남성 크리스 캐퍼(33)는 여과되지 않은 샘물을 먹은 뒤 폐의 3분의 1이 세균에 감염되고 패혈성 관절염을 앓게 됐다고 전했다. 여과되지 않은 샘물이 '비결핵 항산균' 감염 원인이라 주장 비결핵항산균 감염 진단을 받은 이 남성은 친구 집에서 마신 천연 샘물이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캐퍼는 2021년 7월 호주 퀸즐랜드 북부 마운트 엘리엇에 위치한 친구 집에서 천연 샘물을 마셨다. 물은 마시고 난 뒤 캐퍼는 몸에서 열이 나고 잦은 기침을 하며 쉽게 피로해지는 증상을 겪었다. 이후 인근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지만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2년 뒤인 지난해 7월 엑스레이 검사 결과, 폐에 구멍이 난 사실을 알게 됐으며 6주가 지나자 폐의 3분의 1이 세균에 감염됐다는 진단을 받았다. 원인은 흙, 물, 먼지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인 '비결핵 항산균(NTM)'이었다. NTM은 사람 간 전염이 아닌 환경적 노출로 감염된다. 주로 면역력이 약하거나 기존에 폐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환경에서 박테리아에 노출될 때 발생한다. NTM은 정수처리 과정 중 염소로 소독해도 살균되지 않을 정도로 생존력이 강하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폐 감염시 주로 기침, 호흡 곤란, 피로, 발열, 체중 감소, 가래, 흉통이 나타난다. 캐퍼의 경우 폐에 감염된 균은 그의 팔꿈치로 퍼져 '패혈성 관절염'까지 일으켰으며, 왼쪽 엉덩이와 허리뼈는 물론 피부까지 세균이 번졌다. 그는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병원에서도 이 균에 대해 잘 모른다. 매일 알약 16개를 먹으며 버티고 있다. 그냥 죽기를 기다리는 것 같은 기분이다"고 말했다. 폐혈성 관절염..심각한 관절 손상 일으키는 무서운 질환 패혈성 관절염은 세균성 관절염, 화농성 관절염, 감염성 관절염 등으로 불리며 세균이 관절 안으로 침투해 생기는 질환이다. 세균이 혈류를 타고 빠르게 번식해 하루 이틀 만에 심각한 관절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무서운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 측은 캐퍼가 기저질환으로 1형 당뇨병과 낭포성 섬유증을 앓고 있어 면역체계가 약해진 상태라 박테리아 감염에 더욱 취약했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분석했다. 낭포성 섬유증은 선천성 유전질환이다. 체내에서 점액, 땀, 소화액과 같은 체액이 지나치게 끈적끈적해지게 만드는 CFTR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그 결과, 점액이 폐와 소화기관에 축적되어 호흡 문제, 감염, 소화 장애 등을 일으킨다. 한편, 샘물이 깨끗해 보여도 그냥 마시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미국 영양사 길리언 컬버트슨은 "샘물처럼 여과 되지 않은 물은 암반 물질을 통과하고 유기물과 접촉하면서 박테리아가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다"라며 "적절한 여과 및 오염을 제거하지 않는 물을 마시면, 자신도 모른 사이에 몸을 망가트리고 고통을 가져 올 수 있다"고 조언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4-09-19 07:38:52[파이낸셜뉴스] 미국의 한 50대 여성이 패혈증으로 팔과 다리가 썩어 미라처럼 검게 변한 사연이 알려졌다. 3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의 한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던 셰리 무디(51)는 폐렴으로 인한 패혈증을 앓고 결국 사지를 절단했다. 무디는 지난해 4월 감기 기운을 느끼고 며칠 뒤 고열과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응급실에 갔다. 의료진은 그의 폐 양쪽에 생긴 이중 폐렴이 혈압을 심각하게 떨어뜨리는 패혈성 쇼크를 일으켰다고 진단했다. 그가 복용하고 있던 관절염 약이 신체 면역력을 떨어뜨려 놓았기 때문에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무디가 혼수상태에 빠지자 의료진은 팔과 다리의 혈액 순환을 포기하는 대신 중요한 장기로 혈류를 되돌리는 약물 치료를 시행했다. 무디의 남편 데이비드는 “아내의 손과 다리가 죽어가는 것을 지켜봤다”며 “마치 미라처럼 검게 변했다”고 말했다. 결국 무디는 지난해 6월 팔꿈치 아래와 무릎 아래를 절단하고 8월에 퇴원했다. 데이비드는 무디를 돌보기 위해 직장까지 그만뒀다. 그는 “아내의 강인함에 경외심을 갖고 있다”며 “가끔 마음이 무너지지만 그저 행복하게 살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한편, 패혈증은 혈액을 통해 우리 몸에 퍼진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되어 다양한 장기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의미한다. 우리 몸 어느 장기에서든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수일 내에 조직 및 장기가 손상되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치사율이 약 30%, 심각할 경우 50%, 패혈성 쇼크로 이어질 경우에는 최대 80%까지 높아질 수 있다. 특히 급성 패혈증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만큼 초기 증상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고열. 빠른 심장박동. 빠른 호흡’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한다. 패혈증은 발병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일반적인 초기 증상은 고열, 어지러움, 비정상적인 호흡수의 증가 등이다. 질병이 진행되면 혈압이 낮아지고, 신체의 말단 부위로의 혈액 공급이 줄어들면서 피부가 푸르거나 검게 변하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에는 감염된 신체 부위의 절단이 필요할 수도 있다. 패혈증은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보존적 관리를 통해서 높은 확률로 완치될 수 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2024-03-04 23:27:19유난히 긴 명절 연휴, 평소에 쓰지 않던 근육을 갑자기 많이 쓰게 되면 관절에 무리가 간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재활의학과 김철 교수는 5일 "사람들은 관절염을 떠올리면, 흔히 노화로 인한 관절 손상을 생각해 단순히 약을 먹거나 파스를 붙이는 등 집에서 단순히 처치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감염이 되는 관절염도 있다"며 "이는 응급질환으로 연휴기간이라도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감염성 관절염'은 감염성 관절염, 세균성 관절염, 화농성 관절염, 패혈성 관절염을 말한다. '감염'이라는 단어가 의미하듯이 세균이 관절 안으로 침투해 생기는 질환이다. 또한 '세균'이라는 단어가 의미하듯이 관절 안으로 세균이 빠르게 번식함에 따라 하루 이틀 만에 심각한 관절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응급질환'이다. 감염성 관절염 환자는 2012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2016년에는 3만6000명을 넘어섰다. 입원해서 치료 받은 환자수만해도 2016년 기준으로 22만9000명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관절 조직 안으로 세균이 들어갈 수 있을까. 감기 같은 상기도감이나 성병, 요도염, 방광염 같은 비뇨기 감염 또는 피부 상처를 통해 체내로 들어간 세균이 번식해 혈액을 타고 관절 안까지 침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인공관절 수술의 부작용으로 감염성 관절염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주사나 침 치료를 할 때 소독을 제대로 하지 않거나 무균 시술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통해서도 세균 감염이 이루어 질 수 있다. '감염성 관절염'은 무릎관절, 고관절, 발목관절뿐 아니라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 관절 등 비교적 큰 관절에 잘 오는데, 퇴행성 관절염과 달리 노인뿐 아니라 청장년 및 유소년에서도 발병할 수 있다. 주된 증상은 특정 관절의 통증과 관절 움직임의 제한 뿐 아니라 관절이 붓고 벌개지며 열이 난다는 것이며 감염증의 특징인 오한 및 전신 열이 동반될 수 있다. 혈액검사에서 염증 반응이 강하게 나타난다. 부어 있는 관절에서 관절액을 뽑았을 때 노란 빛을 띤 투명한 액체가 아닌 허옇거나 누런 색을 띠는 탁하고 불투명한 액체가 나온다면 감염성 관절염을 강력하게 의심한다. 확진을 위해 관절액을 검사실로 보내 세균 도말검사 및 세균 배양검사를 통해 어떤 균이 자라는지를 확인하고 그 균에 잘 듣는 감수성 높은 항생제를 찾아내야 한다. 감염성 관절염의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 세균 감염에 의한 심각한 관절조직 파괴가 빠르게 진행된다. 치료 후에도 관절에 심각한 후유장애를 남기므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관절이나 주변 조직에 세균 감염에 따른 농양(고름)이 생긴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며 관절 세척 및 항생제의 관절 내 직접 투여 등을 위해 응급 수술이 이루어진다. 인공관절을 삽입한 곳에 감염성 관절염이 생긴 경우에는 인공관절의 제거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전신적인 폐혈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혈액에서도 균이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감염성 심내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고 폐혈증에 의한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태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항생제 투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감염성 관절염이 의심된다면 이는 다른 관절염과 달리 '응급상황'이므로 가능한 빨리 병원응급실을 방문해 신속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2017-10-01 23:44:01여름철에는 조그만 상처라도 주의해야 한다. 상처로 인해 발생하는 봉와직염, 혹은 봉소염, 연조직염은 피부 표면에 생긴 작은 상처를 통해 들어온 세균이 진피와 연조직에까지 염증을 일으키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원래 상처가 있던 곳에 피부가 빨갛게 변하는 홍반이 생기며, 상처 부위가 뜨거워지는 느낌을 동반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감기에 걸린 것처럼 온몸에 오한이 생기고 부종 및 통증이 생기며, 물집이 생기거나 고름이 나오기도 한다. 이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피부색이 자주색으로 변하면서 피부 조직이 썩는 괴사가 발생해 사망률이 높은 괴사근막염으로 진행된다. 1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봉와직염 환자는 2010년 99만4000명에서 지난해 111만4000명으로 늘었다. 관련 진료비도 같은 기간 618억 원에서 815억 원으로 약 31% 증가했다. 봉와직염은 여름철에 가장 발병률이 높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2월 9만1000명이었지만 8월에는 14만4000명까지 치솟았다. 여름에 연조직염이 흔한 이유는 높은 습도 때문에 황색포도알균이나 사슬알균 등의 원인균 번식이 쉬워 상처의 염증이 봉와직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봉와직염은 초기에 치료하게 되면 경구 항생제 및 진통소염제로 쉽게 치료된다. 하지만 가볍게 여기고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피부괴사, 패혈성 쇼크, 화농성 관절염, 골수염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동반할 수 있다.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봉와직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발, 다리, 얼굴 등에 많이 발생한다. 무좀 환자의 경우 발가락 사이에 환부를 통해 더욱 쉽게 감염되며, 평소 팔과 다리에 부종이 있는 환자에게도 흔히 발생한다. 특히 모기 물린 부위를 긁거나 침을 바르는 행위도 봉와직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윤영경 교수는 "여름철에는 피부 손상을 최대한 줄이고 무좀, 짓무름, 부종 등이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치료해 다른 부위로 감염병 발생을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2016-07-14 10:01:2830도를 웃돌던 날씨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로 접어들고 있다. 일교차가 크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요즘 같은 시기에는 세균 침투로 인한 유해 염증이나 호흡기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의 경우 조금만 관리가 소홀하면 자칫 큰 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 온 가족의 건강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건강 관리가 중요해지는 환절기,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계절 질환과 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면역력 약한 어린이, 유행성 결막염과 급성 편도염 주의해야 면역력이 약하고 계절 질환에 취약한 어린이의 경우 유행성 결막염을 주의해야 한다. 유행성 결막염은흔히 여름철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각 학교별로 개학이 시작되는 시기와 맞물려 친구들과 직간접적 접촉을 통해 전염이 빈번히 일어날 수 있고 가을철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확산되기 쉽다. 주로 다른 신체 접촉이나 사물 등을 통해서도 전염이 쉽게 이루어지는 만큼 어린이가 외출 후 집에 돌아오면 반드시 흐르는 물에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 한다. 또한 충혈된 눈을 가리기 위해 청소년들이 안대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증상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는 만큼 착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소에도 눈을 손으로 비비지 않도록 하는 등의 생활 습관 주의사항을 자주 상기시켜 주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김진국 대표원장은 “초기에 이물감이나 충혈 등의 증세를 보이는 유행성 결막염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며 “이 경우 각막 표면의 상피세포가 손상돼 각막에 혼탁을 남기거나 시력 저하를 불러 일으킬 수 있으므로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심한 일교차에 따라 어린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질환은 편도염이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은환절기가 되면 바이러스와 세균에 더욱 쉽게 노출된다. 어린이의 경우 편도가 어른에 비해 크기 때문에 급성편도염에 더 잘 걸릴 수 있다. 열이 나고 식욕이 떨어지며 목이 아파 침을 삼키기가 곤란하다면 급성편도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자칫 피로나 감기 초기증상으로 오인하고 방치한다면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성대와 성대를 둘러싼 후두에 염증이 발생하는 후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외출 후 손, 발을 깨끗이 씻어 접촉에 따른 세균 감염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환기를 자주 시키고 그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해 공기 중의 세균을 차단해 주는 것이 좋다. ■ 20~40대 직장인, 안구건조증과 쯔쯔가무시증 유발 위험 높아 환절기에는 건조함으로 인한 질환 발생률이 상당히 높다. 특히 성인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으로 안구건조증이 대표적이다. 환절기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크게 벌어지고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음에 따라 눈이 마르고 건조해지는 안구건조증이 발병하기 쉽다. 흔히 안구건조증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대수롭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면역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환절기에는 다른 안질환으로 발전하거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가볍게 봐선 안 된다. 특히 20~40대 직장인들은 하루 종일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안구건조증이 쉽게 발병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컴퓨터 모니터를 집중해서 바라보면 눈 깜빡임 횟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눈의 피로가 쌓이면서 안구건조증이 심화될 수 있고 두통 등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50분 작업 후에는 반드시 5분 이상 눈을 쉬어주고 휴식을 취할 때는 먼 곳을 응시하거나 눈을 감아 눈의 조절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눈이 뻑뻑하고 이물감이 느껴진다고 해서 손으로 눈을 비비는 행위는 안구에 직접적인 자극을 줘 각막에 상처를 내거나 각종 전염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니 삼가도록 한다. 또한 가을이 되면서 늘어나는 야외활동으로 인해 성인들에게 쯔쯔가무시증과 같은 가을철 발열성 질환이 발병할 수 있다. 쯔쯔가무시증은 털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 경우 그 미생물이 인체 내로 들어가 혈액과 림프를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1~3주의 잠복기를 거쳐 오한, 발열, 두통 등의 초기 증상을 보인다. 2주 이후부터 서서히 호전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심하면 호흡부전, 패혈성 쇼크, 의식저하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풀밭 위에 옷을 벗어놓고 앉거나 눕는 일을 피하고 돗자리를 깔고 그 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 숲에서 용변을 보는 일 역시 피해야 하며, 가능한 한 피부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 운동량 적은 노년층, 녹내장과 퇴행성 관절염 발병할 수 있어 환절기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연령은 바로 노년층이다. 환절기처럼 기온 차가 큰 날씨에는 고혈압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어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녹내장이 유발될 수 있는 것. 눈의 경우 시신경이 손상돼 시력 저하를 가져오는 녹내장의 발병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녹내장은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과 함께 실명의 3대 원인으로 꼽히는 질환으로, 눈 안의 압력, 즉 안압이 높아져 시신경을 압박하는 것이 주원인이다. 녹내장은 자각증상이 거의 없어 실명 직전에도 환자가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일단 눈에 통증이 있고 물체가 뿌옇게 흐려지면 전문안과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한 번 손상된 시신경은 다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적절히 안압을 낮춰주지 않으면 이 과정이 계속 진행돼 보이는 범위가 점점 좁아질 가능성이 크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녹내장 발병 고위험군인 만큼 정기적인 안과 검진은 필수이며, 눈의 원활한 혈액 순환을 위해서는 가급적 술과 담배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년층의 경우 평소 운동량이 적고 날씨 변화에 신체가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이 시기가 되면 십자인대파열이나 퇴행성 관절염의 발병 위험이 높다. 신체 강직은 낮과 밤의 온도 차이로 혈액 순환이 저하된 아침에 심해지는 경우가 많고 무릎 관절의 강직과 이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근육과 뼈의 손상을 유발해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운동량을 조절해 무리하지 않게 꾸준히 운동을 해주고 정상 체중을 유지해 무릎에 무리한 하중이 실리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신의 무릎을 포함한 신체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면 운동 전 반드시 무릎, 발목, 발가락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찜질 역시 도움이 된다. /onnews@fnnews.com 온라인뉴스팀
2013-08-30 10:3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