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서울대 석좌교수인 현택환 한국공학한림원 회원이 최근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열린 스웨덴 왕립공학한림원 정기총회에서 외국 회원으로 선출됐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정근모 전 과학기술부 장관(1990년)과 2005년 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 2021년 김기남 공학한림원 회장 등 3명이 선정된 바 있다. 10일 한국공학한림원에 따르면, 현택환 회원은 지난 26년 간 균일한 나노입자와 관련 나노소재의 합성 및 응용에 관한 세계 최고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해 온 공로를 인정 받았다. 현택환 회원이 개발한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는 표준 기술인 승온법은 전 세계 대학연구실과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2020년에는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노벨클래스로 알려진 세계 상위 0.01% 연구자(Citation Laureate)에 선정되면서 그가 해왔던 연구의 중요성과 폭넓은 영향력을 인정받았다. 한편, 스웨덴왕립공학한림원(IVA)는 1919년 왕실 산하에 설립된 세계 최고의 공학한림원이다. 노벨상을 수여하는 왕립과학원과 함께 스웨덴 핵심 연구 기관으로 꼽힌다. 현재 외국회원 265명(확인)을 포함해 1300여 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3-12-10 11:03:32[파이낸셜뉴스] 오늘(7일)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한국인 두 번째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지 주목된다. 오늘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는데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화학상 부문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까지 유일무이의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는 김 전 대통령이다. 그는 지난 2000년 12월 한국인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노벨 화학상 수상 후보자로 거론되는 현 교수는 20년 넘게 나노과학 분야를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이다. 그는 국제 과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물이다. 현 교수는 지난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IBS)에 합류해 국내 나노입자 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올해는 네이처와 사이언스 등 주요 학술지에 우수한 연구성과들을 연달아 발표했다. 현 교수의 대표적인 성과는 나노결정(Nano Crystals) 합성 연구다. 그는 모운지 바웬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를 비롯한 크리스토퍼 머리 펜실베이니아대 교수와 함께 물리학, 생물학, 의학 시스템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나노결정 합성 연구를 협업했다. 현 교수는 완전히 새로운 접근으로 원하는 크기의 균일한 나노입자를 만들어낼 방법을 만들어냈다. 기존 방식으로 나노물질을 합성하면 입자의 크기가 저마다 다르게 생산돼 필요한 크기의 입자만 골라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현 교수는 다양한 시도로 실온에서 서서히 가열하는 승온법으로 균일한 나노입자 합성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2001년 미국화학회지(JACS)에 게재됐다. 현재까지 1660회나 인용됐다. 아울러 현 교수는 승온법의 산업적 응용을 위한 원천기술도 개발했다. 균일한 나노입자의 대량 합성 방법을 개발하여 2004년 12월 ‘네이처 머터리얼스(Nature Materials·3000회 인용)’에 발표했다. 한편, 노벨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는 지난 5일(한국시간)부터 시작됐고 오는 12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과 솔나, 노르웨이 오슬로 등지에서 이어진다. ck7024@fnnews.com 홍창기 기자
2020-10-07 07:41:43[파이낸셜뉴스] 2020년 노벨상 수상자 발표가 오는 5~12일(이하 한국시간 기준) 스웨덴 스톡홀름과 솔나, 노르웨이 오슬로 등지에서 진행되는 가운데 한국인이 수상자 명단에 올라 주목을 받고 있다. 5일 노벨위원회 등에 따르면 순차적으로 생리의학상(5일 오후 6시 30분), 물리학상(6일 오후 6시45분), 화학상(7일 오후 6시 45분), 문학상(8일 오후 8시), 평화상(9일 오후 6시), 경제학상(12일 오후 6시 45분) 등 총 6개 부문에서 수상자가 발표될 예정이다. 올해 한국에서는 화학상에 가장 관심이 높다. 서울대 석좌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인 현택환 단장(56)이 예상 수상자 명단에 올라 있기 때문이다. 노벨상 수상 유력 과학자 명단을 발표하는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현 교수는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모운지 바웬디 교수, 미국 펜실베니아대 크리스토퍼 머레이 교수와 함께 물리학 생물학 및 의학 시스템의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정밀한 속성을 가진 나노결정합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노벨평화상 후보로는 내달 3일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부를 펼칠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모두 추천을 받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그의 정적 알렉세이 나발니 전 러시아진보당 대표도 평화상 후보다. 수년간 이어진 ‘미투’ 사태 여파로 인해 지난해 두 명의 수상자가 탄생한 노벨문학상의 경우 올해는 프랑스령 과들루프 출생 마리즈 콩데가 유력하다. 생리의학상은 암 백신 공동 연구자인 일본 나카무라 유스케 박사가 수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또한 파멜라 비요르크맨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교수, 잭 스트로밍거 하버드대 교수 등도 거론되고 있다. 물리학상 후보장 명단엔 미 해군연구소 물리학자들인 토마스 캐롤과 루이스 페코라 박사, 홍제다이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교수, 알렉스 제틀 미국 버클리대 교수, 카를로스 프랭크 영국 전산 우주론 연구소(ICC) 소장, 훌리오 나바로 캐나다 빅토리아대 교수, 사이먼 화이트 독일 막스플랑크 천체물리학 연구소 전 연구소장 등이 포함됐다. 노벨상 경제학상 후보자 명단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매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던 노벨상 시상식이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됐다. 시상슥은 온라인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별도로 열리는 노벨평화상 시상식은 규모를 줄여 별도로 개최한다. joonhykim@fnnews.com 김준혁 인턴기자
2020-10-05 07:20:37[파이낸셜뉴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 단장인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올해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에 올랐다.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대량 합성할 수 있는 '승온법' 개발로 나노입자의 응용성을 확대한 공로다. 2004년에 발표한 합성법은 현재 전 세계 실험실뿐만 아니라 화학 공장에서도 표준 나노입자 합성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글로벌 정보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23일 물리, 화학, 생리의학, 경제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이 유력한 전 세계 연구자 24명을 선정해 발표했다. 현택환 교수는 이날 "서울대 교수로 임용될 당시 미국 박사과정에서 연구해왔던 분야가 아닌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보자는 결심을 했고, 그 당시에 떠오르던 나노과학 분야 연구에 뛰어들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의 피인용 빈도가 상위 0.01% 이내이며 해당 분야에 혁신적 공헌을 해 온 연구자들이 매년 선정된다.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선정된 연구자 중 54명이 실제로 노벨상을 받았으며, 이중 29명은 2년 내 노벨상을 수상했다. 한국인이 명단에 이름을 올린 건 이번이 세 번째다. 현 교수는 20년 넘게 나노과학 분야를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이다. 지금까지 발표한 400편 이상의 선도적인 논문들은 관련 연구자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그중 7편의 논문은 1000회 이상 인용됐다. 화학 분야에서 100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의 수는 전체 논문의 약 0.025%에 불과하다. 이번 선정에는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할 수 있는 표준 합성법 개발' 관련 성과가 중요한 근거가 됐다. 그는 완전히 새로운 접근으로 원하는 크기의 균일한 나노입자를 만들어낼 방법을 고안해냈다. 기존 방식으로 나노물질을 합성하면, 입자의 크기가 저마다 다르게 생산돼 필요한 크기의 입자만 골라 사용해야 했다. 현 교수는 다양한 시도 끝에 실온에서 서서히 가열하는 승온법으로 바로 균일한 나노입자 합성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2001년 미국화학회지(JACS)에 게재됐으며, 현재까지 1660회 인용됐다. 이후 균일한 나노입자의 대량 합성 방법을 개발해 2004년 12월 '네이처 머터리얼스(3000회 인용)'에 발표했다. 현 교수는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IBS)에 합류해 나노입자 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특히, 올해는 그의 연구 인생에 있어 '기적의 해'로 평가될 만큼 네이처와 사이언스 등 주요 학술지에 우수한 연구성과들을 연달아 발표하며 국제 과학계에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현 교수는 "묵묵히 함께 연구를 해 온 제자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했던 동료과학자들의 도움, 그리고 장기간 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할 수 있었던 상황 덕분에 이 같은 영예를 얻을 수 있었다"며 "연구자를 믿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원해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에 진심으로 감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IBS 소속으로는 현택환 단장을 포함해 지금까지 세 명의 연구자가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로 선정됐다. 2014년 유룡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KAIST 교수)은 기능성 메조다공성물질 설계 관련 연구로, 2018년 로드니 루오프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UNIST 교수)은 탄소 소재 기반 슈퍼커패시터 연구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2020-09-23 15:42:34서울대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와 최장욱 교수가 세계의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현 교수는 논문 누적피인용 횟수가 3만7000회를 넘는 탁월한 연구 성과로 글로벌 HCR에 선정됐다. 최 교수는 차세대 나트륨이차전지, 마그네슘이차전지용 전극소재 개발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17-11-17 17:03:08올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서울대 교수 2명이 이름을 올렸다. 서울대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와 최장욱 교수가 세계의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현 교수는 1997년 서울대에 부임한 이래 20년간 다양한 나노 소재의 제조와 응용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며 3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 교수는 연구업적의 국제적 인지도를 가늠하는 논문 누적피인용 횟수가 3만7000회를 넘는 탁월한 연구 성과로 올해 글로벌 HCR에 선정됐다. 현 교수는 화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의 에디터로 활동 중이며 미국재료학회와 영국왕립화학회 펠로우로 선정됐다. 또2011년 세계 화학의 해를 맞아 발표된 세계 100대 화학자 중 37위에 등재됐으며 포스코 청암과학상, 호암상(공학부문)등을 수상했다. 2016년에는 나노 입자 합성분야의 발전을 국제적으로 선도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과 국제진공과학기술연합에서 수여하는 IUVSTA 기술상을 수상했다. 최 교수는 이차전지의 사용시간 연장을 위한 고용량 전극소재 개발 및 포스트-리튬이차전지 기술인 차세대 나트륨이차전지, 마그네슘이차전지용 전극소재 개발에 대한 성과로 이번 글로벌 HCR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전세계 고객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인사이트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최근 ‘2017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즉,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많은 연구자 명단을 발표했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자사의 ‘웹 오브 사이언스’를 기반으로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1년간 등록된 13만건 이상의 논문을 평가해 각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을 기준으로 상위 1%에 속하는 연구자들을 선정했다. 올해 총 3300명의 글로벌 HCR 중 우리나라에서 연구 성과를 올린 과학자는 중복 수상을 포함해 34명이다. 이 중 3명의 연구자가 2개 이상의 연구 카테고리에서 중복 수상을 한 것으로, 실제 수상은 30명에게 진행됐다. 이 중 한국인은 28명이라는 것이 학교 측의 설명이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17-11-17 09:16:47서울대학교는 전기.정보공학부 정덕균 교수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가 이달부터 서울대 석좌교수로 임용됐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서울대 석좌교수는 두 교수를 포함해 총 4명뿐이라는 것이 학교 측의 설명이다. 이번에 석좌교수로 임용된 정덕균 교수는 고속 디지털 회로 설계분야의 세계적인 선도자로, 고화질 화상을 손상 없이 고속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비디오 전송방식을 개발했다. 현택환 교수는 1997년 서울대에 부임한 이래 20년간 나노입자, 나노세공물질 등 다양한 나노 소재의 제조와 응용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며 3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왔다. 구자윤 기자
2017-09-15 17:45:12서울대학교는 전기·정보공학부 정덕균 교수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가 이달부터 서울대 석좌교수로 임용됐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서울대 석좌교수는 정덕균, 현택환 교수를 포함해 총 4명 뿐이라는 것이 학교 측의 설명이다. 이번에 석좌교수로 임용된 정덕균 교수는 고속 디지털 회로 설계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자로, 고화질의 화상을 손상 없이 고속으로 전송하는 디지털 비디오 전송방식을 개발해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VI)로 표준화했다. 이러한 DVI를 발전시켜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로 확대 적용했으며 현재 HDMI는 거의 모든 평판 디스플레이에 표준 인터페이스로 채택돼 사용 중이다. 정 교수는 세계전기전자공학회 석학회원이며 반도체공동연구소 도연창조상, 훌륭한 공대교수상, 한국공학한림원 젊은공학인상, 호암상(공학부문) 수상 뿐만 아니라 서울대 공대에서 수여하는 우수 강의상을 네 차례 받은 바 있다. 현재까지 총 87개의 미국 특허를 등록했고 차세대 회로설계연구센터를 설립해 활발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현택환 교수는 1997년 서울대에 부임한 이래 20년간 나노입자, 나노세공물질 등 다양한 나노 소재의 제조와 응용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며 3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왔다. 현 교수는 연구업적의 국제적 인지도를 가늠하는 누적피인용 횟수가 3만7000회를 넘는 탁월한 연구 성과를 가진 나노기술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현 교수는 화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의 에디터로 활동 중이며, 미국재료학회와 영국왕립화학회 펠로우에 선정됐다. 또한 포스코 청암과학상, 호암상(공학부문) 등을 수상했고 2011년 세계 화학의 해를 맞아 발표된 세계 100대 화학자 중 37위에 등재됐다. 지난해에는 나노 입자 합성분야의 발전을 국제적으로 선도한 공적으로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과 국제진공과학기술연합에서 수여하는 IUVSTA 기술상을 수상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2017-09-15 08:42:29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현택환 서울대 교수가 2016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결정됐다.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11일 2016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권오준 회장과 현택환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업적이 뛰어난 과학기술인을 발굴해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자긍심을 높이고 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하고자 지난 2003년부터 시상해 온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인상이다.권 회장은 국내외 철강산업 분야에서 최고 기술력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 고유 제철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시키며 우리나라 철강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이끄는 데 크게 기여했다.특히 권 회장은 철강 신제품 개발(14건), 신제조기술 개발(36건), 제품 품질 예측모델 개발(11건)을 직접 수행했으며 자동차용 고강도 강재(강도가 높은 철강 재료) 개발 등 고도의 첨단기술 확보에 큰 공헌을 했다.현 교수는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손쉽게 대량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발견된 합성 과정의 메커니즘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 나노입자 합성분야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또 2011년 유네스코와 톰슨로이터가 발표한 세계 100대 화학자에 선정(37위)돼 국가 위상을 크게 높였다.아울러 세계적 관심사인 에너지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자 값비싼 백금이 아닌 금속산화물 성분의 나노소재를 전기화학반응의 고효율 촉매로 개발,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등에 응용한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 등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는 등 영향력을 인정받아 화학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JACS의 에디터로도 활동하고 있다.미래부는 13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하는 2016년 세계과학기술인대회에서 수상자에게 대통령 상장과 함께 부상으로 상금을 수여할 계획이다.한편 이 상은 세계적인 연구개발 업적 및 기술혁신으로 국가 발전과 국민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엄정한 심사를 거쳐 올해까지 총 36명을 선정했다. 과학기술 관련 기관과 단체에서 55명을 추천받아 3단계 심사 과정(전공자심사, 분야심사, 종합심사)을 거쳐 최종 2명이 선정됐다. jjoony@fnnews.com 허준 기자
2016-07-11 18:21:44권오준 포스코 회장과 현택환 서울대학교 교수가 2016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결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11일 2016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권오준 회장과 현택환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업적이 뛰어난 과학기술인을 발굴해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자긍심을 높이고 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풍토 조성을 위해 지난 2003년부터 시상해 온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인상이다. 권오준 회장은 국내외 철강산업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해 고유 제철기술의 상용화를 성공시키며 우리나라 철강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이끄는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권 회장은 철강 신제품 개발(14건), 신 제조기술 개발(36건), 제품 품질 예측모델 개발(11건)을 직접 수행했으며 자동차용 고강도 강재(강도가 높은 철강 재료) 개발 등 고도의 첨단 기술 확보에 큰 공헌을 했다. 현택환 교수는 크기가 균일한 나노입자를 손쉽게 대량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발견된 합성과정의 메커니즘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해 나노입자 합성 분야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또 2011년 유네스코와 톰슨로이터가 발표한 세계 100대 화학자에 선정(37위)돼 국가 위상을 크게 높였다. 아울러 세계적 관심사인 에너지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자 값비싼 백금이 아닌 금속산화물 성분의 나노소재를 전기화학반응의 고효율 촉매로 개발,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등에 응용한 연구결과가 사이언스 등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는 등 영향력을 인정받아 화학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JACS의 에디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미래부는 오는 13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하는 2016년 세계과학기술인대회 개회식에서 수상자들에게 대통령 상장과 함께 부상으로 상금을 수여할 계획이다. 한편 이 상은 세계적인 연구개발 업적 및 기술혁신으로 국가 발전과 국민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한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엄정한 심사를 거쳐 올해까지 총 36명을 선정했다. 과학기술 관련 기관과 단체에서 55명을 추천 받아 3단계 심사과정(전공자심사, 분야심사, 종합심사)을 거쳐 최종 2명이 선정됐다. jjoony@fnnews.com 허준 기자
2016-07-11 10:5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