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한화오션이 지난 8일 차세대 드릴십 명명식을 개최하고, 심해 시추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이날 명명식에는 한화오션 해양사업부장 필립 레비(Philippe Levy) 사장, 페트로브라스(Petrobras) 엔지니어링·기술·혁신 담당 헤나따 바루찌(Renata Baruzzi) 이사,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 호드리구 히베이루(Rodrigo Ribeiro) 대표, 한화드릴링 클레이튼 코안(Clayton Coan) 대표 및 기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명명식 대모로 나선 헤나따 바루찌 여사는 이 드릴십을 ‘타이달 액션(Tidal Action)’호로 명명했다. 이번 드릴십은 한화오션이 자체 개발한 디자인을 적용했다. 최대 수심 3.6km 심해에서 최대 12km까지 시추가 가능하다. 안정된 선체 고정을 위한 다이나믹 포지셔닝 시스템, 안전한 시추 작업을 위한 폭발 차단 안전장치 등을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모두 충족하는 드릴십이다. 지난해 2월 한화오션은 회사가 보유한 드릴십 운영을 위해 한화드릴링을 설립하고, 드릴십을 자체 운용하기로 전략적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번 ‘타이달 액션’호의 인도는 한화오션의 해양 시추 사업 진출에 있어 주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한화오션은 해양사업에 있어서 일괄도급 방식(EPCIO,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드릴십 인도는 운영(Operation)에 해당하는 것으로 신규 수익기반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화오션은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트랙레코드를 쌓는 한편 드릴십 밸류 체인을 확장하며 해상 플랫폼 기반 해양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화드릴링은 지난해 브라질의 대표적인 해양 시추 전문기업인 콘스텔레이션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콘스틸레이션은 한화드릴링의 드릴십을 통해 브라질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브라스와 장기 용선 계약을 체결해 올 하반기부터 브라질 해역 시추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한화오션 해양사업부 필립 레비 사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드릴십을 인도하며 해양 시추 사업에 본격 진입하게 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이며, 기술 경쟁력과 전략적 비전을 바탕으로 해양 에너지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5-04-09 08:33:59[파이낸셜뉴스] 한화오션은 지난 1월 31일 글로벌 해상풍력 전문기업 카델라에 해상풍력발전기설치선(WTIV) 1척을 인도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WTIV는 당초 예정된 인도 시점보다 1달 앞서 조기 출고됐으며, 이를 통해 한화오션은 해상풍력 밸류체인에서 초격차 경쟁력을 증명했다. 이번에 인도된 WTIV는 길이 148m, 폭 56m로, 최대 2600t의 중량물을 들어 올릴 수 있으며, 15㎿급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5기를 한 번에 운송 및 설치할 수 있는 사양도 갖췄다. 또한, 수심 65m까지 발전기 관련 장비 설치가 가능해 대형화되는 해상풍력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WTIV는 대만 창화 해상풍력단지에서 첫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 필립 레비 한화오션 해양사업부장 사장은 "시운전 단계부터 발주사와 원팀을 구성해 이슈 해결 시간을 최소화하고, 작업 효율과 품질을 동시에 높였다"며 "이번 조기 인도를 통해 한화오션이 해상풍력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해상풍력발전기의 용량도 기존 10㎿ 이하에서 10㎿ 이상으로 대형화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대형 WTIV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한화오션은 시장 변화에 맞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한화오션은 국내 조선사 중 가장 많은 WTIV 수주 및 건조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번 WTIV를 포함해 총 3척을 성공적으로 인도했으며, 올해 말까지 추가 1척을 인도할 예정이다. 한화오션은 WTIV 건조를 넘어 해상풍력 시장 전반을 아우르는 '토탈 솔루션 제공업체'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풍력사업 개발을 필두로 △하부구조물 △해상변전소 제작 △운송 △설치 △유지보수까지 해상풍력 전반에 걸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의 핵심 기자재인 하부 부유체 자체 모델을 개발하고, 노르웨이 선급 DNV로부터 개념 승인을 획득하는 등 기술력도 입증했다. 한편, 한화오션은 해상풍력 외에도 해양 신재생 에너지 및 부유식 해양 생산설비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괄도급 방식(EPCIO)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의 전환을 시도하며, 해양에너지 가치사슬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5-02-03 10:17:24[파이낸셜뉴스] 한화오션은 자사가 건조한 고정식 원유생산설비가 예정보다 2주 앞서 첫 원유 생산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한화오션의 해양플랜트 기술력과 공정관리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한화오션은 지난 2021년 카타르 NOC사로부터 수주한 고정식 원유생산설비를 세계 최대 해상 유전지인 카타르 알샤힌 유전에 성공적으로 설치했다. 약 3.5개월간의 설치 및 시운전 작업을 마친 이 설비는 지난 15일 첫 시험 생산을 통해 본격적인 상업 생산 가능성을 확인했다. 첫 원유 생산은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설비를 연결한 뒤 시험 생산을 통해 설비의 상업 생산 준비 상태를 검증하는 중요한 단계로, 해양플랜트 공정관리와 시운전 기술력의 핵심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카타르는 세계 최대 해상 유전 지역으로, 향후 수년간 고정식 원유 및 가스 생산설비 발주가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 필립 레비 한화오션 해양사업부장 사장은 "주문주와 원팀 협력을 통해 품질과 안전을 확보한 것이 이번 조기 성공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한화오션은 △설계 △건조 △설치 △운영까지 아우르는 일괄도급(EPCIO) 방식 솔루션 공급자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며 고부가가치 해양플랜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2024-12-18 13:06:58[파이낸셜뉴스] 한화오션이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해양플랜트 전시회에 참가해 세계 최고 수준의 해양 설비 관련 기술력을 대거 선보인다. 한화오션은 올해로 7회를 맞는 국제 해양플랜트 전시회에 참가해 총 4종의 해양 제품을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국제 해양플랜트 전시회는 격년제로 1만5000여명의 관람객이 찾는 국내 최대 규모 해양 산업 대표 전시회다. 올해는 오는 16∼1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며, 전 세계 20여개국 약 200개 기업이 참가한다. 한화오션은 이번 전시회에서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 설비인 FPS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인 LNG-FPS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WTIV) △드릴십 등을 선보인다. 한화오션은 현재까지 모두 8기의 FPSO(LNG-FPSO 포함)를 수주해 7기를 성공적으로 인도하고 현재 1기를 건조하고 있다. 이번에 전시되는 FPSO는 하루 최대 22만 배럴의 원유와 440만㎥의 천연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FPSO다. LNG-FPSO는 한화오션이 세계 최초로 건조한 해양 설비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한화오션의 WTIV는 15㎿급 또는 20㎿급 대형 해상풍력발전기를 싣고 운항할 수 있으며, 수심 65m까지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 한화오션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4척의 WTIV를 수주해 2척을 성공적으로 인도했고, 현재 2척을 건조하고 있다. 드릴십은 한화오션이 자체 개발한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최대 수심 3.6㎞ 심해에서 최대 12㎞까지 시추가 가능하다. 특히 2개의 시추 타워가 적용돼 시추 타워가 1개일 때보다 작업시간을 25% 이상 절감할 수 있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한화오션의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통해 글로벌 해양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화오션은 해양에너지 가치사슬 확장을 위해 해양 사업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4월 필립 레비 전 SBM Offshore Americas 사장을 해양사업부장으로 영입한 데 이어, 부유식 해양 생산설비와 해양 신재생 에너지 관련 사업의 일괄도급 방식(EPCIO)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2024-10-15 09:1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