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설 10주년을 맞은 국내 상장지수채권(ETN) 시장이 고공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 속에서도 상장종목수와 가치총액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ETN 시장은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 상장종목수 402곳, 지표가치총액 16조6000억원이다. 발생사는 10개사로 늘었다. 6개 발행사의 10개 종목 상장을 시작으로 지난 2014년 11월 개설된 ETN 시장은 10년 간 상장종목수는 약 40배, 지표가치총액은 약 36배 급증했다. 일평균 거래대금도 1159억8000만원으로 527배 증가했다. ETN 시장은 중위험, 중수익의 간접투자상품에 대한 투자 수요를 충족시키고, 국내 증권사의 신규 수익원 창출을 통한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개설됐다. 개설 초기 '주식형 +1배' 상품 위주에서 원자재, 채권, 통화 등 상품군 및 레버리지 배율의 다양화를 꾀하며 시장의 양적 성장을 견인했다. 또 신상품 도입을 위한 규정 개정 등을 통해 기초 자산 상품군 및 레버리지 배율의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다양한 투자 수요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꾸준한 제도 개선을 통해 기관투자자(LP)의 괴리율을 줄이고 유동성 공급 기능을 강화하는 등의 효과도 보였다. 현재 글로벌 ETN 시장은 미국이 2006년 시장 개설 후 현재까지 세계 최대 ETN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 ETN 시장은 뒤늦은 개설에도 빠른 성장세를 보여 지표가치총액 2위, 일평균 거래대금 3위로 주요 지표가 전 세계 시장의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최두선 기자
2024-11-14 18:27:12[파이낸셜뉴스] 개설 10주년을 맞은 국내 상장지수채권(ETN) 시장이 고공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시장 변동성 확대 속에서도 상장종목수와 가치총액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ETN 시장은 올해 10월 말 기준으로 상장종목수 402곳, 지표가치총액 16조6000억원이다. 발생사는 10개사로 늘었다. 6개 발행사의 10개 종목 상장을 시작으로 지난 2014년 11월 개설된 ETN 시장은 10년 간 상장종목수는 약 40배, 지표가치총액은 약 36배 급증했다. 일평균 거래대금도 1159억8000만원으로 527배 증가했다. ETN 시장은 중위험, 중수익의 간접투자상품에 대한 투자 수요를 충족시키고, 국내 증권사의 신규 수익원 창출을 통한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개설됐다. 개설 초기 '주식형 +1배' 상품 위주에서 원자재, 채권, 통화 등 상품군 및 레버리지 배율의 다양화를 꾀하며 시장의 양적 성장을 견인했다. 또 신상품 도입을 위한 규정 개정 등을 통해 기초 자산 상품군 및 레버리지 배율의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다양한 투자 수요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꾸준한 제도 개선을 통해 기관투자자(LP)의 괴리율을 줄이고 유동성 공급 기능을 강화하는 등의 효과도 보였다. 거래소 관계자는 "투자유의종목 지정 및 조기청산 제도 도입, 기관투자자 평가주기 단축, 호가가격단위 개선 등을 통해 투자자 보호 및 시장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시장의 질적 성장을 위한 여건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현재 글로벌 ETN 시장은 미국이 2006년 시장 개설 후 현재까지 세계 최대 ETN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 ETN 시장은 뒤늦은 개설에도 빠른 성장세를 보여 지표가치총액 2위, 일평균 거래대금 3위로 주요 지표가 전 세계 시장의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별 차별성도 뚜렷하다. 한국 ETN 시장은 국내 시장 대표 지수인 코스피 200, 코스닥 150과 원자재(원유, 천연가스 등) 상품이 거래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변동성(VIX) 및 국내 주식형, 영국은 채권형 및 시장 대표 지수, 일본은 원자재 및 해외 시장 대표 지수 상품이 거래대금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국내 ETN 투자를 통해 투자자는 투자 편의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다양한 간접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다"라며 "분산투자 효과와 높은 환금성, 추적오차 위험 부재 등이 장점으로 꼽힌다"고 말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4-11-14 11:17:58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기반으로 한 상장지수펀드(ETF) 12개 종목과 상장지수증권(ETN) 1개 종목이 다음 달 상장한다. 증권 유관기관은 총 2000억원 규모의 밸류업 펀드를 조성해 밸류업 지수 ETF 및 구성 종목 등에 투자할 예정이다. 한국거래소는 10월31일 한국증권금융, 한국예탁결제원, 한국금융투자협회, 코스콤과 밸류업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기업 밸류업 펀드 조성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기업 밸류업 펀드는 증권 유관기관이 1000억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과 매칭해 총 2000억원 이상의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주요 투자 대상은 밸류업 지수 ETF와 구성 종목이다. 밸류업 공시를 했지만 지수에 미편입된 종목에도 투자할 수 있다. 밸류업 펀드 주요 투자 대상인 밸류업 지수 기반 ETF는 다음 달 4일 상장된다. 거래소 관계자는 "상장 후 유동성 확보 등을 위해 유동성공급(LP)에 참여하는 증권사도 20개사"라며 "펀드 및 ETF 출시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자본시장을 붐업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은보 거래소 이사장은 밸류업 프로그램 정착을 통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밸류업 프로그램을 시행한 지 5개월여가 지난 가운데, 최근 LG전자, SK텔레콤 등 대형 상장기업들이 밸류업 공시에 동참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사업계획 수립이 마무리되는 연말까지는 밸류업 공시가 확산 될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밸류업 ETF에 대한 세제지원 건의 등 밸류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을 유지할 수 있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2024-10-31 18:07:34NH투자증권은 'N2 레버리지 국채10년 ETN', 'N2 레버리지 국채30년 ETN', 총 2종의 상장지수증권(ETN)을 신규 상장했다고 30일 밝혔다. 'N2 레버리지 국채10년 ETN'은 발행사가 제공하는 레버리지를 활용해 10년 만기 국고채에 투자한 수익률의 2배를 수취할 수 있다. 국채10년물 대비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대신, 장기금리 하락 시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N2 레버리지 국채30년 ETN'도 같은 콘셉트다. N2 레버리지 국채30년물 ETN이 국채30년물에 기반하는 만큼 더 큰 변동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지만, 금리인하 시기에는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상품들은 금리 인하기에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상품"이라며 "ETP 시장에 레버리지 채권형 상품이 타 상품 대비 부족해 앞으로도 채권형 상품 공급 준비를 계획 중에 있다"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4-10-30 18:05:44[파이낸셜뉴스] NH투자증권은 'N2 레버리지 국채10년 ETN', 'N2 레버리지 국채30년 ETN', 총 2종의 상장지수증권(ETN)을 신규 상장했다고 30일 밝혔다. 'N2 레버리지 국채10년 ETN'은 발행사가 제공하는 레버리지를 활용해 10년 만기 국고채에 투자한 수익률의 2배를 수취할 수 있다. 국채10년물 대비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큰 대신, 장기금리 하락 시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N2 레버리지 국채30년 ETN'도 같은 콘셉트다. N2 레버리지 국채30년물 ETN이 국채30년물에 기반하는 만큼 더 큰 변동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지만, 금리인하 시기에는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상품들은 금리 인하기에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상품"이라며 "ETP 시장에 레버리지 채권형 상품이 타 상품 대비 부족해 앞으로도 채권형 상품 공급 준비를 계획 중에 있다"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2024-10-30 15:28:21[파이낸셜뉴스] 국내 상장지수증권(ETN) 시장이 상장지수펀드(ETF)에 비해 도약하지 못하는 데는 비용이 비싸다는 오해도 한 몫하고 있다. 굳이 비싼 값을 치르면서 펀드보다 상대적으로 낯선 파생결합증권에 투자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ETF는 공시되는 총보수에 더해 결제수수료나 해외거래예탁비용 등 기타비용이 별도로 추가되는 만큼 정확한 성과 비교를 위해선 전체 비용이 반영되는 순자산총액(NAV·Net Asset Value)과 ETN 지표가치총액(IV·Indiative Value)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월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406개 ETN 평균 제비용(28일 기준)은 0.557%로 집계됐다. 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엔 ‘총보수’라고 표기돼있으나 업계에선 제비용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반면 907개 ETF 총보수 평균은 0.306%로 이보다 0.251%p 낮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동일 혹은 유사지수 추종이더라도 ETN에 투자함으로써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 최종 수익에서 차감되는 부분이 크다고 판단한다는 뜻이다. 물론 이로 인해 ETF 운용 성과가 더 나은 경우도 상당수이긴 하나, 표면적으로 보이는 비용은 ETN이 높더라도 투자자가 실제 가져가는 수익은 ETF보다 큰 사례도 있다. 가령 ‘한투 레버리지 S&P500선물 ETN(H)’ 제비용은 0.89%, TIGER 미국S&P레버리지(합성 H) 총보수는 0.25%다. 물론 전자는 선물 지수를 따르고 있긴 하나, 겉으로 드러난 비용만 보면 3.5배 이상 차이가 난다. 그런데 연초 이후 지난 29일까지 수익률을 따져보면 각각 41.07%, 40.74%로 오히려 전자가 앞선다. 이 수치는 각각 IV와 NAV가 해당 기간 동안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산출해 나오는데, 후자의 경우 기타비용까지 합치면 보수가 0.34%로 뛰는데다 합성형인 만큼 스왑 비용 등이 포함됐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비용은 투자설명서에도 기재되지 않은 채 NAV에 반영된다. 즉, 단순히 공시되는 보수만 보고 투자하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기초지수를 정확히 따라가고 싶은 투자자라면 ETN이 적합하기도 하다. ETN는 기초지수를 그대로 복제해 추적오차(tracking error)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ETF는 펀드로서 적시 매매 어려움 등 운용 과정상의 이유로 기초지수를 100%로 따르지 못할 수 있으나, ETN은 증권사가 자기신용으로 발행하는 만큼 어떻게든 기초지수 수익률을 맞춰준다. 또 ETF는 총보수가 0%인 상품이 없는 반면 ETN에는 투자자들에게 보수를 받지 않는 상품이 31개 있다. 대부분 코스피, 코스닥 등 대표지수를 기본으로 삼는 유형들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ETN은 보유 주식 대여에 의한 수익이 발행사 손익으로 귀속된다”며 “ETF와 달리 유동성공급자(LP)가 발행사와 동일한 만큼 제비용을 취하지 않더라도 유동성 공급 과정에서 헤지운용을 통해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4-10-30 09:50:53[파이낸셜뉴스]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증권(ETN)은 두세 개에 그칠 것으로 파악됐다. 자산운용사들은 10곳 이상 참여하는 반면 해당 상장지수펀드(ETF)들과 마땅한 차별성을 두기 힘들다고 판단한 증권사들은 참여를 꺼리는 모습이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기초지수로 삼는 국내 ETN을 상장하기로 결정한 증권사는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2곳뿐인 것으로 확인됐다. ETF들이 동시 상장하는 오는 11월 4일 함께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KB증권은 '시장 상황을 보고 결정'하겠단 입장이나, 상품을 낸다 해도 최대 3개에 그치는 셈이다. 이외 미래에셋·NH·한국·하나·키움·메리츠증권 등은 당장 발행 계획이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거래소가 지난달 10개 증권사를 상대로 밸류업 지수 ETN 발행 수요조사를 실시했으나, 결국 반응이 미적지근한 셈이다. 기본적으로 증권사들은 ETF와 경쟁할 자신이 없다는 입장이다. ETN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사가 신용을 담보로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으로, 운용 능력과는 관계가 없다. 때문에 운용사들이 내는 패시브 ETF와 이렇다 할 차별성을 띨 수가 없다. 투자자 입장에서도 익숙한 ETF를 놔두고 굳이 ETN을 선택할 동기가 없다. 밸류업 지수 자체의 성공 여부에 대한 확신이 없단 목소리도 나온다. 구성 종목을 선별한 기준을 두고 벌어진 초기 논란은 차치하더라도 1000p로 시작한 지수가 990p대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 앞서 2018년 밸류업 지수와 마찬가지로 정책지수로 발표된 KRX300을 보더라도 전망이 밝지 않다. 그해 2월 5개 자산운용사가 참여해 ETF를 6216억원 규모로 상장했으나 지난 7일 기준 7개 상품 합산 순자산총액은 772억원에 불과하다. 한화자산운용 상품은 소규모 펀드로 전락해 지난 5월 상장폐지를 맞기도 했다. 증권사들은 향후 선물지수가 활성화되는 상황을 지켜보고 레버리지·인버스 상품은 시도해볼 수 있다는 방침이다. 밸류업 ETF는 일단 1사 1개 원칙에 따라 정방향 1배 상품만 출시될 것인 만큼 이와 차별화할 수 있는 방법은 이 정도라는 뜻이다. 때문에 현 'PR(주가수익지수)형'에 더해 'TR(총수익지수)형'까지 제공된다고 해도 큰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당장은 자금이 모인다고 해도 ETF 위주일 것인 만큼 ETN을 낼 이유는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물론 이번 11월초 이후에 동참하는 곳들이 있긴 하겠으나, 전반적으로 망설이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4-10-10 18:04:05상장지수증권(ETN) 시장이 출범 10년을 맞았지만 성장성 하락으로 발행사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기초자산을 다양화하고, 압축투자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개인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ETN 합계 지표가치총액은 7일 기준 16조4018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28.3%(3조5171억원) 늘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증가율(52.2%) 절반 수준으로 성장이 더뎌지고 있다. 지표가치는 투자자가 만기까지 ETN을 보유할 시 증권사로부터 상환 받는 금액으로 ETF 순자산가치(NAV)와 같은 개념이다. 앞서 ETN 시장의 지표가치총액은 개장 이듬해인 2015년말 6360억원에서 3년 만인 2018년말 4조3307억원으로 뛰었다. 하지만 2019년(4조8516억원), 2020년(5조5647억원) 정체기를 맞았다. 특히 2020년엔 '마이너스 유가'로 원유 ETN 손실 우려가 고조되며 시장 성장이 멈췄다. 2021년 이후 증권사들은 금, 은, 구리 등으로 원자재 자산을 다원화하며 시장규모를 키우고, 올해는 미국 테크를 비롯해 제약, 방위산업, 전력인프라 등 테마 상품까지 내놓았으나 16조원 문턱을 가까스로 넘은 수준이다. 단순 계산했을 때 10년 동안 매년 1조6000억원씩 늘었을 뿐이다. ETF가 2002년 첫 상품이 나온 이후 22년 동안 연 평균 7조 이상 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5분의 1수준이다. 기본적으로 인지도 측면에서 ETF 시장에 밀린다. 일반투자자 입장에선 시장 규모가 크고 운용 방식이 직관적인 ETF가 익숙하다. 발행 증권사는 신용만 담보로 제공할 뿐이지 노력을 개입시킬 여지가 없어 액티브 수요는 충족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 마케팅 수위에서도 온도차가 있다. 자산운용사에서 ETF는 주력 사업인 만큼 마케팅 자금을 대거 투입하지만, 증권사에서 ETN 부문은 상대적으로 소외돼 적극적 공세에 나서기 쉽지 않다. 최소 10개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야 하는 ETF와 달리 ETN은 해외는 3개, 국내는 5개 종목만 있으면 만들 수 있지만, 이 같은 압축투자 특성만으로 ETF와 비등한 경쟁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이외 세제 혜택 등 구별되는 혜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도 한계로 꼽힌다. 현재 403개 ETN 중 레버리지와 인버스는 각각 112개, 141개로 전체 약 63%를 차지하고 있다. 공격적 성향의 투자자들에겐 적합하지만, 이외 투자자들에게는 리스크가 높은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어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ETN 차별화 지점은 인버스 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소수종목 투자라는 2가지"라며 "ETF에 대항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제도적 뒷받침이 되지 않으면 추가 성장은 어려워 보인다"라고 내다봤다. 한편, ETN은 기초지수 일일 수익률을 추종하도록 증권사가 자기 신용을 담보로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으로 일반적인 ETF와 달리 만기가 있다. 투자자는 중도 매매로 차익을 취하거나, 만기까지 기다려 최종거래일 지표가치(IV) 만큼 증권사로부터 받게 된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2024-10-08 18:10:53삼성증권은 일본 니케이225 선물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증권(ETN)을 지난 10일 상장했다고 12일 밝혔다. '삼성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사진)'은 니케이225 선물을 기초 지수로 선물의 일간 수익률에 대해 1배만큼 오차 없이 추종한다. 엔화 변동에 대해서는 환헤지된 상품이다. 또 다른 상품인 '삼성 레버리지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와 '삼성 인버스 2X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는 각각 2배와 -2배를 추종한다. 일본 니케이225 선물지수 기초 자산을 2배 혹은 -2배로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는 현재 우리나라에 없다. '삼성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의 제비용은 연 0.1%다. 레버리지와 인버스 2X ETN의 경우에는 제비용은 연 0.3% 수준이다. 일본 니케이225 선물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하는 ETN 중 이번에 삼성증권에서 상장한 ETN들의 운용보수(제비용)가 가장 낮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간접 투자를 희망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상품"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증권은 ETF에 없는 '삼성 인버스 2X 코스닥150 선물 ETN' 상품 등을 비롯해 국내외 주식, 원자재 등을 기초로 다양한 상품을 발행해 고객들에게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증권 ETN은 2024년 누적 거래대금 시장점유율이 53.9%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단, 레버리지 상장거래상품(ETP)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조건에 따라 기본 예탁금을 예치하고 금융투자교육원에서 레버리지 ETP 사전 교육을 이수한 뒤, 거래 증권사에서 사전 교육이수 등록을 완료해야 한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4-09-12 18:31:45[파이낸셜뉴스] 삼성증권은 일본 니케이225 선물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증권(ETN)을 지난 10일 상장했다고 12일 밝혔다. '삼성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은 니케이225 선물을 기초 지수로 선물의 일간 수익률에 대해 1배만큼 오차 없이 추종한다. 엔화 변동에 대해서는 환헤지된 상품이다. 또 다른 상품인 '삼성 레버리지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와 '삼성 인버스 2X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는 각각 2배와 -2배를 추종한다. 일본 니케이225 선물지수 기초 자산을 2배 혹은 -2배로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는 현재 우리나라에 없다. '삼성 일본니케이225선물 ETN(H)'의 제비용은 연 0.1%다. 레버리지와 인버스 2X ETN의 경우에는 제비용은 연 0.3% 수준이다. 일본 니케이225 선물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하는 ETN 중 이번에 삼성증권에서 상장한 ETN들의 운용보수(제비용)가 가장 낮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간접 투자를 희망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상품"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증권은 ETF에 없는 '삼성 인버스 2X 코스닥150 선물 ETN' 상품 등을 비롯해 국내외 주식, 원자재 등을 기초로 다양한 상품을 발행해 고객들에게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증권 ETN은 2024년 누적 거래대금 시장점유율이 53.9%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단, 레버리지 상장거래상품(ETP)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조건에 따라 기본 예탁금을 예치하고 금융투자교육원에서 레버리지 ETP 사전 교육을 이수한 뒤, 거래 증권사에서 사전 교육이수 등록을 완료해야 한다. 또 ETN은 매우 높은 위험등급의 상품으로 투자시 본인의 투자성향을 확인 후 투자가 가능하고,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2024-09-12 14:2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