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신문이 2023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견리망의(見利忘義)'를 꼽았다.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이 말은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다'라는 뜻이다. 교수신문은 올해 전국 대학교수 1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견리망의'가 응답자 30.1%(396표)의 지지를 얻어 가장 많이 꼽혔다고 10일 밝혔다. '견리망의' 휘호를 직접 쓴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는 "지금 우리 사회는 견리망의 현상이 난무해 나라 전체가 마치 각자도생의 싸움판이 된 것 같다"며 "정치란 본래 국민들을 '바르게 다스려 이끈다'는 뜻인데 오늘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바르게 이끌기보다 자신이 속한 편의 이익을 더 생각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개인 생활에서도 분양사기, 전세사기, 보이스피싱 등 '나만 잘 살면 된다'는 생각이 정당화되다시피 해 씁쓸하다"며 "사회 전체가 견리망의의 전시장이 된 느낌"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당장 내 아이의 편익을 위해 다른 아이나 선생님의 피해를 당연시하는 사건들도 올해 유독 많았다"며 "견리망의 하면 우선은 풍요를 누릴 수 있을지 모르나 결국은 모두가 공멸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교수신문은 이밖에도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의 '적반하장(賊反荷杖)'을 비롯해 '함부로 피리 부는 사람의 숫자를 채운다'는 뜻의 '남우충수(濫竽充數)', '흙탕물이나 숯불 속에 떨어졌을 때의 괴로움'을 뜻하는 '도탄지고(塗炭之苦)', '여러 의견이 뒤섞여 혼란스럽다'는 의미의 '제설분분(諸說紛紛)' 등이 뒤를 이었다고 밝혔다. jsm64@fnnews.com 정순민 기자
2023-12-10 15:20:24대학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의미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올해의 사자성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과이불개'가 50.9%로 가장 많은 득표수를 얻었다고 11일 밝혔다. '과이불개'는 논어 위령공편에 처음 등장한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즉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고 했다. 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은 '과이불개'를 추천한 이유에 대해 "우리나라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이 말이 잘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여당이나 야당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야당 탄압'이라고 말하고 도무지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두번째로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사자성어는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의 '욕개미창(欲蓋彌彰)'이었다. '욕개미창'은 14.7%를 차지했다. 이어선 '여러 알을 쌓아 놓은 듯한 위태로움'을 뜻하는 '누란지위(累卵之危)'가 13.8%, '과오를 그럴듯하게 꾸며대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는 뜻의 '문과수비(文過遂非)'가 13.3%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올해의 사자성어로 '묘서동처(猫鼠同處·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됐다)'가, 2020년에는 '아시타비(我是他非·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가 꼽힌 바 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2022-12-11 18:14:38[파이낸셜뉴스] 대학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의미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올해의 사자성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과이불개'가 50.9%로 가장 많은 득표수를 얻었다고 11일 밝혔다. '괴이불개'는 논어 위령공편에 처음 등장한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즉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고 했다. 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은 '과이불개'를 추천한 이유에 대해 "우리나라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이 말이 잘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여당이나 야당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야당 탄압'이라고 말하고 도무지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두번째로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사자성어는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의 '욕개미창(欲蓋彌彰)'이었다. '욕개미창'은 14.7%를 차지했다. 이어선 '여러 알을 쌓아 놓은 듯한 위태로움'을 뜻하는 '누란지위(累卵之危)'이 13.8%, '과오를 그럴듯하게 꾸며대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는 뜻의 '문과수비(文過遂非)'가 13.3%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올해의 사자성어로 '묘서동처(猫鼠同處·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됐다)'가, 2020년에는 '아시타비(我是他非·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가 꼽힌 바 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2022-12-11 15:23:46[파이낸셜뉴스] 교수들이 꼽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뜻의 '아시타비(我是他非)'가 꼽혔다. 교수신문은 20일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교수 906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아시타비가 588표(32.4%·2개씩 선정)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시타비는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을 한문으로 옮긴 신조어다. 아시타비를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는 "여야, 진보와 보수,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 사이는 물론 코로나19 바이러스 발생을 두고서도 사회 도처에서 '내로남불 사태'가 불거졌다"며 추천 이유를 밝혔다. 정태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도 "모든 잘못을 남 탓으로 돌리고 서로를 상스럽게 비난하고 헐뜯는 소모적 싸움만 무성했다"며 "협업해서 건설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련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날 교수신문은 교수들이 "조국에 이어 추미애, 윤석열 기사로 한 해를 도배했는데 골자는 '나는 깨끗하고 정당하다'는 것" 등의 평을 했다고 전했다. 아시타비에 이은 올해의 사자성어 2위로는 '후안무치(厚顔無恥)가 396표(21.8%)로 꼽혔다. '낯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이다. 또 올해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해 '여러 산이 겹치고 겹친 산속'이란 뜻을 가진 '첩첩산중(疊疊山中)이 231표(12.7%)로 4위에 오르기도 했다. jo@fnnews.com 조윤진 인턴기자
2020-12-21 06:34:41[파이낸셜뉴스] 전국 대학 교수들이 2019년 올 한 해 사회를 관통하는 사자성어로 몸은 하나, 머리가 두 개인 새를 가리키는 '공명지조'(共命之鳥)를 꼽았다. 어느 한 쪽이 없어지면 자기 혼자 살아남을 수 있을 거라 착각하지만 사실은 목숨을 함께 나누는 '운명공동체'라는 뜻으로 양극 대립이 극심한 사회상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수신문'이 교수 10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1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347명(33%)가 '공명지조'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뽑혔다. '공명지조'는 '불본행집경'과 '잡보잡경' 등 불교경전에 등장하는 사자성어다. 머리는 낮에 일어나고 다른 머리는 밤에 일어나는 새가 있는데, 한 머리가 몸을 위해 항상 좋은 열매를 챙겨 먹자 다른 머리가 질투심에 독이 든 열매를 몰래 먹은 탓에 결국 두 머리 모두 죽었다는 이야기가 얽혀있다. 공명지조를 올해의 성어로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교수(철학과)는 "한국의 현재 상황은 상징적으로 마치 공명조를 바라보는 것만 같다"며 "서로를 이기려고 하고, 자기만 살려고 하지만 어느 한 쪽이 사라지면 죽게 되는 것을 모르는 한국 사회에 대한 안타까움이 들어 선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른 응답자들 역시 "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좌우 대립이며 진정한 보수와 진보를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정치가 좌우로 나뉜 것은 그렇다고 치고 왜 국민들까지 이들과 함께 나뉘어서 편싸움에 동조하고 있는지 안타깝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공명지조'에 이어 300명(29%)의 선택을 받은 사자성어는 물고기 눈과 진주 중 진짜를 분간해낼 수 없다는 뜻의 '어목혼주'(魚目混珠)였다. 이 사자성어를 추천한 문성훈 서울여대 교수(현대철학과)는 "올해 우리사회에 가장 큰 충격을 준 사건은 누가 뭐래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라며 "대통령이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던 조국과 윤석열 검찰총장 중 하나는 어목이거나 진주일 수 있고, 아니면 둘 다 진주이거나 어목일 수도 있지만 아직은 판단하기 어렵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이밖에도 사회개혁에 대한 염원을 담아 뿌리가 많이 내리고 마디가 이리저리 서로 얽혀 있다는 뜻의 '반근착절'(盤根錯節)과 어려움을 알면서도 행동한다는 의미를 가진 '지난이행'(知難而行)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추천 받았다. '교수신문'은 지난 2001년부터 교수 설문을 통해 한 해를 사자성어로 꼽고 있다. 지난해는 '짐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는 뜻의 '임중도원'(任重道遠)이 선정됐다. 2017년에는 '사악하고 그릇된 것을 부수고 사고방식을 바르게 한다'는 의미의 '파사현정'(破邪顯正), 2016년에는 백성인 강물이 화가 나면 배(임금)를 뒤집는다는 뜻의 '군주민수'(君舟民水)가 꼽힌 바 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19-12-15 15:14:25교수들이 올 한해를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임중도원'(任重道遠)을 꼽았다. '짐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는 뜻이다. 문재인정부가 개혁과제를 중단 없이 추진해 달라는 당부를 담았다. 교수신문은 지난 5일부터 14일까지 전국의 대학교수 8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8.8%(341명)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임중도원'을 선택했다고 24일 밝혔다. 임중도원은 '짐은 무겁고 갈 길은 멀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태백편(泰伯篇)에 실린 고사성어다. 임중도원을 올해의 사자성어로 추천한 전호근 경희대 교수(철학과)는 "문재인정부가 추진 중인 한반도 평화 구상과 각종 국내정책이 뜻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이 남아 있다"며 "굳센 의지로 잘 해결해 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골랐다고 밝혔다. 설문조사에서 다른 응답자들도 주로 문재인정부의 개혁을 지지하는 뜻에서 임중도원을 선택했다. 한 교수는 "정부의 개혁이 추진되고 있으나 국내외 반대세력이 많고 언론들은 실제의 성과조차 과소평가하며 부작용이나 미진한 점은 과대포장하니 정부가 해결해야 할 짐이 무겁다"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임종도원의 경구는 구태의연한 행태를 답습하는 여당과 정부 관료들에게 던지는 바이니 숙지하고 분발하기 바란다"며 현 정부의 무능과 안일한 행태에 불만을 나타낸 지적도 있었다. 나머지 사자성어 후보에도 문재인정부의 개혁에 대한 소회가 반영됐다. 임중도원 다음으로 많이 선택한 올해의 사자성어는 '밀운불우'(密雲不雨)였다. 23.9%(210명)의 선택을 받았다. '구름은 가득 끼어 있는데 비는 내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건은 조성됐지만 일이 성사되지 않아 답답함과 불만이 폭발할 것 같은 상황을 빗댄 말이다. 2006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적 있다. 밀운불우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다시 추천한 고성빈 제주대 교수(정치외교학과)는 "남북정상회담과 적대관계 종결, 북미 정상회담과 비핵화 합의, 소득주도성장 등 대단히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지만 막상 구체적인 열매가 열리지 않고 희망적 전망에만 머물러 있는 아쉬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선택 고려대 교수(법학전문대학원)가 추천한 '공재불사'(功在不舍)는 15.3%(134명)가 선택해 3위에 올랐다. '성공은 그만두지 않음에 있다'는 뜻으로 '순자'(荀子)에 나오는 구절이다. 투철한 개혁의지를 강조했다. 김 교수는 "계속 개혁에 매진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과 행여 정부가 계속 밀어붙이다 보면 효과가 날 것이란 집단 최면에 빠져 있는 건 아닌지 걱정스런 마음 모두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4위는 '구름과 안개를 헤치고 푸른 하늘을 보다'는 뜻의 '운무청천'(雲霧靑天)이, 5위는 '왼쪽을 바라보고 오른쪽을 돌아다 보다'는 뜻의 '좌고우면'(左顧右眄)이 차지했다. 각각 11.2%(98명)와 10.8%(95명)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골랐다. 교수신문은 2001년부터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해를 사자성어로 풀어보는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50명의 예비심사단이 추천위원들이 추천한 사자성어 20개 가운데 5개를 골라 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2018-12-24 16:00:53중소기업인들은 2018년 경기전망이 올해보다는 좋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대망의 2018년 경영환경을 설명하는 사자성어로는 '호시우행(虎視牛行)'을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는 18일 중소기업 2965개를 대상으로 '2018 중소기업 경기전망 및 경제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 내년 중소기업 업황전망건강도지수(SBHI)는 92.7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7년 SBHI에 비해 9.6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SBHI가 전년 동기에 비해 상승한 것은 3년만이다. 제조업은 전년 대비 8.0포인트 상승한 92.1로 조사됐고 건설업은 전년대비 5.0포인트 상승, 서비스업은 전년대비 12.2포인트 상승한 93.1을 기록했다. 중소기업인들은 내년 경제성장률은 2.7%로 예상했다. 이는 IMF(3.0%), 한국은행(2.9%) 등의 예상치보다 낮은 수준이다. 내년 경제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요인(복수응답)으로 '내수경기(71.5%)'를 꼽았고 '최저임금, 노동시간 등 노동현안(58.8%)'에도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인력채용에 대해선 18.1%만이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나머지 업체들은 '아직 미정'(40.6%) 이거나 '채용계획이 없다'(41.3%)고 응답해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중소기업인들은 2018년 사자성어로 호시우행을 꼽았다. 중기중앙회가 전국 700개 중소제조서비스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중소기업 경영환경을 사자성어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0.6%가 호시우행을 선택했다. 호시우행은 눈은 호랑이처럼 예리하게 유지하면서, 행동은 소처럼 부지런한 모습을 의미한다. 고려 중기 불교개혁에 나섰던 지눌스님의 삶을 기리는 비석에 새겨진 가르침이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내년에는 대내외 환경변화 속에서도 신중하고 흔들림 없이 대처를 하겠다는 의지로 판단된다. 또한 2017년 경영환경으로는 작은 물방울이 끊임없이 떨어져 돌에 구멍을 뚫었다는 뜻의 '수적천석(水滴穿石)'이 선택됐다. 중소기업들은 내수침체, 사드발 한중 관계 악화 등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끊임없이 노력해 소기의 성과를 거둔 해로 진단했다. yutoo@fnnews.com 최영희 중소기업전문기자
2017-12-18 09:33:07대학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군주민수'를 선정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 '군주민수'는 순자의 왕제편에 나오는 말인데, 물의 힘으로 배를 뜨게 할 수 있지만, 강물이 화가나면 뒤집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최순실 국정개입 사태로 촛불 민심이 하야를 요구했고 박 대통령의 탄핵안 까지 가결된 상황을 빗댄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교수 6백 11명이 투표해 32.4%인 198명이 이 사자성어를 꼽았다. 대학교수들은 매년 말 한 해를 마무리하며 세태를 반영한 한자성어를 선정하고 있다. /kimsj@fnnews.com 김선정 기자
2016-12-25 09:03:29▲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 올해의 사자성어로 ‘혼용무도’가 꼽혀 그 뜻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일 교수신문은 8∼14일 올해의 사자성어 후보 5개를 놓고 교수 8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9.2%인 524명이 혼용무도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혼용무도는 어리석고 무능한 군주를 가리키는 혼군(昏君)과 용군(庸君)을 함께 이르는 혼용과, 세상이 어지러워 도리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음을 묘사한 논어의 천하무도(天下無道) 속 무도를 합친 표현이다. 혼용무도를 추천한 이승환 고려대 교수(철학)는 “연초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온 나라의 민심이 흉흉했지만 정부는 이를 통제하지 못하고 무능함을 보여줬다”면서 “중반에는 청와대가 여당 원내대표에 대해 사퇴 압력을 넣어 삼권분립과 의회주의 원칙이 크게 훼손됐고, 후반기에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으로 국력 낭비가 초래됐다”고 추천 이유를 설명했다. /news@fnnews.com 온라인편집부
2015-12-21 12:44:34▲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의 뜻에 대한 궁금증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20일 한 매체는 교수 8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9.2%인 524명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혼용무도'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혼용무도란 '세상이 온통 어지럽고 무도(無道)하다'는 의미로 어리석고 무능한 군주를 가리키는 혼군(昏君)과 용군(庸君)을 함께 이르는 '혼용'과, 세상이 어지러워 도리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음을 묘사한 '논어'의 '천하무도'(天下無道) 속 '무도'를 합친 표현이다. 한편 올해의 사자성어는 전공, 세대, 지역을 안배한 추천위원단이 사자성어 22개를 추천한 뒤 이 중 5개를 최종 후보로 골라 전국 교수들에게 설문하는 방식으로 선정됐다. /news@fnnews.com 온라인편집부
2015-12-21 11:3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