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

후보들마다 ‘골목상권 살리기’ 공약.. 대형마트, 규제 세질까 ‘속앓이’

후보들마다 ‘골목상권 살리기’ 공약.. 대형마트, 규제 세질까 ‘속앓이’

대형마트 및 기업형슈퍼마켓(SSM) 업계가 냉가슴을 앓고 있다.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다수의 후보들이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살리기를 위한 공약을 내세우고 있어 향후에도 대형마트 규제 흐름이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 영업규제와 관련해 가장 큰 관심이 쏠리는 곳은 서울시다. 매장 수도 많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기 때문이다. 이마트의 경우 총 점포 148개 중 31개가 서울에 있다. 롯데마트는 서울 점포 13곳의 평균 매출은 다른 점포 평균 매출의 약 2배에 해당한다.

서울시장 후보들의 공약집에도 전통시장 살리기 공약이 들어있다. 새누리당 정몽준 후보는 남대문시장과 동대문시장 같은 전통시장에 주차장 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후보는 전통시장 다시살림 프로젝트를 확대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서울시의 경우 2012년 대형마트와 SSM의 출점을 제한하는 유통산업발전법 도입 이후 영업 시작 시간을 오전 8시에서 10시로 늦추는 등 규제 흐름을 강화해 왔다. 지난해 서울시는 콩나물과 두부 등 51개 품목에 대해 대형마트 판매 제한을 추진하려 했으나 소비자와 납품업체들의 반발로 한발 물러섰다. 현재 망원시장에 있는 홈플러스 한 곳이 협의를 통해 15개 품목을 판매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대형마트 영업규제 완화와 관련해 두 후보는 지난달 27일 소비자단체 컨슈머워치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컨슈머워치는 대형마트 영업규제가 소비자 불편을 초래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두 후보에게 공개서한을 보내며 개선을 촉구했다. 하지만 두 후보 모두 기본적으로 '현행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몇몇 지역 후보의 경우 대형마트 규제 강화를 선언하거나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지난 1월 대형마트 출점 제한 구역을 확대하는 내용의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경기지사 후보가 대표적이다.

또 같은 당 이시종 충북지사 후보 역시 '대형마트 SSM 총량제'를 공약했다. 이에 대해 컨슈머워치 관계자는 "대형마트 영업규제가 시민의 불편을 초래하고 생활인의 일자리를 줄인다"고 반박했다.

대형마트의 한 관계자도 "골목상권 보호라는 큰 틀은 이해하지만 대형마트가 문을 닫는다고 해서 실제로 그만큼의 매출 이전효과가 전통시장에 흘러갈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