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정부-의료계 ‘국시 갈등’ 평행선···또 정면충돌 위기감

정부-의료계 ‘국시 갈등’ 평행선···또 정면충돌 위기감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와 의료계가 ‘의사 국가고시 재응시’ 문제를 둘러싸고 평행선을 달리면서 또 다시 정면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재응시는 없다”며 단호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고, 의료계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겠다”며 엄포를 놓고 있어서다. 코로나19와 독감이 함께 유행하는 ‘트윈데믹’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의료계가 또다시 집단행동에 나설경우 큰 혼란이 예상된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지난 28일 정례브리핑에서 의대생 국가시험 추가 응시와 관련해 “국민적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종전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정부가 국시 재응시 문제에 대해 이날까지 답변을 내놓지 않으면 ‘특단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데 대한 응답인 셈이다.

정부가 적극적 태도를 보이지 않자 의료계는 ‘특단의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 범의료계투쟁위원회와 의협은 29일 대책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방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의협 한 관계자는 “집단행동은 최후의 조치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면서도 “교수·전공의 등 여러 직역의 의견을 종합해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양측의 갈등은 정부 정책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의정협의체 가동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의협은 의정협의체 구성의 전제조건으로 의사 국시 문제를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국시와 의정협의체는 별개 사안이라며 잘랐다.

앞서 의료계는 지난 8월 정부의 의대 정원 확충과 공공의대 정책 등에 반대하며 20여일간 총파업을 실시했다. 당시 주요 대학병원에서는 진료와 수술에 차질을 빚었다. 이에 재차 그런 사태가 발생할까 일선 병원과 환자를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