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제약사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 대학이 공동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주사약. 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북한 소속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이 코로나19 백신을 개발중인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의 시스템 침입을 시도했다는 보도에 대해 전문가들이 북한의 절박함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주요 외신들은 지난달 27일 북한 해커로 의심되는 이들이 가짜 취업알선 이메일 등을 통해 아스트라제네카 시스템에 침입하려 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미 공공정책 전문 연구기관인 후버연구소의 사이버 전문가인 재키 슈나이더 연구원은 11월 30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번 북한의 해킹은 코로나19 백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려는 북한의 절박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7월 코로나19 백신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면서 임상 시험을 논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슈나이더 연구원은 북한이 국제사회에서 고립된데다 제약 개발을 위한 기반시설이 부족해 진전이 어려울 것으로 추정했다.
이 때문에 외국 제약사로부터 코로나19 백신 개발 정보를 훔쳐 난관을 해결하기 위해 해킹을 시도했다는 것이다.
해리 카지아니스 미국 국가이익센터(CNI) 한국연구국장도 "북한은 코로나19에 극도로 겁먹었다"고 진단했다.
카지아니스 국장은 "북한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벌어지면 취약한 의료시설 등으로 인해 대규모 감염을 막을 수 없다. 그래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코로나19를 치명적인 위협이라고 한 것"이라며 "북한은 코로나19 백신 기술과 치료제를 구하기 위해 해킹을 시도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해킹을 통해 현금 확보전에 나섰다고 해석도 나왔다.
미국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매슈 하 사이버전문 연구원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수요가 큰 지금 상황을 이용해 백신 기술을 훔쳐서 팔거나, 백신 개발이 마지막 단계인 제약회사에 랜섬웨어(시스템에 침투해 중요 파일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프로그램)를 심어 제약회사로부터 상당한 현금을 갈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해킹 시도는 코로나19 연구를 담당하는 직원을 포함해 광범위한 이들을 목표로 했지만 성공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언급을 거부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