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보다 4배 큰 비욘드트러스트 10일 첫 출항
실시간 화물 적재 중량관리시스템 도입 안전성 강화
세월호 참사로 중단됐던 인천~제주 카페리선 운항이 7년 만인 오는 10일 재개된다. 10일 출항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비욘드트러스트호'.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로 중단됐던 인천~제주 카페리선 운항이 7년 만인 오는 10일 재개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카페리선 운영사인 하이덱스스토리지는 인천~제주 카페리선 ‘비욘드트러스트호’가 10일 오후 7시 인천항을 첫출항한다고 9일 밝혔다.
비욘드트러스트호는 선박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신뢰 그 이상의 것’이라는 의미로 세월호 참사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화물 적재와 복원력 회복 등 안전성을 대폭 강화했다.
세월호는 적재된 승용차와 컨테이너 무게를 어림짐작으로 추산했으나 비욘드트러스트호는 국내 최초로 실시간 화물 적재 중량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승용차와 컨테이너가 1대 선적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무게가 체크되고 22개 구역별로도 표시된다. 조타실에서 모니터를 보고 실시간으로 선박의 과적이나 불균형을 잡아내고 개선한다.
고경남 선장은 “실시간으로 어떤 곳에 어떻게 화물이 실리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출항 전 선박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승용차 주차장.
또 해양 관련 데이터를 자동 업데이트 하는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운항하는 자동항법장치도 활용한다. 이 장치는 자동 운항으로 항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항해사의 오작동 등 돌발 변수를 원천 차단한다.
또 육상에서 선박 안전관리자가 운항 선박의 위치, 속력, 엔진 상태, 조타 설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경고하는 ‘스마트쉽 모니터링 시스템’도 운영한다.
이를 위해 노르웨이 선급(DNV)의 한국 대표 검사관을 지낸 20년 경력의 선박 안전 전문가를 안전 관련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또 카페리 내부 천장에 외관상 인테리어 장식으로 보이는 사다리를 설치했다. 이 시설은 긴급 상황 시 여객선이 기울거나 뒤집히면 사다리나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휴게실이나 식당에 있는 의자들은 모두 바닥에 쇠사슬로 고정시켰다. 배의 이동 중 갑작스러운 쏠림에 여객들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휴게실 전경
또 비욘드트러스트호는 승객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세월호 침몰 지점인 전남 진도군 서거차도와 맹골군도 사이 바닷길인 맹골수도를 좌측으로 우회해 운항하기로 했다. 맹골수도는 물살이 빠르고 거세기로 유명한 곳이다. 맹골수도를 우회 운항하면 왕복 기준으로 10마일(16㎞) 가량 운항 거리가 늘어나고 운항시간도 더 걸린다.
방현우 하이덱스스토리지 대표는 "맹골수도를 피하면서 왕복 기준으로 운항 시간도 40분이 더 걸리고 유류 비용도 200만원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비욘드트러스트호는 710억원을 투입해 현대미포조선소에서 새롭게 건조된 2만7000t급 카페리선으로 길이 170m, 너비 26m, 높이 28m 규모로 여객 810명, 승용차 487대(경차 기준), 컨테이너 65개를 싣고 최고 25노트(시속 46㎞)로 운항할 수 있다.
미팅 라운지, 다목적룸, 편의점, 오락실, 레스토랑, 노래방, 수유실, 마사지라운지, 키즈존, 펫존, 선셋테라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췄다.
전상에 설치한 구명정.
세월호(6825t)에 비해 4배 규모로 크지만 쾌적하고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승객 정원과 컨테이너 적재량을 세월호보다 줄였다. 세월호는 여객 정원이 921명이고 차량 130대와 컨테이너 152개를 적재할 수 있었다.
이 여객은 매주 월·수·금요일 저녁 7시에 인천항을 출발, 13시간 30분을 운항해 다음날 아침 9시 30분 제주항에 도착하게 된다. 제주항에서는 화·목·토요일 저녁 8시 30분에 출항해 다음날 아침 10시 인천항에 도착하게 된다.
인천~제주 여객선은 중구 옛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제주행)을 이용하면 된다. 이 건물은 제1국제여객터미널이었지만 지난해 6월 새 국제여객터미널이 연수구 송도동에 개장하면서 기능이 이전됐다.
홍종욱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은 “세월호의 사고 이미지가 퇴색되면 학생들의 수학여행 등 단체여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