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벌금 등 불이익에 러시아 제재 '곤혹스런' 中기업

- 서방의 제재에 동참할 수도, 외면할 수도 없는 딜레마 상태

벌금 등 불이익에 러시아 제재 '곤혹스런' 中기업
2021년 6월 중국 베이징의 디디추싱 사무실에서 한 직원이 방문객을 쳐다보고 있다. 2021.12.03 /사진=AP뉴시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기술기업들이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에 동참할 수도, 외면할 수도 없는 곤혹스런 입장에 놓였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일 보도했다.

노동 전문 로펌인 세이파스 쇼의 폴 하스웰은 SCMP에 “서방의 제재 위반 시 수십억 달러의 벌금과 구금을 포함한 여러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제재 위반 정도가 심할 경우는 관련된 회사에 대한 직접적인 제재도 가능하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 최대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이 대이란 제재 위반으로 캐나다에서 1000일간 가택연금 됐던 사실을 예로 들었다.

멍 부회장은 2018년 12월 캐나다 밴쿠버 국제공항에서 미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캐나다 경찰에 체포됐다.

미 검찰은 2019년 1월 이란에 장비를 수출하려고 홍콩의 위장회사를 활용,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위반한 혐의 등으로 멍 부회장을 기소하고 캐나다로부터 멍 부회장의 범죄인 인도를 추진했다.

이번 대 러시아 제재를 두고 중국 기업들의 딜레마는 이미 차량공유 업체인 디디추싱의 사례로 엿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디디추싱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하자 지난달 21일 러시아 시장 철수를 선언했다가 돌연 나흘 만에 이를 번복했다.

디디추싱은 지난달 25일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를 통해 “러시아 서비스는 중단되지 않고 향후 계속 러시아 운전자와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잘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러시아 제재에 동참할 경우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에 반하게 되고 친러시아 소비자들의 반발에도 부닥칠 우려가 있다.

SCMP는 “중국 최대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보가 러시아 수출을 중단해 자국 소비자들에게 비판받고 있다”면서 “레노보가 (이에 대한)입장을 밝히지 않는 것은 대러 제재에 반대하는 중국의 공식 입장과 일부 관련이 있다”고 풀이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