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추경호 "과도한 임금인상, 고물가·갈등 우려…자제해야"

경총 만나 "비용상승 요인, 투자 확대로 흡수 당부"

추경호 "과도한 임금인상, 고물가·갈등 우려…자제해야"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28일 서울 마포구 경총을 방문한 추경호 경제부총리(오른쪽)가 손경식 경총회장과 이야기를 나누며 회의실로 입장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를 만나 물가 상승세를 부추길 수 있는 과도한 임금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추 부총리는 28일 서울 마포구 경총 회의실에서 진행된 손경식 경총 회장 등과의 조찬에서 "최근 일부 정보기술(IT) 기업과 대기업 중심으로 높은 임금 인상 경향이 나타나면서 여타 산업·기업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소위 '잘 나가는', 여력이 있는, 큰 상위 기업 중심으로 성과 보상 또는 인재 확보라는 명분으로 경쟁적으로 높은 임금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도한 임금 인상은 고물가 상황을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더욱 확대해 중소기업, 근로취약계층의 상대적 박탈감도 키운다고 우려했다. 나아가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킬 우려도 있다고 경고했다.

추 부총리는 "대기업의 생산성을 초과하는 지나친 임금 인상은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확대하고 기업 현장 곳곳에서 일자리 미스매치(불일치)를 심화시킬 것"이라며 "기업은 이런 고임금·고비용 구조 아래에서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기도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사 간 자율적으로 결정할 부분"이라면서도 "다만 최근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감안해 경영계에서는 과도한 임금 인상을 자제해주고, 생산성 향상 범위 내 적정 수준으로 임금 인상이 됐으면 한다"고 요청했다.


이어 "각종 비용 상승 요인은 가급적 투자 확대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흡수하는 방향으로 노력해주면 감사하겠다"고 덧붙였다.

고물가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인들, 노동계, 국민 각자가 힘을 모아 이겨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특히 물가 상승 분위기에 편승해 경쟁적으로 가격·임금을 올리기 시작하면 물가·임금의 연쇄 상승이라는 악순환을 초래해 경제·사회 전체의 어려움으로 돌아오고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가급적 기업에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 노력 등을 통해 가격 상승 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해달라"고 당부했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