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예비상장사 CEO 인터뷰]변도영 엔젯 대표 "초미세 잉크젯 프린팅 기술로 3D프린팅 시장 공략"

[예비상장사 CEO 인터뷰]변도영 엔젯 대표 "초미세 잉크젯 프린팅 기술로 3D프린팅 시장 공략"
변도영 엔젯 대표.
[파이낸셜뉴스]“엔젯이 개발한 국내의 독보적인 초미세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이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반도체, 바이오센서 산업에 모두 적용되고 있습니다.”
초정밀 잉크젯 프린팅 부품 전문기업 엔젯이 코스닥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엔젯은 2009년 설립돼 유도전기수력학(EHD) 잉크젯 프린팅 기술에 높은 전문성을 가진 기업으로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소부장 강소기업 100에 선정된 바 있다.

변도영 엔젯 대표(사진)는 4일 파이낸셜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압력을 강해서 액을 짜내는 것을 디스펜싱이라고 한다”면서 “마치 튜브에 있는 꿀 같은 것을 짜서 빵에 바르는 것 같은 원리”라고 말했다.

디스펜싱과 관련된 글로벌 회사는 나스닥에 상장돼 있는 미국 노드슨, 산업용 잉크젯 노즐 만드는 일본의 후지필름, 코니카미놀타 등이 있다. 산업용 잉크젯 노즐의 약 글로벌 마켓 95% 일본회사다. 디스펜싱이나 잉크젯 기술의 경우 최근 디스플레이, 반도체 산업의 중요한 공정 기술로 적용되고 있다. 향후 프린팅 기술이 새로운 공정 기술로 확대 적용될수록 일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이런 상황에서 기술 개발해 국산화 시키고 한단계 기술을 발전시켜 제품화 성공한 곳이 엔젯이다. 2017년 삼성전자와 삼성전기가 휴대폰, 반도체 부문에서 엔젯 기술을 채택했고 2018년엔 LG전자 디스플레이 부문도 엔젯 기술을 도입했다. 변 대표는 “엔젯의 잉크젯 기술은 후지필름 보다 젯팅(jetting)할 때 부피 기준 1000분의 1 작게 할 수 있다”면서 “경쟁사의 잉크젯 기술은 50마이크로미터(㎛)를 내뿜지만 엔젯은 EHD 잉크젯 기술로 1마이크로미터까지 가능해 보다 더 정밀하게 회로를 그리거나 기능성 코팅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강화되는 만큼 엔젯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도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휴대폰의 경우 삼성디스플레이가 퀀텀닷 디스플레이에 잉크젯 프린트를 적용하고 있다. 변 대표는 “기존 디스플레이 공정은 증착 등 6개 공정을 거쳐야 되는데 그만큼 환경적인 이슈와 원가 이슈가 발생하게 된다”면서 “하지만 잉크젯 프린트 공정을 하면 프린팅 한번이면 끝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원가 절감에 탁월하다”고 전했다.

엔젯의 잉크젯 프린트 기술은 과거 2000년대 초반 일본 산업기술총합연구원(AIST), 미국 일리노이 대학 등과 같이 연구됐다. 20년이 지나서 현재 양산에 성공한 것은 엔젯이 유일히다. 변 대표는 “기술 자체가 새로운 잉크젯 기술이다 보니 고객들에게 받아 들여지고 신뢰성 확보하는데 시간이 걸렸다”면서 “현재는 양산 후 실제 산업에서 적용된 지 5년이 지났고 기존 디스펜싱이나 잉크젯 기술보다 획기적으로 성능이 높아서 시장에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회사도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엔젯은 최근 바이오센서 회사에도 납품을 시작했다. 바이오센서는 민감도를 제어해야하기 때문에 젯팅하는 잉크 방울의 균일도가 중요하다.변 대표는 “기존에 디스팬싱 제품보다 균일한 성능을 냈기 때문에 받아들여졌고 코로나19 이후에 바이오센서 회사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저희도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큰 기대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엔젯은 차세대 시장으로 반도체 패키징 분야를 노리고 있다.
과거에는 메모리 반도체 패키징이 후공정이라 중요도가 떨어졌는데 비메모리가 부각되면서 패키징이 중요한 이슈로 올라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 글로벌 AR디스플레이 회사와 협업도 진행 중이고 향후 3D프린팅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변 대표는 “엔젯이 생각하는 3D프린팅 시장은 단순히 3D 조형을 하는 프린팅 시장이 아니고 3D형상을 만듦과 동시에 전기 회로를 얹어서 기능을 갖으려는 시장”이라면서 “미국의 스트라타시스나 이스라엘의 나노디멘전과 같은 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