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우주개발을 민간주도로 전환해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밑그림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2045년 우주경제 영토를 화성까지 확장하고, 국내 우주산업 매출을 끌어올려 세계시장 점유율을 1%에서 10%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우주 영토를 늘리고 우주산업 성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국가 우주 연구개발(R&D) 예산도 7300억원에서 점차 늘려 2027년엔 1조5000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1일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제22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주재하고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
한덕수 총리는 이날 "그동안 멀게만 느껴졌던 우주영역은 달 기지건설 추진, 화성 유인탐사 계획 구체화 등으로 '우주경제 시대'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국가우주위원회는 그동안 3차에 걸친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다양한 위성사업, 누리호와 다누리 사업 등 우주분야 핵심정책을 심의해 온 우리나라 우주정책에 대한 최상위 의결기구다.
이번에 의결한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은 지난 11월 28일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실천하기 위한 핵심정책을 담았다.
기본계획은 임무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우주탐사·과학까지 정책 범위를 넓히는 등 민간 우주산업까지 아우르는 '우주개발 2.0 정책'으로 업그레이드 됐다. 여기에는 우선 3대 목표로 우주영토 화성까지 확장, 우주개발 예산 2배 확대,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제시했다.
3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5대 장기 우주개발 미션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무는 달·화성까지 독자적 우주탐사 계획을 추진해 우주경제 영토를 확장한다. 2032년 달에 무인착륙선을 보내 달 표면을 탐사하고 2040년대에는 달기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화성에는 2035년 궤도탐사선, 2045년 착륙선을 보낼 예정이다. 한편, 유인탐사와 우주정거장, 탐사기지 등 대규모 자원이 필요한 분야는 국제협력을 통해 전략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둘째로 아시아의 우주수송 허브 구축해 우주수송 능력과 거점을 완성한다. 2030년에는 무인수송, 2045년까지 유인수송 능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로 발사체와 발사장 등 인프라를 확보하고, 민간 수송서비스 창출을 지원한다.
셋째는 세계적 수준의 산업생태계 구축이다.
2045년에 우주산업이 우리나라 10대 주력산업이 될 수 있도록 생태계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민관 협력을 통해 초기시장을 창출하고, 우리에게 특화된 신산업을 적극 발굴키로 했다.
넷째로 우주 강대국과 대등한 수준의 우주안보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태양풍, 우주물체 충돌·추락 등 우주위험 대비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 안보를 위한 우주자산을 확충한다.
마지막으로 인류 지식확장에 기여하기 위해 세계 선도형 우주과학 연구를 주도할 임무 발굴체계를 확립하고, 장기적인 연구 프로그램도 마련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