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제조업 위축, 서비스업이 겨우 막았지만.. "지역경기 나아지긴 어려워"

한은 지역경제보고서 1·4분기 지역경제 서비스업 보합세가 제조업 위축 영향 막아 전분기 수준 한은 "주요국 통화긴축 기조, 금융불안 영향으로 1분기 경기 수준 유지할 것"

제조업 위축, 서비스업이 겨우 막았지만.. "지역경기 나아지긴 어려워"
서울 중구 명동거리의 한 상점에 임대 안내문이 붙여있다. 사진=뉴스1

제조업 위축, 서비스업이 겨우 막았지만.. "지역경기 나아지긴 어려워"
(한은 제공)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올해 1·4분기 제조업 위축으로 인한 지역경제 악화를 서비스업 보합세가 막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주요국 통화긴축 기조, 국내외 금융불안 등 영향으로 경기가 지금 이상으로 더 좋아지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중 지역경제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되 강원권, 충청권, 대구경북권에서 전기대비 소폭 악화됐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경기부진 등으로 제조업 생산이 소폭 감소했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보합세를 보이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지역경기가 소폭 악화된 데는 제조업 위축의 영향이 컸다. 권역별로 보면 제조업 생산은 수도권, 충청권, 대경권, 강원과 제주권에서 전기대비 감소했고 동남권과 호남권만 보합세를 보였다. 반도체 생산 부진 등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제조업 생산은 중국 리오프닝 등이 긍정적 요인이나 여타 주요국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기는 어려워 대부분 권역에서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전망"이라고 봤다.

이런 가운데 서비스업이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여 제조업 위축에 따른 경기 악화를 그나마 상쇄했다. 서비스업은 소비심리가 더디게 회복되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충청권, 대경권, 제주권에서는 서비스 생산 또한 감소했다. 한은은 향후 서비여력 제한 등으로 서비스업 생산도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생산 뿐 아니라 소비, 생산 또한 개선되지 않고 지금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해 1·4분기 민간소비는 재화소비가 부진했지만 서비스 소비가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전분기 수준에 머물렀다. 2·4분기 민간소비 또한 가계의 실질구매력이 둔화되고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면서 지금과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투자 또한 반도체 업황 부진, 주택경기 둔화, IT경기 위축 등으로 지금과 비슷하거나 부진을 이어갈 것이란 관측이다.
설비투자는 친환경, 신사업 관련 투자가 있었지만 제조업 장비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줄었고, 건설투자 또한 지역 착공면적 감소 등 영향으로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줄었다.

수출의 경우 자동차, 이차전지 부문 수출이 늘었지만 주력 수출품인 IT업종 부진으로 전기대비 소폭 줄었고, 향후에도 부진을 이어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세 둔화,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에도 불구하고 주요국 통화긴축 기조, 국내외 금융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향후 지역경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모두 1·4분기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