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저출생 시대, 어린이 차별이냐 사업장의 권리냐"

WP "韓에 500개 노키즈 존.. 美·英 등에서도 논란"



"저출생 시대, 어린이 차별이냐 사업장의 권리냐"
노키즈존맵에 공지된 매장. 주로 수도권과 제주도 등에 밀집됐다. 노키즈존맵 캡처

"저출생 시대, 어린이 차별이냐 사업장의 권리냐"
한국리서치 제공.
[파이낸셜뉴스] 미국의 유력언론 워싱턴포스트(WP)가 한국에 500개의 노키드 존(no-kid zone)이 존재한다며 저출생 시대 차별이냐 권리냐의 논란이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12일(현지시간) WP에 따르면 한국은 어린이 출입이 당연히 금지되는 술집과 클럽 등을 제외하고 500개의 '노키드 존'이 있다. WP는 "어린이 출입 금지는 한국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다"면서 미국와 영국, 캐나다, 독일 등 다른 나라에서도 노키드 존으로 인한 논란이 있다고 했다.

일본항공과 말레이시아 항공 등 일부 항공사에선 영유아와 떨어진 좌석을 고를 수 있는 옵션을 제공 중이다. 도서관과 박물관 중에서도 일정 연령 이상부터 출입이 가능하도록 제한을 두기도 한다.

WP는 "이는 차별과 권리 사이의 미묘한 논란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사업을 하는 입장에서 자체적으로 업장 분위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찬성론'과 어린이가 특정 시설에 머무르지 못하도록 하고 배제하는 건 과도한 권리 제한이라는 '반대론'이 모두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저출생 시대 노키드 존 논란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성이 아이를 낳는 것이 '선택의 문제'가 된 지금, 노키드 존이 더 확산되면 저출생에 기름을 부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WP는 "세계 최저 출생율을 보이고 있는 한국에서 이는 특히 중요한 문제다.
공공장소에서 어린이 출입을 제한하는 것은 육아에 대한 어려움을 강조하고 아이를 낳는 걸 더 꺼리게 할 수 있다"고 했다.

어린이 출입 자체를 문제로 삼기보다 아이가 타인에게 방해가 되는 행위를 제한해야 한다는 대안도 나오고 있다. 어린이를 2등 시민으로 취급할 게 아니라 개별 행위에 대한 제한을 두는 게 합리적이라는 얘기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