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다누리 운영 2023년 말에서 2025년 말까지로 2년 연장
다누리 달궤도 투입때 연료 아껴 연장 가능… 장비상태도 양호해
달궤도선 '다누리'가 달 궤도에서 지구와 교신하는데 우리가 개발한 우주통신 장비를 사용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1년 단기 탐사로 계획됐던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최장 3년까지 장기 근무를 하게 됐다. 달 궤도에 투입때 연료를 많이 소모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계획된 항로대로 정상 투입되면서 연료를 절약하게 된 것이 주 요인이다. 또한 다누리의 장비 상태도 좋아 2025년 말까지 탐사 임무를 하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7일 달 탐사 사업 추진위원회를 열고 '달 궤도선 다누리 임무운영 기간 연장 및 향후 운영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에따라 다누리의 임무운영 기간은 2023년 1월부터 2025년 12월까지로 기존 계획보다 2년 연장됐다.
다누리 임무운영 연장시 임무운영 계획 |
다누리 임무운영 연장시 임무운영 계획 |
구분 |
기존 임무기간(’23)의 임무운영 |
임무연장 기간(’24~’25)의 임무운영 |
고해상도카메라 (항우연) |
달 착륙 후보지 43곳 촬영 |
50곳 이상의 달 착륙 후보지 추가 촬영 및 달 중위도(+60° ~ -60°) 지역 전체 촬영 |
편광카메라 (천문연) |
달 중위도 지역(+60° ~ -60°)의 편광영상 획득 |
달 고위도 지역(60°이상)의 편광영상 획득 |
자기장측정기 (경희대) |
달 주변 자기장 측정자료 획득 |
보다 자세한 자기장 지도 및 달 내부구조·형상 획득을 위한 달 주변 자기장 보완관측 |
감마선분광기 (지자연) |
감마선·방사선자료 획득 (원소 5종 확인 가능) |
감마선·방사선 보완관측 (원소 10종 이상 확인 가능) |
섀도우캠 (ASU/NASA) |
위도 81.5° 이상의 고위도 지역 내 주요 영구음영지역 촬영 |
위도 75° 이상의 전 지역 촬영 |
우주인터넷 탑재체(전통연) |
자료전송 기술검증시험 |
탑재체 성능유지 검증시험 수행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다누리는 올해 12월까지 당초 계획한 달 착륙 후보지 탐색, 달 과학연구, 우주인터넷기술 검증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2025년까지 연장된 기간 중에는 영상획득지역을 확대하고 보완관측 및 추가 검증시험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다누리는 고해상도카메라로 달 착륙 후보지를 43곳 촬영키로 했지만 연장운영으로 달 중위도 지역 전체를 촬영하면서 50곳 이상의 착륙 후보지를 찾아볼 계획이다. 또 편광카메라를 통해 달 중위도 지역 뿐만아니라 고위도까지 편광영상을 획득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감마선분광기를 활용해 달에 있는 원소도 5종에서 10종 이상 찾아낼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자기장측정기와 섀도우캠, 우주인터넷 탑재체를 활용한 다양한 임무가 추가로 진행될 계획이다.
국내 최초 달 뒷면 촬영 등 다누리의 관측결과가 우수하고 임무수행을 위한 연료량도 여유가 있어, 국내·외 연구자들은 달 탐사 연구성과 확대를 위한 임무기간 연장을 요구해왔다.
과기정통부 조선학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번 임무운영 기간 연장을 통해 '다누리'라는 이름 그대로 남김없이 달을 누리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당초 계획된 1년의 임무운영 기간에는 제한된 범위의 자료획득만 가능했으나, 연구자들은 임무기간 연장시 달 표면 촬영영상을 추가 확보하고, 자기장측정기와 감마선분광기의 보완관측을 진행하는 등 성과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중이다.
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의 임무기간 연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연료량과 본체 부품을 분석했다. 그 결과 2025년까지 연장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지난해 12월 27일 달궤도 진입 후 다누리의 연료는 약 86㎏ 남아있었다.
연간 연료사용량이 약 26~30㎏인 것을 감안하면 2년의 임무연장이 가능하다. 본체 부품도 임무연장시 태양전지판 및 배터리가 노후되는 2025년에 일간 임무시간이 단축되는 것 외에는 2025년까지 임무운영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우주연구원은 "다만, 2025년에는 태양광발전이 불가능한 개기월식이 3월과 9월 두 차례 있을 것으로 예상돼, 다누리의 배터리 방전으로 임무수행이 조기종료 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