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면역세포가 허물 벗어야 세균·암세포 공격한다

GIST 전창적 교수팀, 세계 최초로 면역세포 메커니즘 밝혀내
기존 학계의 주장 뒤집고 항암치료제·백신 개발 새 전기 마련

면역세포가 허물 벗어야 세균·암세포 공격한다
T임파구가 항원제시세포 위에 있는 항원을 인식하고(1), 항원제시세표의 표면 위에서 허물벗기를 한다(2). 이후 T임파구가 폭발적으로 증식해 세균이나 암세포 등을 공격하게 된다. G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면역세포가 뱀처럼 허물을 벗으며 증식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암세포를 공격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특히 면역세포가 허물을 벗지 못하면 증식하지도 못하고 죽게 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 메커니즘은 면역세포 수가 급격히 줄어든 암 환자나 바이러스 질환자를 위한 치료법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백혈구의 일종인 T임파구에서 허물처럼 떨어져 나간 성분을 항암치료제나 백신 개발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전창덕 교수팀은 T임파구가 활성화되고 증식하는데 허물벗기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전창덕 교수는 "T임파구 활성 초기에 발생하는 수용체의 발현 감소가 학계의 기존 주장과 달리 허물벗기 현상에 의한 것임을 밝혀내 면역학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T임파구는 포유류의 면역계에서 외부 침입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공격하는 일종의 '면역사령관'이다. 그 숫자가 폭발적으로 늘어야 적절히 방어할 수 있어 T임파구를 많이 생성할수록 좋은 백신으로 보기도 한다.

지금까지 침입자를 인식하는 T임파구 수용체(TCR)의 신호나 사이토카인 분비로 T임파구가 활성화된다고만 알고 있었다. 연구진은 T임파구가 외부 침입자의 정보를 알려주는 항원제시세포와 접촉하면 T임파구의 세포막 일부가 허물처럼 벗겨지는 현상이 반드시 있어야 T임파구가 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T임파구의 활성화를 유도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결과 T임파구의 미세융모가 확장된 다음 끊어져 나가는 방식으로 허물벗기 현상이 일어났다.

특히 T임파구와 항원제시세포가 접촉할 때 T임파구 표면의 수용체가 감소하는 현상이 T임파구의 허물벗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며, 허물을 벗지 못하는 T임파구는 증식하지 못하고 죽게 된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혀졌다.

전창덕 교수는 "기존 연구를 답습하기보다 세계에서 유일한 연구에 도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전 교수와 국립암센터 김혜란 박사가 지도하고 GIST 생명과학부 이선재 교수가 공동 참여했으며 박정수 박사가 진행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