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현대차 임단협 극적 잠정합의…창사 이래 첫 5년 연속 무분규

기본급 11만1000원·성과급 인상 합의
'핵심쟁점' 정년연장 별도합의안 도출
찬반투표서 과반 이상 찬성하면 '최종 타결'
파업 불확실성 해소 '생산 확대 총력전'

현대차 임단협 극적 잠정합의…창사 이래 첫 5년 연속 무분규
현대자동차 노사 교섭대표들이 지난 6월 현대차 울산공장 본관 동행룸에서 '2023년 임단협 상견례'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현대자동차 노사가 5년 연속 무분규로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는데 성공했다. 노조가 파업을 예고한 13일을 하루 앞두고 노사 간 막판 줄다리기 교섭이 벌인 끝에 극적으로 합의안을 이끌어낸 것이다. 핵심 쟁점인 정년연장의 경우 노사 간 별도합의안을 마련했다. 자동차 업계 '맏형'격인 현대차가 무분규로 임단협을 최종 마무리 지을 경우 국내 완성차와 부품업계를 넘어 전 산업계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사는 이날 열린 23차 임단협 교섭에서 잠정합의에 성공했다. 향후 진행되는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과반 이상의 찬성을 얻으면 올해 임단협이 최종 타결된다. 임단협이 이대로 마무리된다면 창사 이래 처음으로 5년 연속 무분규 타결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전날 노사는 '미래 동반 성장을 위한 특별협약' 체결에 합의했다. 여기에는 2026년 하이퍼캐스팅 도입 등이 포함됐는데, 이 기술은 특수 알루미늄 소재의 차체를 통째로 찍어내는 방식이어서 생산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날은 기본급과 성과급 인상, 정년연장 등 핵심 쟁점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고, 극적으로 합의점을 찾는 데 성공했다. 올해 노조는 기본급 18만49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도 순이익 30%(주식 포함)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각종 수당 인상과 현실화, 만 64세까지 정년연장 등을 요구해왔다. 회사는 노조와 협상을 거듭하며 기본급 11만1000원 인상, 경영성과금 400%+1050만원, 주식 15주, 재래상품권 25만원 등에 합의했다. 또 하계 휴가비는 기존 3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올리고, 주간 연속 2교대 제도 포인트도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상향했다. 이 밖에 2년에 걸쳐 기술직(생산직) 1100명을 신규 채용키로 했다.

특히나 올해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던 정년연장에 대해선 회사가 기존 숙련재고용 제도를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노조가 수용 거부 입장을 계속 유지하면서 난항을 겪기도 했다. 다만 회사가 노조 요구를 일부 수용해 '내년 상반기까지 정년연장 관련 정부 정책, 사회적 인식변화로 법개정 시 노사협의 후 시행'을 골자로 하는 정년연장 관련 별도합의안을 마련키로 합의했다. 노조 입장에선 정년연장 요구를 이어갈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한 셈이다.

노사가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면서 차량 계약자들도 한숨 돌리게 됐다. 반도체 수급난이 해소되면서 대기기간이 작년 보다는 단축됐지만 수요가 많은 하이브리드 모델은 여전히 출고 적체가 심한 상황이다. 현대차 아반떼 하이브리드의 경우 이달 계약하면 출고까지 1년이 걸린다. 쏘나타 하이브리드도 11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기아의 대표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쏘렌토 하이브리드도 이달 계약하면 1년을 대기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 파업까지 겹치게 된다면 대기기간이 더 길어질 것으로 우려됐는데, 이 같은 우려가 상당 부분 해소되게 됐다.

수출 시장에서도 온기가 돌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수출은 작년 10월부터 이달 초순까지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그나마 자동차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자동차 수출을 이끄는 건 국내 최대 생산거점을 보유한 현대차와 기아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는 특근 등을 통해 생산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수출 확대에 총력전을 펼칠 계획이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 2016년과 2017년에도 노조 파업으로 각각 14만2000대, 8만9000대의 생산 손실을 입었다. 지난 2014~2018년 5년간 파업에 따른 현대차의 생산차질 규모는 29만여대에 달한다. 하지만 2019년부터 작년까지 4년 연속 무분규 행진을 이어오고 있고, 올해도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최종 가결되면 5년 연속 무파업이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된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