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이복현 금감원장-8대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면담
이복현, 부회장 제도 정비 강조.. KB·하나 겨냥
이사회 의장들 "사외이사 지원조직 확대" 건의
ELS 등 소비자보호 관련 이사회의 'CEO 견제' 강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3.12.12/뉴스1
[파이낸셜뉴스]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연말 금융지주 인사를 앞두고 '부회장 제도 정비'를 12일 강조했다. 5대 금융지주 중 부회장 제도를 운영 중인 KB와 하나금융그룹 셈범이 복잡해질 전망이다.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들은 이 원장과의 면담에서 이사회가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이사회 지원조직을 강화해달라고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이 원장은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5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및 3대 지방지주(BNK·DGB·JB) 이사회 의장과 만나 지배구조 모범관행을 논의했다. 금감원이 이날 발표한 모범관행은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역할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상시후보군 선정·관리 및 최소 3개월 전 최고경영자(CEO) 선임절차 관리 △학계 외 사외이사 출신 다양화 등 이사회 집합적 정합성·독립성 확보 등을 골자로 한다.
이 원장은 "CEO를 누구를 뽑느냐는 전적으로 이사회 권한"이라고 전제한 후 일부 금융지주가 운영 중인 부회장제 개선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부회장제도를 운영하는 금융지주가 있다. 과거 특정 회장이 사실상 셀프연임을 하는 것보다는 훨씬 진일보된 형태"라면서도 "한편으로는 부회장제가 폐쇄적으로 운영돼서 내부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부회장) 신임 발탁이라든지 경쟁력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했고 지주 이사회에서 공감했다"라고 했다.
김경호 KB금융그룹 의장(왼쪽)과 최용호 DGB금융그룹 의장이 1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감독원 주최로 열린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간담회를 마친 뒤 나오며 대화하고 있다. 2023.12.12/뉴스1 /
최근 경영승계 절차를 마친 KB금융과 오는 2025년 3월 회장 승계를 앞두고 있는 하나금융에서는 부회장 제도를 운영 중이다.
특히 KB금융과 하나금융 모두 이달 내 지주 계열사 대표를 포함해 임원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이 원장이 부회장 제도의 장단점을 모두 거론한 만큼 KB와 하나금융 고심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부회장 제도는 사실상 회장 후계 때문에 운영된다"며 "제도를 갖고 있는 지주들에서 유지할지 말지 고민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부회장직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금융지주에서 부문장 제도 등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런 제도로도 충분히 차기 CEO 후보군에 대해 경영승계 수업이나 양성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고 봤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와 관련 "내부 출신과 외부 후보 사이 경쟁이 공평하지 않으면 외부 후보가 아무리 훌륭해도 지원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면서 "금융지주에서 부회장 제도를 두면 외부의 경쟁력 있는 후보가 시작부터 참여하지 않을 수 있어서 비상근 부회장 제도를 두는 등 외부 후보가 공정한 경쟁을 펼칠 수 있게 해줘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최근 은행권의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논란이 일어난 데 대해 이 원장은 "ELS 판매와 관련 불완전판매 여지 등 여러 문제제기가 있는 상황에서 경영진이 어떤 의사결정을 해서 소비자 피해 예방을 했는지 이사회가 점검하고,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도록 당국이 갖고 있는 문제의식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사회가 소비자 보호를 위해 조금 더 책임감 있게 경영진의 리스크관리 등을 점검하고 견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이사회 의장들은 이사회가 실질적 역할을 할 수 있게 '충실한 지원체계 구축'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외이사 지원을 위한 전담 조직을 두고 업무총괄자 임면시 이사회 동의를 받는 등 체계적 지원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참석자는 "이사들이 전문가이지만 현안에 대해 모르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이사회 담당 직원과 지원 조직을 확대해서 사내 현안에 대해 확실히 보고 받고, 지원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전했다.
실제로 금감원에 따르면 상당수 은행이 사외이사 지원조직을 CEO 소속 부서 내에 두고 있고 업무총괄자 임명과 평가도 경영진이 전담하고 있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어려운 구조다.
3대 지방지주(BNK·DGB·JB) 올해 상반기보고서를 살펴보면 DGB는 이사회 보좌와 사외이사 지원 역할을 하는 이사회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다. 사무국은 국장 한 명을 비롯해 총 세 명으로 구성돼 있다. JB금융지주도 부장과 차장, 과장 각 한명으로 구성된 이사회 사무국을 갖고 있다.
반면 BNK의 경우 그룹경영전략 부문 전략기획부 부장 1명과 부원 2명이 이사회 운영 지원과 CEO 경영승계 업무, 사외이사 지원 업무를 모두 담당하고 있다.
이사회 3~5일 전 사외이사에게 회의자료가 전달돼 충분한 안건 검토가 어렵다는 문제도 나왔다. 신임 사외이사에 대한 교육이 1~3시간 가량의 오리엔테이션 수준에 그치거나 별도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이승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