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은행 로고. (출처: 제주은행)
[파이낸셜뉴스] 리서치알음은 14일 제주은행에 대해 최근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저PBR 테마에 부합하는데다 시중은행 정책 수혜까지 호재가 많다고 진단했다. 이에 주가전망은 '긍정적'으로 제시했다.
김재무 연구원은 “제주은행은 저PBR 종목이면서 시중은행 인가 완화 정책으로 수혜가 예상되고 주요 악재 해소로 재평가가 기대돼 주목을 당부한다”라며 “최근 정부 정책으로 저PBR에 대한 관심이 큰데, 저PBR 수혜주를 찾는다면 제조업 보다는 금융업에서 투자 기회를 찾아볼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금융업은 기계장치나 재고자산이 미미해 과대계상되는 자산이 많지 않고, 대부분의 자산을 시가평가하기 때문에 저PBR 관련주로 주목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김 연구원은 “금융 업종 중에서도 PF 리스크를 안고 있는 증권업 보다는 은행, 보험 분야에 관심이 주효할 것”이라며 “특히 은행의 경우 최근 정부의 시중은행에 대한 인가 조건 완화 정책이 대두되고 있어 상장된 지방은행이 저PBR 수혜주로 두각을 나타낼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부터 5대 시중은행의 독점을 방지하고자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요건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지난 7일 DGB대구은행이 사명을 ‘iM뱅크’로 바꾸고 시중은행 전환 신청을 요청했으며, 이르면 1분기 내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DGB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까지 상장 지방은행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리서치알음은 제주은행은 이미 시중은행 전환 요건을 만족한 상태로 파악되어 주목을 당부했다.
김 연구원은 “동사는 신한금융지주가 7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데, 대주주 입장에서 시중은행을 두 개나 운영할 필요가 없다”라며 “과거 네이버가 금융업 진출을 검토했을 때 매입 후보로 거론됐었기 때문에 상당한 주가상승 모멘텀을 가지고 있다는 판단”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최근 동사는 투기과열 지정 해제와 4분기 악화된 실적 발표 등 주요 악재가 해소된 상황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주가흐름이 기대된다고 봤다.
제주은행은 1969년 설립된 제주특별자치도 기반의 지방은행으로서 개인 및 기업 고객에게 대출, 예금, 투자상품, 전자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동사는 제주도 내에서 밀접한 고객 관계 구축 및 맞춤형 서비스 등 경쟁우위를 통해 지역 내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시중은행 인가 완화 정책은 동사에 큰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현재 상장된 지방은행으로는 DGB금융지주(대구은행), BNK금융지주(부산은행과 경남은행), JB금융지주(전북은행과 광주은행), 제주은행 등이 있으며, 이 중 DGB대구은행은 이미 시중은행 인가 신청을 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김 연구원은 “향후 DGB대구은행 시중은행 인가시 동사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될 전망인데, 그 이유는 BNK금융(롯데 계열 11%)과 JB금융(삼양 14%)이 산업자본은 은행 지분을 4%까지만 보유할 수 있도록 제한한 은·산분리에 따라 시중은행 전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며 “제주은행은 시중은행으로 전환할 자격을 갖추었음에도 현재 위치에서 더 큰 가치와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세심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의미로 파악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환경에서 동사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향후 전략적 파트너를 찾거나, 심지어는 유리한 조건의 매각 기회까지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라며 “IFRS 연결 기준 2024년 동사의 영업실적은 총영업수익 1,520억원(+2.6%, YoY), 영업이익 62억원(+175.2%, YoY)으로 추정된다“라고 덧붙였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