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등 요양기관 건강보험 적용시 신분증 확인 필수
'뱅킹 위주' 銀,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로 앱 범위 확장
국민은행 스타뱅킹 내 국민지갑 통해 '신분증 대체'
우리은행도 WON뱅킹 내 모바일신분증 발급 추진
금융 플랫폼에서 생활 플랫폼으로 저변 넓히고
빅테크 수준으로 MAU 수 높이는 전략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 가 시행된 20일 인천 서구 국제성모병원에 신분증 지참을 알리는 안내문이 보이고 있다. 건강보험으로 진료를 받으려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명서를 지참해야 한다. 2024.05.20. 사진=뉴시스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 안내 자료. 국민건강보험 제공
4대 시중은행 인증서비스 |
은행 |
인증서비스 주요 내용 |
KB국민 |
KB국민인증서 가입고객 수: 누적 1466만명(4월 기준) 650여 개 공공·민간기관·KB금융 계열사 플랫폼에 서비스 제공 전자서명·본인확인·전자문서 ‘통합인증서비스‘ 제공 5월 기업 고객으로 서비스 확장, 6월 외국인 고객에 비대면 인증서 발급 회원가입-상품가입-상품안내를 KB통합인증서비스로 원스톱 활용 KB스타뱅킹 슈퍼앱 완결성 강화 및 신규고객군 유입 |
신한 |
신한인증서 은행권 중 앱 기반 인증서와 클라우드 인증서 모두 보유 클라우드 인증서 활용해 앱 설치 없이도 인증서 간편 로그인 가능 신한금융 통합플랫폼 슈퍼SOL 비롯 공공기관·생활서비스에 활용 |
하나 |
하나인증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지위 획득, 방송통신위원회 본인확인기관에 지정 외부기관 간편인증, 뱅킹서비스,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본인확인 서비스 등에 이용 서버형 인증 시스템 준비 중. 손님 사용환경에 맞춘 인증서비스 제공 예정 발급 휴 유효기간 3년, 내·외국인 모두 사용 가능한 인증서 |
우리 |
은행권 최초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은행 영업점 및 WON뱅킹 실명확인 서비스로 활용. 우리은행 금융거래시 모바일 운전면허증으로 실명확인 가능 오는 5월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 선정시 2025년부터 WON뱅킹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 발급 추진 금융·비금융 업무 연계한 서비스 준비 중 |
|
(출처:각 사.) |
|
[파이낸셜뉴스]병원·약국에서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신분증을 꼭 제시해야 하는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지난 20일 시작된 가운데 은행들도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금융거래에 필요한 인증 서비스 제공에서 나아가 일상 속에서 요긴하게 쓰이는 '모바일 신분증'으로 서비스 범위를 넓히는 것이다. 은행들은 앱 하나로 은행 업무부터 병원·공항 본인 확인까지 한 번에 가능한 서비스를 통해 고객 편의를 높이는 한편, 금융앱의 생활 플랫폼화(化)를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 인증서에서 모바일 신분증으로, 은행앱 '외연 확장'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요양기관 본인확인 제도 강화 등을 계기로 본인인증 뿐 아니라 신분증 대체 서비스로 은행 앱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KB국민은행이 그 중에서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7월부터 모바일 뱅킹 앱인 KB스타뱅킹의 ‘국민지갑’에서 주민등록증 확인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이 서비스를 통해 본인을 인증하면 실물 주민등록증을 확인한 것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 민원 서류를 발급하거나 투표 시 본인 확인을 할 때, 병원·약국 등에서 본인확인을 할 때도 KB스타뱅킹 신분증 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항공권 서비스와 연계해 실물 신분증 없이 스마트폰에 설치된 KB스타뱅킹 확인 서비스만으로 항공기 탑승 수속이 가능해졌다. 대체 신분증 이용자 수는 지난해 말 15만4959명에서 지난 4월 말 24만6756명으로 넉 달 만에 9만명 가량 증가했다.
다른 은행들에서도 모바일·전자서명 본인인증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0월 은행권 최초로 앱 기반 인증서와 클라우드 인증서를 모두 보유했다. 앱 설치 없이도 인증서에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전자서명이 가능한 것이 특장점이다.
하나은행은 정부부처에서 평가·인정한 '하나인증서'를 통해 마이데이터 통합인증과 본인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주요 인증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서버저장형 인증시스템을 준비 중인데, 각 손님 사용환경에 맞춘 인증 서비스가 제공돼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은행에서는 금융권 최초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은행 업무에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해 운영해왔다. 행정안전부 모바일 신분증 앱을 우리은행 영업점과 WON뱅킹에서 쓸 수 있는 서비스로, 제출된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해 검증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행안부의 모바일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에 선정되면 2025년부터 WON뱅킹 앱에서도 모바일신분증 발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면서 "향후 모바일신분증을 금융·비금융 업무와 연계해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슈퍼앱 완결성↑...'생활필수앱'으로 빅테크와 MAU 경쟁
은행들이 본(本)업무가 아닌 본인인증 서비스에 투자하는 건 은행권 '슈퍼앱' '원앱' 추진 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신한은행은 신한인증서를 신한금융 통합 플랫폼인 신한슈퍼SOL을 비롯해 공공기관, 생활 서비스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처를 확장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본인인증 서비스를 만들 때 같은 금융지주 내 계열사 앱을 사용할 때의 사용 편의도 고려한다"며 "기존 고객과 외부 고객까지 포용하는 서비스로 개선하는 추세"라고 짚었다.
일례로 국민은행은 전자서명·본인확인·전자문서의 통합인증서비스를 통해 KB플랫폼의 외연을 확대하고 있다. 빅테크 인증서와 경쟁할 수 있는 간편인증서로 다른 플랫폼과도 접목이 쉽다.
이달에는 KB국민인증서 서비스를 개인 고객에서 개인사업자·법인 고객으로 확장해 기업용 민간인증 시장을 선제 공략할 계획이다. 오는 6월에는 외국인 비대면 계좌개설과 연계해 KB국민인증서를 외국인 고객에게도 비대면으로 발급해서 은행 신규고객군을 확보할 예정이다.
'은행앱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000만명' 시대에 맞춰 은행앱을 금융·생활 플랫폼으로 키우려고 하는 의도도 있다. 이제껏 은행권 내 MAU 경쟁이었다면 앞으로는 쿠팡·네이버와 같은 유통·빅테크 기업과 '생활 플랫폼 앱' 경쟁을 할 때라는 것이다.
일례로 KB국민인증서의 경우 누적 가입자 수가 지난 4월 기준 1466만명, 전자문서 가입자 수는 899만명에 달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650여 개 공공·민간기관·KB금융 플랫폼에 서비스를 제공해 신규고객군 유입채널로서 고객접점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KB스타뱅킹 슈퍼앱 완결성을 강화하고 KB플랫폼 생태계 활성화, 영업 다각화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또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모바일 신분증은 단순한 본인확인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어서 궁극적인 효용이 높다"면서 "정부의 신분증 민간개방 정책에 맞춰서 은행들도 앱 투자·개발을 준비 중"이라고 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