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지자체 여성 공무원 50.4%..처음으로 남성 넘어섰지만 '유리천장' 여전

지자체 여성 공무원 50.4%..처음으로 남성 넘어섰지만 '유리천장' 여전
사진은 기사 본문과 무관함/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여성 공무원의 비중이 처음으로 남성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행정안전부의 '2023년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2023년말 기준 지방자치단체의 여성 공무원 수가 전체 31만3296명 중 50.4%인 15만7935명으로 집계됐다.

부산 여성공무원 비중 56% '최고'

지자체 여성 공무원 수는 2022년 49.4%, 2021년에는 48.1%로 지자체에서 여성 공무원이 남성의 수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의 여성 공무원 비중이 5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54.4%), 인천(53.6%) 순이었다. 경북은 44.1%, 제주는 44.2%로 가장 적었다.

여성 공무원 비중이 남성을 넘어섰지만 간부급인 1∼4급 일반직 공무원 중 여성의 비중은 18.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리천장'이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로 풀이된다.

1∼4급 여성 공무원의 비중은 2021년 13.3%, 2022년 15.4%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지만 이는 전체 5분의 1도 되지 않는 수치다.

1급의 경우 전체 7명 중 1명(14.3%)만이, 2급은 88명 중 3명(3.4%)만이 여성이였으며, 3급은 433명 중 55명(12.7%), 4급은 3천341명 중 668명(20%)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1~3급 고위공무원은 7.5%뿐

한편 국가직 1∼3급 상당 공무원을 뜻하는 고위공무원 가운데 지자체에 소속된 40명 중 여성은 3명(7.5%)뿐이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1∼2급 공무원 중 여성 공무원이 있는 지자체는 서울시(1·2급 각 1명)와 경남·제주(2급 각 1명)이며, 고위공무원의 경우 부산·충북·경북에 각각 1명씩 있다.

1∼4급 공무원의 경우 부산이 35.1%로 여성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24%), 울산(24.4%) 순으로 집계됐으며, 여성 비중이 가장 적은 지자체는 세종(10%), 전남(11.4%) 순이다.

지자체 여성 공무원 50.4%..처음으로 남성 넘어섰지만 '유리천장' 여전
4일 행정안전부의 '2023년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2023년말 기준 지방자치단체의 여성 공무원 수는 15만7935명으로, 전체 31만3296명 중 50.4%를 차지했다./사진=연합뉴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