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삼정KPMG “글로벌 벤처투자 감소에도 생성형 AI 투자 지속 증가”

생성형 AI 영향력 확대에 따른 ‘5대 도전 과제’ 제언
AI 저작권 정책에 대한 모니터링·사이버 보안 리스크 관리 강화해야

삼정KPMG “글로벌 벤처투자 감소에도 생성형 AI 투자 지속 증가”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벤처투자 감소에도 생성형 AI(인공지능) 관련 투자가 증가세를 이어 나가는 가운데, 창작 영역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스타트업의 사례와 AI 활용 시 유의할 점이 제시됐다.

삼정KPMG는 5일 ‘창작 영역에 뛰어든 생성형 AI 투자 현황과 활용 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며, 텍스트, 이미지, 영상, 아바타, 코드, 음성 등 6개 창작 분야별 주목받고 있는 글로벌 주요 생성형 AI 스타트업 기업을 살펴봤다. 더불어 생성형 AI 기술이 향후 창작 영역에 미칠 변화를 전망했다.

글로벌 리서치기관 CB인사이츠에 따르면, 글로벌 생성형 AI 관련 투자 규모가 2022년 32억 달러에서 2023년 1~3분기 174억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2022년 3분기~2023년 2분기 동안 소셜미디어 및 마케팅 콘텐츠 생성, 텍스트 요약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 생성 AI에 대해 24건, 6억3900만 달러의 투자가 유치됐다. 사진과 영상 툴, 기업용 AI 아바타 등을 포함하는 비주얼 미디어 생성 AI 기업은 3억8700만 달러, 33건의 투자 유치를 기록했다.

텍스트 분야에서는 자체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작문 수정 및 생성 기능 제공하는 이스라엘의 ‘AI21랩스(AI21 Labs)’와 더불어 기업용 텍스트 편집 플랫폼 특화 기업 ‘라이터(Writer)’, 기업 브랜딩 및 마케팅 업무에 특화된 텍스트 생성 AI 기업 ‘재스퍼(Jasper)’ 등 기업용 텍스트 생성 AI 기업에 주목했다.

이미지 분야에서는 프레젠테이션, 웹사이트 등 다양한 시각적 콘텐츠 생성에 특화된 호주의 AI 기업 ‘캔바(Canva)’, 높은 품질의 결과물로 주목받는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의 개발사 ‘스태빌리티 AI(Stability AI)’, 외부 투자 없이 높은 기술적 완성도를 보이는 ‘미드저니(Midjourney)’를 비롯해 AI 기반의 국내 웹툰 창작 솔루션 기업 ‘툰스퀘어(Toonsquare)’ 등이 언급됐다.

영상 분야에서는 2023년 유니콘 기업에 등극한 영상 분야 대표 생성형 AI 기업 ‘런웨이(Runway)’와 더불어 영상의 검색, 분류 및 생성에 특화되어 최근 엔비디아 등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한 한국 영상 생성 AI 기업 ‘트웰브랩스(Twelve Labs)’와 같은 생성형 AI 스타트업이 소개됐다.

아바타 분야에서는 전 세계 생성형 AI 툴 방문자 수로 챗GPT 다음의 2위를 기록한 ‘캐릭터닷AI(Chracter.ai)’, 게임, 가상 세계 등 분야의 AI 캐릭터 제작 플랫폼 특화 기업 ‘인월드AI(Inworld AI)’, 맞춤형 AI 휴먼 생성 특화 국내 기업 ‘딥브레인AI(DeepBrain AI)’ 등을 살펴봤다.

코드 분야에서는 별도 설치 없이 웹 기반 코딩 플랫폼을 제공하는 미국의 ‘리플릿(Replit)’, 서비스 출시 전 깃허브(GitHub)의 전 CEO 등이 투자해 화제가 된 오스트리아 생성형 AI 기업 ‘매직(Magic)’, 그리고 출시 2년 내 30만 명이 넘는 개발자들이 이용한 이스라엘의 ‘코디움AI(CodiumAI)’ 등의 투자 유치 현황이 소개됐다.

마지막으로 음성 분야에서는 텍스트를 편집하듯 오디오 편집이 가능한 기술을 선보인 미국 음성 생성 AI 기업 ‘디스크립트(Descript)’, 문화적 뉘앙스를 살려 실시간 번역 및 음성 합성 기술을 제공하는 영국의 생성형 AI 기업 ‘페이퍼컵(Papercup)’, 하이브에 인수된 국내 오디오 생성 AI 기술 특화 기업 ‘수퍼톤(Supertone)’ 등이 언급됐다.

보고서는 창작 영역 내 생성형 AI 기술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과정 중에 마주하게 될 5대 도전 과제로 △일자리 안정성 △잘못된 정보 양산 △양질의 데이터 확보 △사이버 보안 △저작권 문제 등을 꼽았다.

삼정KPMG 전자정보통신엔터미디어산업 리더 염승훈 부대표는 “생성형 AI 기업 투자를 고려할 때 AI 산출물의 정확성 제고, 안정적인 컴퓨팅 인프라 유지 등에 대해 차별화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생성형 AI 도입 및 활용을 앞둔 기업은 변화하는 AI 저작권 정책에 대한 모니터링, 사이버 보안 리스크 관리 등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