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지난해 국내 방송사업 매출이 10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인터넷TV(IPTV)를 제외한 지상파, 전국개별종합유선방송(SO·케이블TV), 위성,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홈쇼핑PP 등 모든 방송사업자의 매출·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이에 따라 향후 방송광고 등과 관련한 규제 완화 필요성이 대두될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채널수신료, 송출수수료 등 사업자 간 이해관계가 엮인 협상의 셈법도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9일 지상파, 유료방송, PP 등 361개 방송사의 '2023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공표했다.
'2023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중 일부.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지난해 전체 방송사업 매출은 18조9734억원을 기록, 2022년 대비 4.7% 감소했다. 2014년 이후 첫 연간 감소 전환이다. 사업자군별로는 지상파의 감소폭(10.2%)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방송광고 매출은 3조830억원에서 2조4983억원으로 5847억원(23.3%) 줄었다. 지난 10년 간 방송광고 매출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지상파는 2817억원(23.3%) 감소한 9237억원, PP는 2762억원(16.9%) 감소한 1조3600억원, IPTV는 237억원(24.7%) 감소한 742억원, 위성은 32억원(10.4%) 감소한 275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SO의 광고매출은 9억원(0.8%) 증가한 1105억원으로 확인됐다.
'2023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중 일부.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2023년 프로그램 제작비는 2022년 대비 0.7%(390억원) 증가했다. 이 같은 비용 증가로 전체 방송사업자의 영업이익은 2022년 대비 21.4%(8177억원) 감소한 3조5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중 일부.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방송사업자의 주요 수익원별 매출액 집계 결과, 수신료·재송신매출·프로그램제공매출·홈쇼핑송출수수료는 증가했다. 반면, 광고·협찬·프로그램판매 등은 감소했다. 채널수신료·송출수수료 매출 증가 모두 IPTV가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2023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중 일부.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2023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중 일부.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SO, 위성, IPTV 등 전체 유료방송사업자의 기본채널수신료 매출액은 2022년 2조9389억원에서 2023년 3조689억원까지 4.4% 증가했다. IPTV의 기본채널수신료는 해당 기간 1538억원(7%) 증가한 2조3479억원을 달성했지만, SO와 위성방송사업자의 채널수신료 매출은 각각 2.8%(135억원), 4.1%(103억원) 감소한 4770억원, 103억원을 거뒀다.
'2023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중 일부.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홈쇼핑PP가 유료방송사에 지출한 송출수수료는 1.9% 증가한 2조4561억원이다. 이 중 IPTV가 받은 수수료는 609억원 증가한 1조5404억원을 기록했지만, 이 또한 SO와 위성방송사는 각각 243억원, 23억원 감소했다.
SO가 받은 송출수수료는 7318억원이었고, 위성방송사는 1772억원을 받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홈쇼핑PP의 방송사업매출은 2022년 대비 5.9%(2180억원) 감소한 3조4933억원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방송규제완화와 대가산정과 같은 정책은 이미 수차례 언급돼 왔던 만큼 정부와 국회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고 있다"며 "각 방송사업자들도 현재 경영상황이 힘들다고 인식하고 있는 만큼 사업자 간 소통도 늘려 나가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